입보리행론 해설

[스크랩] 입보리행론 해설 10. 보리심 공덕 찬탄품

수선님 2018. 6. 17. 12:26

 

입보리행론 해설 10. 보리심 공덕 찬탄품


    

인도말로는 "보디싸따짜리야아와따라 Bodhhisattvacaryavetarr"이며 티베트말로는 "장춥 쎔뻬 쬐빠라 죽빠 JangChubSemsPheSpyedPaLaHjukPa"입니다. "보살행에 들어가다"라는 의미입니다.

    

티베트어로 번역된 경전의 첫머리는 언제나 "인도말로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이것은 인도어에서 번역된 것임을 알리는 구절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당 경전이 제목을 알립니다.

    

JangChub은 보디bodhi 즉 보리를 의미합니다. 보디에는 '허물을 청정히 하는', '허물을 씻는', '허물을 정화시키는' 뜻도 있습니다. 티베트어로, '보디'라는 말의 두 가지 뜻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장춥이라 한 것입니다. 아셨습니까?

    

장춥의 의미를 보면 Jang은 마음을 다스리지 못한 허물에 대한 대치법으로 깨끗이 한 상태를 뜻합니다. 'Jang'은 '허물을 정화시킨', '깨끗이 한 것'을 말합니다.'Chub'은 완전히 깨달았다는 뜻입니다.

뒤집힌 의식과 허물을 없애기 위해서는 뒤집히지 않은 의식이 생겨야 합니다. 뒤집히지 않은 의식(지혜)은 진제와 속제의 실상을 사실 그대로 보는 것을 말하며 깨어 있는 의식을 통해 밝은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깨달은 것이라 하여 '춥'이라 합니다. '춥'은 '깨닫다', '알다'를 의미합니다.

    

'장춥'에는 많은 단계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춥'은 자신이 얻고자 하는 도를 추구할 때 존재하는 허물을 모두 버리고, 자신이 이루려는 도를 얻은 상태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그런 상태를 '장춥' 즉 보리라 합니다.

이 보리는 다시 '성문의 보리', '연각의 보리', '대승의 보리'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 여기서 말하는 보리는 '큰 보리Mahaa Bodhi'입니다.

    

(이 글 아래서) '성문의 보리', '연각의 보리'라는 말씀을 하시고 있기 때문에 이 보리를 '성문의 보리'와 '연각의 보리'에 대한 말씀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여기서는 '보리의 마음을 가진' 보살이란 '보리의 마음을 가진 분'이라는 의미로 보아야 합니다. 즉 큰 보리의 마음을 가진 분인 것입니다.

    

'보리'는 즉 '큰 보리'로 일체지의 경지를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한편, 보살은 다른 사람을 위하는 대자비의 마음으로 허공과 같이 많은 중생을 보리로 이끌기 위해서 '최고의 깨달음 무상정등정각, 아뇩다라삼먁삼보리'로 나아가는 존재입니다.

    

다시 말해 보살은 '최고의 깨달음'을 목표로 하고 정진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이런 사람을 '보리의 마음을 가진 용감한 이' 즉 보살이라 합니다. 여기서는 보살행 실천을 의미합니다.

행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첫째, 동기가 필요하며 둘째, 실천해야 하며 세째, 실천에 의해 이루는 결과가 있어야 합니다.

    

실천하기 위한 동기를 일으키는 것을 원행(願行)이라 하고, 실천하는 것을 入行이라 하며, 실천을 통해 얻는 결과를 果行이라 합니다. 이와같은 三行에 대해 말씀하신 것입니다.

 

보살의 원행은 발심 즉 마음의 동기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기가 있을 때 보살의 행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입행이라 합니다. 이것은 일체지를 이루는 씨앗입니다. 입행을 실천함으로써 부처의 경지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것을 과행이라 합니다. 이러한 원행, 입행, 과행이 삼행입니다.

 

 

출처 : 출리심 보리심 공
글쓴이 : - 해탈 -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