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210

유식무경唯識無境 -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한자경

유식무경 작가 한자경 출판 예문서원 발매 2000.12.20 리뷰보기 - ‘唯識無境,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 붓다께서 설파하신 佛法이 시대를 거쳐 전파되는 과정에서 많은 분파와 갈래가 생겨났는데 크게 보면 小乘과 大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승은 남방의 부파불교로 대표되고, 대승은 북방 즉, 중국 한국 일본에 뿌리내린 不二의 가르침을 宗으로 삼는 中觀, 唯識, 禪으로 대표된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한자경의 저서 ‘唯識無境’은 대승의 큰 줄기 중 하나인 유식사상에 대한 개괄적이고 핵심적인 考察이다. 서양철학을 전공한 사람답게 논리적이고 치밀한 이해와 분석이 매끄럽지만 유식사상의 정확한 파악에는 역시 학자의 개념적 이해라는 한계가 군데군데 엿보인다. 그러나 유식을 처음 접하는 ..

불교관련 2021.08.15

[김성철 교수의 실천불교] 불교적 인지치료

절대긍정과 절대부정 - “너만 그런 게 아니야, 누구나 다 그래”식으로 표출 상담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정신적 문제를 두 가지로 분류한다. 하나는 정서(情緖)장애이고, 다른 하나는 인지(認知)장애다. ‘한 맺힘’과 분노 등 감정적인 상처와 왜곡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은 정서장애에 해당하고, ‘잘못된 생각’이나 ‘어떤 상황에 대한 오해’ 등 앎의 문제로 인한 심리적 고통은 인지장애에 해당한다. 불교 유식학의 가르침과 비교하면 정서장애는 ‘번뇌장(煩惱障)’, 인지장애는 ‘소지장(所知障)’에 속한다. 번뇌장의 뿌리는 아집(我執)에 있고 소지장은 법집(法執)에서 비롯한다고 한다. 따라서 ‘자기 자신에 대한 집착(아집)’이 강한 사람은 분노와 탐욕, 교만과 같은 감성적 번뇌가 심하고,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법집)’이..

불교관련 2021.08.01

불교사(佛敎史)

불교사(佛敎史) 1. 인도불교사 2. 중국불교사 3. 한국불교사 4. 일본불교사 5. 티베트 불교사 6. 동남아불교사 7. 서양의 불교현황 1. 인도 불교사 김 경 동 목 차 1.도입 2.고대인도(붓다 탄생전의 사회) 3.원시 불교(붓다 입멸과 경전의 결집) 4.부파불교(마우랴 왕조) 5.힌두이즘과 대승불교 형성(쿠샨 왕조, 굽타 왕조) 6.밀교(팔라 왕조) 7.이슬람교의 침입과 불교 부흥 운동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동화되었음을, 쇠퇴되었음을 좁은 불교인으로 항상 가슴아파 해 했었다. 혹시, 다른 나라의 불교도 역시 그러한 과정을 밟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하지만, 지금의 여러지역 불교는 민족 종교로 불교 특유의 유연성에 의해 그들의 생활 의식과 관습을 담은 채, 역사의 질곡을 해쳐나가 자..

불교 2021.07.18

명상을 하면 좋은 점

명상을 하면 좋은 점 명상의 본질 명상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고 명상의 방법도 명상하는 배경에 따라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볼 때 하나 공통되는 점이 있다. 현재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명상의 대상으로 정한 대상에 집중하는 점에서는 모든 명상이 똑같다. 뭔가를 얻기 위해서 현재 명상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이 명상의 본질이라고 볼 수 있다. 집중의 대상은 다를 수 있다. 호흡이 될 수도 있고 몸의 움직임이 될 수도 있고 정신현상일 수도 있고 외부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 대상에 최대한 집중하려고 노력한다. 명상의 대상에 의식을 둔다. 그러다가 의식이 명상 대상이 아닌 다른 것으로 가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다시 그 대상으로 돌아간다. 현재에 오로지 마음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마음을 현재에 두려는 ..

불교관련 2021.06.20

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 - 텐진 빠모

'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 [서평들] *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 [중앙일보 박정호 기자 2003-06-27 21:09] 잘 짜인 전기물이다. 사람의 냄새가 진득하게 풍긴다. 문장도 술술 넘어간다. 덕분에 한 인간의 궤적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최종적으로 선물하는 감동도 만만찮다. '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는 제목에 책의 모든 게 담겨 있다. 여성과 부처(붓다)란 키워드가 책을 관통한다. 하지만 목소리는 낮다. 페미니즘을 소리쳐 옹호하지도, 부처의 설법을 힘주어 강조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오히려 설득력은 커진다. 주인공은 서양 여성 최초로 티벳 승려가 된 텐진 빠모다. 1943년 런던의 생선 가게 딸로 태어나 지금은 지구촌 곳곳에서 불법(佛法)을 전파하고 있다. 그의 과거를 바..

불교관련 2021.05.09

재가자 수행

불교에서 대부분의 교리는 수행과의 상관성을 지니면서 사용되고 있다. 재가수행자의 수행법은 형식과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본질적인 문제에서는 동일한 지향점을 향하고 있다. 승가의 전통이 수행 공동체의 형성과 전개에 있다면, 재가의 경우는 세속 생활의 영위와 함께 자신의 조건에 맞는 수행을 해 왔다.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보살의 실천행이 중시되어 왔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서 열반의 세계에 이르고자 한 실천수행법은 육바라밀로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般若) 바라밀(波羅蜜)이다. 초기불교와 달리 대승불교에서는 육바라밀이라는 수행법이 중시되었다. 육바라밀의 수행법에서 보시바라밀이 제일 먼저 언급되는 이유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상보적인 관계로 삶을 영위해야 한..

불교 2021.04.25

불교입문

불교입문 불기 2540년 8월 31일 대한불교 조계종 포교원장 이 성 타 불교란 무엇인가 1. 종교란 무엇인가 2. 깨달음의 진리 3. 모르고 사는 인생 4. 자신이 변하면 세계가 변한다. 5. 불교- 믿음과 수행을 겸비한 종교 6. 지혜의 길 7. 참 나를 찾아서 8. 진리를 향해 정진하는 삶 9. 불교적인 삶 부처님과 부처님의 깨달음 1. 부처님의 생애 2. 부처님의 깨달음(연기, 삼법인, 사제팔정도, 업과 인과) 3. 불교의 역사 불교의 수행법 1. 참선이란 2. 간경 3. 염불 불교와 인생 1. 인연으로 받는 새로운 생 2. 불자의 신행 생활 3. 불교의 명절의례 4. 가정의례 5. 역경을 이겨내는 불자의 자세 6. 이 세상의 인연이 다하여(장례, 천도재,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함께 사는 세..

불교 2021.04.25

불교의 이해와 신행

불교의 이해와 신행 제1부 부처님과 세계관 제1 장 지혜와 자비의 부처님 1. 부처님 생애의 의미 불교를 처음으로 창시하신 분은 석가모니 부처님이시다. 그 분은 역사상 실제 인물로 우리 인간 세계에 오셨다. 그러므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공부는 불교 교리의 시작이며 마음공부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기에 관한 기록을 불타전(佛陀傳) 혹은 불전(佛傳)이라고 하는데, 크게 본생담과 비유담으로 나눌 수있다. 본생담은 자타카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우화나 설화를 말한다. 그리고 비유담은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여러 부처님들과 보살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말한다. 이러한 불타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이 룸비니 동산에서의 탄생, 붓다가야에서의 깨달음,..

불교 2021.03.14

韓國敎育史(한국교육사)와 佛敎思想(불교사상)

韓國敎育史(한국교육사)와 佛敎思想(불교사상) 敎育(교육)의 本質(본질)은 自己本來(자기본래)로의 再轉換(재전환) ◇이 글은 지난 4일 韓國敎育學會(한국교육학회) 韓國敎育史硏究會(한국교육사연구회)가 ‘韓國敎育(한국교육)의 思想的(사상적) 淵源(연원)’이라는 主題(주제)아래 本校(본교) 교수회의실에서 개최한 年次(연차) 學術大會(학술대회)에서 筆者(필자)가 發表(발표)한 논문의 要旨(요지)이다. ​ 1.韓國佛敎思想(한국불교사상)의 敎育哲學的(교육철학적) 特性(특성) 佛敎(불교)에 있어서 바람직한 人間形成(인간형성)의 이론은 ‘ 깨달음’의 형식을 통해 無實體(무실체)한 존재의 實相(실상)을 올바로 인식하는 데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지혜롭고 자비로운 自主人(자주인), 즉 밝고 따뜻한 주체적 인간’으로 표상..

불교 2021.02.28

윤회는 사실인가, 믿음인가?

윤회는 사실인가, 믿음인가? / 김성철 특집 2 - 윤회, 사실인가 믿음인가 1. 윤회, 무엇이 문제인가?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라는 유행가의 가사 중에 '나는 다시 태어나도 당신만을 사랑하리라.'는, '닭살 돋게 하는 구절'이 있다. ​ 또, 최근에는 기독교권인 미국의 할리우드에서도 환생과 윤회를 소재로 삼은 영화들이 양산되고 있다. 이런 유행가와 영화 때문인지는 몰라도, 우리 주변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소속된 종교 교단의 가르침과 무관하게, 죽은 후 다시 태어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살아간다. ​ 필자가 잘 아는 기독교 신자인 어느 중년 여인은 남편에게 '다시 태어났을 때에도 자신을 아내로 삼겠느냐?'고 물었는데 남편이 가타부타 대답을 하지 않았다고 호소하며 분개한 적이 있다. ​ 한 편 이와 반..

불교관련 2021.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