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은 무착의 18주처 현판으로서 금강경의 맥락을 잡은 것입니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금강경 강의가 끝날 무렵에 강의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이어서 육조스님의 법문을 보겠습니다.
{六祖}爾時者 當此之時 食時者 是今辰時 齋時欲至也 着衣持鉢者 爲顯敎示迹故也 入者 自城外而入也 舍衛大城者 名舍衛國豊德城也 卽波斯匿王 所居之城 故言舍衛大城也 言乞食者 表如來 能下心於一切衆生也 次第者 不擇貪富 平等以化也 乞已者 如多乞 不過七家 七家數滿 更不至餘家也 還至本處者 佛意 制諸比丘 除請召外 不得輒向白衣舍故 云爾 洗足者 如來示現 順同凡夫 故言洗足 又大乘法 不獨以洗手足 爲淨 盖言洗手足 不若淨心 一念心淨 卽罪垢悉除矣 如來 欲說法時 常儀 敷施檀座 故言敷座而坐也
‘이시(爾時)’는 ‘이 때를 당하여서’라는 뜻이요, ‘식시(食時)’는 지금의 진시(辰時)니 재(齋)를 올리는 때(巳時)에 가까운 때이다. ‘착의지발’은 가르침을 나타내기 위해 행적을 보인 것이다. ‘입(入)’은 성 밖으로부터 들어온 것이요, ‘사위대성’은 사위국의 풍요로운 덕을 말하는 것이니 곧 바사익왕이 거처하는 성이기 때문에 사위대성이라 했다. ‘걸식’이라 말한 것은, 여래가 능히 일체 중생에게 마음을 낮춘 것을 표한 것이다. ‘차제’는 빈부를 가리지 않고 평등하게 교화하는 것이다. ‘乞已(구걸을 마쳤다)’는 많이 빌더라도 일곱 집을 넘기지 않는 것이니, 일곱 집의 수가 차면 다시 나머지 다른 집에 들르지 않는 것이다. ‘환지본처’는 부처님의 뜻이 모든 비구들을 (여법히) 제어하사 초청을 받지 않고는 예고 없이 문득 재가자의 집으로 향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세족’은 여래가 범부와 함께 순조로이 동참함을 시현하는 것이어서 세족이라고 말한 것이다. 또 대승법은 수족(手足)을 씻는 것으로만 깨끗함을 삼는 것이 아니니, 대개 “수족을 씻는 것이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만 못하니 한 생각 마음이 깨끗하면 곧 죄업의 때가 모두 없어지리라”라고 말한다. 여래가 설법하고자 할 때에는 항상스러운 威儀로 전단향 법좌를 펴기 때문에 ‘부좌이좌’라 말한 것이다.
{傅大士}法身 本非食 應化 亦如然 爲長人天益 慈悲作福田 收衣 息勞慮 洗足 離塵緣 欲說三空理 跏趺示入禪
법신은 본래 먹는 것이 끊어졌고, 응신과 화신도 또한 그러하거늘 인간과 천상의 이익을 증장시키기 위해서 자비로 복전을 지으셨도다. ‘수의(收衣)’는 수고로운 생각을 쉬는 것이요, ‘세족(洗足)’은 티끌 인연을 떨쳐낸 것이로다. 삼공(三空)의 이치를 말씀하시고자, 가부좌를 하고서 선정에 듦을 보이셨도다.
<참고1> 얼마 전, 한국의 선불교를 세계에 널리 전파하신 숭산행원선사께서 입적하셨습니다. 스님은 법문 중에 ‘세계일화(世界一花)’란 말을 많이 언급했습니다. ‘세계일화’라는 말은 唐나라의 詩佛 王維가 육조스님의 비문에 적어 넣은 것으로서 각 나라마다 역사와 문화적 배경은 다르지만 세계가 하나의 꽃으로 어울림을 이룬다는 뜻이 있습니다. 佛性恒淸淨이라는 육조스님의 사상은 진리라는 하나의 끈으로 세계를 연결시켜주기 때문에 숭산스님의 行蹟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교는 세계평화를 지향할 수 있는 종교입니다. 스님은 입적을 지켜보는 제자들에게 미소지으며 '걱정하지 마라. 萬古光明 靑山流水니라' 라는 遺偈를 남기셨다고 합니다. 萬古光明은 이름과 모습이 끊어지고 시공을 초월한 절대평등의 진리(體)를, 靑山流水는 진리의 顯現(用)을 나타내는 것이니 금강경의 진공묘유의 표현입니다.
<참고2> 또, 얼마 전에는 꽃의 시인이라는 별칭을 지니게 된 김춘수 시인도 세상을 떠났습니다. 김춘수 시인이 자주 詩題로 삼았던 꽃은 세간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듯 연인에게 바치는 꽃의 차원을 뛰어넘는 것입니다. 금강경의 진공묘유 사상이 스며있고 너와 나의 관계를 진리의 차원에서 조명한 세계일화의 꽃입니다. 이제 제가 여러분에게 시인들이 가장 많이 애송한다는 그의 시 ‘꽃’을 외워 드리겠습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참고3-1> 역사의 현장을 자주 살피는 저는 얼마 전에 여기에 참석하신 주지스님을 비롯하여 그 밖의 몇 분 스님과 함께 龍潭停을 들렀습니다. 구미산에 안겨있는 용담정은 舊韓末의 東學敎主인 水雲 崔濟愚를 기리는 유적지입니다. 수운은 처형에 임하여 그의 제자인 최시형과 손병희 등에게 詩를 남겼는데 그 遺詩에도 세계일화의 내용이 나옵니다.
燈明水上無嫌隙 柱似枯形力有餘
龍潭流水四海源 龜尾春回一世花
등불이 물위에 밝으니 혐의의 틈을 준 적 없고
기둥은 바짝 말랐어도 餘力이 있다
용담의 流水는 사해의 근원이며
구미산에 봄이 오면 한 세계에 연꽃이 피리라.
<보충설명>
燈明水上; 물위에 비치는 등불은 사방이 환하다. 이는 불변의 지혜가 사방에 환히 비추는 것을 은유한 것.
無嫌隙; 최제우 자신의 동학사상이 혐의를 받을 만한 허점이 하나도 없다는 뜻.
柱似枯形力有餘; 나라의 기둥인 최제우가 회생하기는 어렵지만 그 여력은 남아서 세상을 움직이게 할 것이라는 뜻.
龍潭流水四海源; 아버지 때부터 흘러 내려온 용담의 동학사상이 사방의 근원이 될 것이라는 뜻.
<참고3-2> 최제우의 아버지 최옥은 학문이 뛰어난 영남학파의 유생이었습니다. 그러나 여러번 과거에 응시했지만 번번이 떨어졌습니다. 어느 날 과거에 실패하고 귀향할 때 한강에서 눈물을 흘렸더니 빨래하는 아낙이 ‘근암선생(최옥 자신의 호)은 여러 번 떨어지고도 울지 않았는데 당신은 왜 우십니까?’ 하며 위로하는 말을 듣고 벼슬도 때를 만나야 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고 합니다. 이미 두 번이나 상처한 최옥은 30대 초반의 과부이던 韓氏가 ‘내가 낮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태양이 가슴에 들어와 안겼습니다. 당신과 결혼하여 꿈꾼 바와 같은 훌륭한 자식을 낳겠습니다.’ 고 하며 결혼을 청해 63세나 된 늦은 나이에 수운을 낳았습니다. 최옥은 자신이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것이 한이 맺혀 늦동이인 수운을 공들여 가르쳤습니다. 수운은 조실부모했지만 어렸을 때부터 수많은 책을 읽어 모르는 것 없이 총명했다고 합니다. 수운은 西學의 세력이 커지고 안동 김씨의 세도로 수탈에 지친 민중의 아픔을 보며 구도의 길을 떠나 정진하면서 人乃天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합니다. 수운의 人乃天 사상은 곧 절대평등의 가르침을 담은 것인데 그가 깨달음을 얻으며 지은 詩는 다음과 같습니다.
吾心卽汝心 綠樹之綠耶
白雪之白耶 淸江之淸耶
내 마음이 곧 네 마음이니,
綠樹의 푸른 색인가?
白雪의 하얀 색인가?
淸江의 맑은 모습인가?
<보충설명> ‘耶’는 평등과 차별을 혼합해서 표현하는 의문사입니다. 사람이 곧 하늘이고 하늘이 곧 사람인 절대평등의 진리, 내 마음이 네 마음이고 네 마음이 곧 내 마음인 한 모습, 푸른 빛 잎새를 보면 마음이 푸르러지고 하얀 눈을 보면 마음이 희어지는 일체감 등은 깨달음을 밖에서 구하지 않고 안에서 찾은 구도자의 멋이 배어있습니다. 아마도 이 것이 유교와 불교와 도교를 융합하여 保國安民의 東學을 창시한 최제우다운 멋인 것 같습니다.
'금강경 오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8 선현기청분 1 (0) | 2018.01.21 |
---|---|
[스크랩] 37 야보 스님 해설 (0) | 2018.01.21 |
[스크랩] 35 정종분 발기서 (0) | 2018.01.21 |
[스크랩] 34 不二의 당처 3 (0) | 2018.01.21 |
[스크랩] 33 不二의 당처 2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