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철학 70

인도불교 흥망의 교훈

* 이 글은 불교평론과 경희대 비폭력연구소가 주관하는 ‘열린논단’(2013년 5월 23일)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완한 것이다. 본고의 전반부는 인도불교의 쇠망에 관한 현재까지의 여러 주장을 정리하고, 후반부에서는 필자의 생각을 많이 보탰다. 특히, E. H. Carr(1892~1982)의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다”라는 구절이 널리 회자되듯, 인도불교사에서 불교 쇠망 요인의 논의는 과거를 비추어 현재의 문제를 점검해보고, 바람직한 불교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의도로 발제한 것이다.​ 1. 인도, 불교유적만 있고 불교는 없다 ​ C. E. 1203년, 인도불교의 멸망의 해! 서력기원 1203년은 인도사 또는 인도불교사에서 불교가 자취를 감추게 된 해..

인도 철학 2024.04.07

힌두교

힌두교 Hinduism ​ 요약 힌두'와 '이즘'의 합성어인 '힌두이즘'의 번역어이다. 힌두교는 문자 그대로는 '인도의 종교'를 뜻하며, 일반적으로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와 자이나교를 배제한 좁은 의미로 사용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랜 종교의 하나인 힌두교는 특정한 교조나 교리, 중앙집권적 권위나 위계조직이 없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신앙형태가 융합된 종교이다. 힌두교는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이며 덜 배타적인 것이 특징이다. 힌두교 안에는 원시적인 물신숭배·애니미즘·정령숭배로부터 주술·제식·다신교·일신교·고행주의·신비주의, 사변적 체계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형태의 종교가 발견된다. 힌두교는 하나의 종교일 뿐 아니라 힌두의 사회·관습·전통 등 모든 것을 포괄하는 말로 힌두의 생활방식이..

인도 철학 2024.02.10

아소카왕(Ashoka, 阿育王, 재위 B.C. 273~232)과 불교

고대 인도에서 여러 도시국가와 전제왕권국가가 서로 경합을 벌이면서 싸워나가다가 드디어 B.C. 4세기 마가다(Magadha)제국의 마우리야왕조(Maurya dynasty)에 의해서 통일국가를 이루게 된다. 이를 중국의 역사와 견주어볼 때, 군소국가가 쟁탈전을 벌이던 춘추전국시대를 진(秦)나라가 통일한 진시황(秦始皇)과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찬드라굽타(Candra Gupta, B.C. 340~298)에 의해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인 마가다(Magadha)제국 제3왕조인 마우리아 왕조(B.C. 322~185 존속)가 성립됐다. 마우리야왕조는 불교를 특별히 우대했는데, 그 대표적인 왕이 아소카왕(Ashoka)이었다. 아소카왕(Ashoka, 阿育王, B.C. 273~232경 재위)은 마우리아..

인도 철학 2023.06.11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점

힌두교(Hinduism)에서 ‘힌두(Hindū)’라는 말은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어 명칭 ‘신두(Sindhu:大河)’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란 말과 동일한 어원을 갖는다. 때문에 힌두교를 인도교라고도 한다. 고대 브라만교(婆羅門敎, Brahmanism)가 힌두교의 전신이다. B.C. 1,500년 무렵 인도 아리안족이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힌두쿠시산맥을 넘어 인더스강 유역 펀자브지방에 진입하고, 더욱 동쪽으로 진출하면서, 4성제도(Caste)를 세우고, 브라만교를 발전시키며, 브라만문화를 확립했다. 그때부터 B.C. 500년 무렵에 이르는 동안 를 비롯한 방대한 근본성전 를 편찬했다. 그 내용은 복잡하고 다양해 자연신숭배, 종교의례, 주술은 물론, 높은 철학적 사변까지 담고 있다. 이 종교의 본질은 다..

인도 철학 2023.06.11

글로벌시대의 음식과 문화 - 인도

글로벌시대의 음식과 문화 인도 목차 1) 다민족, 다종교 국가 2) 인도의 사회와 문화의 특성 3) 인도의 독특한 음식문화 (1) 인도 음식문화의 특징 4) 인도의 마실거리 ‘더할 나위 없이 가난한 나라’로 알고 있는 인도를 소개하는 각종 인쇄물이나 사진을 보면 많은 거지들이 등장하고, 길거리에서 뒹구는 집 없는 사람들도 어지간히 많이 보게 된다. 사실 인도는 가난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 사지가 멀쩡한 젊은이들이 일거리가 없어 하루 종일 빈둥거리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고, 기차역이나 버스 스탠드의(인도에서는 터미널을 스탠드라 함) 대합실, 혹은 철길 둘레의 후미진 곳들은 집 없는 인도 거지들과 가난한 도시 생활자들이 점령하다시피 해서 살아가고 있다. ​ 그러나 인도는 결코 ‘못사는 나라’가 아니다. 어..

인도 철학 2022.10.23

힌두교(Hinduism), 이슬람교(Islam), 불교(Buddhism)

힌두교 (Hinduism) 해당국가 : 스리랑카(16%), 인도네시아(2%) 등 기타 국가 인도에서 고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바라문교(婆羅門敎)가 복잡한 민간신앙을 섭취하여 발전한 종교. 인도교(印度敎)라고도 한다. 힌두교를 범인도교라 함은 힌두(Hind後)는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 명칭‘신두(Sindhu:大河)’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와 동일한 어원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BC 2500년경의 인더스 문명에까지 소급될 수 있으며, 아리안족의 침입(BC 2000∼BC 1500?) 이후 형성된 바라문교를 포함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아리안 계통의 바라문교가 인도 토착의 민간신앙과 융합하고, 불교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300년경부터 종파의 형태를 정비하여 현대 인도인의 신앙 형태를 이루고 있다. ..

인도 철학 2022.08.28

인도의 불교 8대 성지

인도의 불교 8대 성지 룸비니 동산서 갓 태어난 붓다, 일곱 걸음 걸으며 “천상천하 유아독존” ​ 인도의 북부에는 불교 8대 성지가 있다. 2500년 전, 붓다가 태어나서, 수행하고, 깨닫고, 법을 설하고, 열반에 들 때까지 흔적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장소다. 지금도 숱한 이들이 그곳을 찾는다. 그리고 붓다의 숨결, 불교의 정수를 찾고자 기도한다. 8대 성지는 단순한 공간적 개념이 아니다. 성지마다 깃든 붓다의 메시지를 깨치는 일, 그게 순례의 진정한 의미이기 때문이다. ​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 룸비니 동산은 현재 네팔 땅이다. 붓다의 8대 성지 중 유일하게 룸비니 동산만 인도 땅이 아니다. 부처의 어머니인 마야 부인은 친정으로 가다 이곳에서 왕자를 출산했다. 지금도 룸비니에는 출산 후 마야 부인이..

인도 철학 2022.04.10

힌두교 -敎 Hinduism

힌두교 -敎 Hinduism ​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를 통틀어 가리키는말. ​ '힌두'와 '이즘'(ism)의 합성어인 '힌두이즘'의 번역어이다. '힌두'란 원래 인더스 강의 산스크리트인 신두(Sindhu : '大河'라는 뜻)의 페르시아 발음으로서, 인디아나 힌두스탄과 같이 인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므로 힌두교는 문자 그대로는 '인도의 종교'를 뜻하며, 인도에서 기원된 모든 종교, 즉 바라문교·자이나교·불교 등을 포함하는 말이 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와 자이나교를 배제한 좁은 의미로 사용된다. ​ 세계에서 가장 오랜 종교의 하나인 힌두교는 특정한 교조나 교리, 중앙집권적 권위나 위계조직이 없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신앙형태가 융합된 종교여서 간단히 정의..

인도 철학 2021.10.17

자이나교

A.개관 자이나교는 힌두교를 개혁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시작된 종교로서 인도 내에만 약 300만 명의 신도가 있다. 자이나교는 비록 규모는 작지만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를 통해서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종교였다. 간디는 자이나교 신자는 아니었지만 자인들(Jains: 자이나교 신도들) 사이에서 자라났고 그 교리를 기꺼이 받아들였는데, 그것은 아히스마(ahisma)라는 비폭력주의 사상이었다. 불교도들(Buddhists)이 부처(Buddha: the enlightened one, 깨달은 자)를 따르는 자들이듯이 자이나 교도들(Jains)은 '지나'(Jina: conqueror, 정복자)를 추종하는 자들이다. '지나'라는 말은 자이나교의 위대한 교사들 중 마지막에 해당하는 바르다마나(Var..

인도 철학 2021.09.12

[인도철학사] 9. 정리학파의 철학

[인도철학사] 제9장 정리학파의 철학 길희성: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전공. 저서-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목 차 ▒ ■ 제2부 인도철학의 체계화 제9장 정리학파의 철학 1. 정리철학의 전통 2. 지식의 의미와 방법 3. 지각의 이론 4. 추론의 논리 5. 비교와 증언 6. 자아, 신, 해탈 제9장 정리학파의 철학 1. 정리철학의 전통 ▲ 위로 정리 Nyaya학파의 철학체계는 전통적으로 가우타마 Gautama 혹은 안족 Aksapada이라는 사람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서력기원전 1-2세기의 사람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정리경 Ny..

인도 철학 202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