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교학 8

顯正論 현정론 - 己和 기화

顯正論 현정론 己和 기화 ​ 해제 ​ 1. 불교의 특성 2. 불효론에 대해 3. 불충론에 대해 4. 불살생에 대해 5. 불음주에 대해 6. 재보시에 대해 7. 윤회응보설에 대해 8. 화장에 대해 9. 삼세인과설에 대해 10. 이단설에 대해 11. 불교 유해론에 대해 12. 무위도식설에 대해 13. 불교 사태에 대해 14. 불교 무용론에 대해 15. 도・유・불 삼교의 같고 다름 ​ 解題 해제 ​ 현정론(顯正論)은 조선 초기의 승려 함허기화(涵虛己和, 1376~1433) 가 유교의 불교에 대한 비판을 이론적으로 논박하여 불교가 유교나 도교와 그 근본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한 글이다. 고려말 이래 많 은 유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비판이 나왔고, 이를 대표하는 것이 조선 초에 정도전(鄭道傳)이 쓴『불씨잡변(佛..

제교학 2023.05.21

自警文 자경문 - 野雲 야운

自警文 자경문 野雲 야운 ​ 해제 ​ 1. 출가하여 부지런히 수행하고 공안을 참구하라 2. 열 가지 경책 3. 열 가지 계법을 지켜 정각을 이루고 중생을 제도하라 ​ 解題 해제 이 글은 고려말에 활동한 야운각우(野雲覺玗) 선사가 불법을 공부 하려는 이들에게 당부한 글이다. 야운 선사는 고려 말의 대표적인 고승인 나옹혜근(懶翁慧勤, 1320~1376)의 제자로서 나옹의 총애를 받고 입적 후에는 다비하고 탑 과 비를 세우는 일을 주선했던 중요한 인물이었다. 자세한 행적이 알려지지 않은 야운의 생애는 단편적인 기록을 통 해 추정할 수 있다. 야운에 대한 당대의 자료는 고려 후기의 저명한 문 인인 권근(權近)이 1382년에 쓴 기록이다. 이에 의하면 야운은 나옹을 오랫동안 모셨고 나옹이 매우 사랑하였다고 한다...

제교학 2023.05.14

佛說彌勒成佛經疏 불설미륵성불경소

佛說彌勒成佛經疏 불설미륵성불경소 ​ 1. 설한 뜻을 분별함 2. 제목을 해석함 3. 본문을 바르게 풀이함 ​ 이 경을 해석할 때 대략 3문으로 한다. 첫째는 설한 뜻을 분별하는 것[辨 來意], 둘째는 제목을 해석하는 것[釋題目], 셋째는 본문을 바르게 풀이하 는 것[正解本文]이다. ​ 1. 설한 뜻을 분별함[辨來意] ​ 설한 뜻[來意]에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미륵이 인간을 교화함을 널리 드러내는 것이고, 둘째는 아래로 늦게 온 이들을 교화하여 깨닫게 하는 것 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앞에서 대략 비록 미륵불께서 하생하여 사람을 교 화하여 상품과 중품 사람들이 선한 근본을 심게 함을 보였지만, 미륵의 위 력이 가장 낮은 근기 사람들이 성심(聖心)을 빌게 하는 것을 널리 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두..

제교학 2023.05.07

彌勒下生經疏 미륵하생경소

彌勒下生經疏 미륵하생경소 ​ 1. 설한 뜻 2. 이름을 해석함 3. 글을 풀이함 ​ 이 경을 해석하는 데 3문이 있으니 첫째 설한 뜻[來意], 둘째 이름을 해 석함[釋名], 셋째 글을 풀이함[講文]이다. ​ 1. 설한 뜻[來意] ​ 설한 뜻[來意]을 말하면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하품(下品)136)중생을 교 화하기 위하기 위함이다. 미륵이 도리천에 나서 비록 상품(上品)과 중품(中 品)의 사람은 이롭게 하였으나, 하품인은 아직 부처의 이익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는 인간 세상에 나타나 가르치고 이끌기 위함이다. 도리천 위에서 가르치고 이끄는데 비록 먼저 널리 나타나서 인간 세상에서 일곱 가지 모습으로서 중생을 교화해도 아직 인도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이 다. 그래서 상생의 다음에 하생을 말한다...

제교학 2023.04.30

彌勒上生經料簡記 미륵상생경요간기

彌勒上生經料簡記 미륵상생경요간기 ​ 1. 가르침을 일으킨 연기를 서술함 1) 간략히 분별함 2) 자세히 분별함 2. 가르침의 종지와 요체를 자세히 분별함 1) 종지와 요체를 총괄하여 분별함 2) 별도로 경의 종지를 드러냄 3. 경전 대본의 단역과 중역 1) 단역본인지 중역본인지를 분별함 2) 진위를 분별함 4. 문장에 따라 해석함 ​ 이 경을 해석하는 데 대략 다섯 가지의 문으로 분별한다. 첫째, 가르침 을 일으킨 연기(緣起)를 서술한다.[述敎興緣起] 둘째, 경의 종지[宗]와 요 체[體]를 자세히 분별한다.[廣辨經宗體] 셋째, 경전 대본의 단역과 중역이 다.[經本單重] 넷째, 제목을 해석한다.[釋題目] 다섯째, 경문에 따라 해석한 다.[隨文解釋] 將釋此經, 略以五門分別. 一者述敎興緣起. 二者廣辨經宗體. ..

제교학 2023.04.23

三彌勒經疏 삼미륵경소 - 憬興(경흥)

憬興 경흥 [三彌勒經疏 삼미륵경소] ​ 彌勒上生經料簡記 미륵상생경요간기 1. 가르침을 일으킨 연기를 서술함 1) 간략히 분별함 2) 자세히 분별함 2. 가르침의 종지와 요체를 자세히 분별함 1) 종지와 요체를 총괄하여 분별함 2) 별도로 경의 종지를 드러냄 3. 경전 대본의 단역과 중역 1) 단역본인지 중역본인지를 분별함 2) 진위를 분별함 4. 문장에 따라 해석함 ​ 彌勒下生經疏 미륵하생경소 1. 설한 뜻 2. 이름을 해석함 3. 글을 풀이함 ​ 佛說彌勒成佛經疏 불설미륵성불경소 1. 설한 뜻을 분별함 2. 제목을 해석함 3. 본문을 바르게 풀이함 ​ 解題 해제 경흥(憬興)은 통일신라 시대의 유식사상가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 서는『삼국유사』에 독립된 전기가 실려 있으나(권5 感通 憬興遇聖) 구 체적인 연..

제교학 2023.04.16

解題 해제 - 신라 불교사상사

解題 해제 ​ 신라 불교사상사 1. 신라 불교사상의 확립 2. 유식사상 3. 원효 사상 4. 화엄사상 5. 계율사상 ​ 1. 신라 불교사상의 확립 ​ 무열왕이 즉위하여 ‘중대’(654~780년)가 시작되면서 7세기 중반의 신라 왕실은 지방제도 정비와 중앙제도 개편으로 왕권을 강화하여 중앙집권적 인 관료체제를 유지해갔다. 이들 체제를 운영하는 이념으로 유교가 영향력 을 확대해가고 유학자들이 대거 등장하였으며, 왕의 이름도 불교식 왕명에 서 시호로 바뀌었다. 중대 왕실은 백제와 고구려를 통합한 후 사회구조의 재편성을 시도하였고, 그러한 과정에서 이루어진 불교계의 제도적인 개편 으로 성전사원(成典寺院)이 승정기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채 상식, 1984) 이러한 정치적, 제도적 변화와 유학에 대한 이..

제교학 2023.04.09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 圓測 (원측)

圓測 원측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해제 1. 가르침을 일으킴과 제목 2. 경의 종체를 밝힘 1) 허망한 것을 거두어 진실로 돌아가는 문 2) 상을 거두어 식으로 돌아가는 문 3) 거짓으로써 진실을 따르는 문 4) 세 가지 법으로 결정된 문 5) 법수(法數)로서 체(體)를 나타내는 문 (1) 법수로서 체를 나타냄 (2) 본질과 그림자가 있고 없음 3. 글에 의해 바르게 해석함 解題 해제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원측(圓測, 613~696)이 지은 유식학의 중요 저술이다. 원측은 법휘는 문아(文雅)인데 자인 원측으로 불렸다. 신라의 왕족 으로 태어나 3세의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10대의 나이에 중국에 유학 하였다. 15세 때에 법상(法常)과 승변(僧辯)에게 섭론을 들으며 교학 수련에 열중하였다. 원측은..

제교학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