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종요도(三種要道) 7

삼종요도(三種要道)

삼종요도(三種要道) 쫑카빠(Tsongkhapa) 作詩, 로덴 譯 존귀하신 스승들께 배례(拜禮) 올립니다. 승리자께서 가르치신 모든 핵심적인 의미는 수승한 승리자의 아들, [보살]들께서 찬탄(讚嘆)하신 길, 상서로운 해탈을 원하는 이들을 위한 이 길을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하여 제가 해설하려 하옵니다. 1. 누구든 윤회의 안락에 탐착하지 않고 가만(暇滿)의 의미를 다하기 위해 정진하는 이는 [오직] 승리자를 기쁘게 하는 길에만 마음을 쏟는 상서로운 이들의 [뜻]에 맑은 마음으로 귀를 기울이라. 2. 청정한 출리심이 없이는, 윤회 바다의 안락한 과보(果報)에 이끌리고 마나니, 끊을 방법이 없으며, 윤회를 탐닉하는 몸 가진 이들은 [결국] 모든 것에 속박 당하고 마나니, 먼저 출리심을 구하라. 3. 얻기 힘든 ..

삼종요도(三種要道) 5 : 먼저 출리심을 구하라

삼종요도(三種要道) 5 : 먼저 출리심을 구하라 정견에는 사성제(四聖諦)에서 구분한 두 가지의 진리인 이제(二諦)가 있습니다. (*역주: 여기서 이제(二諦)는 사성제의 고제와 집제를 세속의 진리인 속제로 보고, 멸제와 도제를 궁극적 진리인 진제로 보는 데서 나온 말이다. 즉, 사성제를 이제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방식이다.) 귀의의 근본 대상인 부처님은 사성제의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 가르침은 완전무결한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을 이해하고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보리심과 함께 공성에 대한 바른 이해는 우리를 완전한 지혜인 일체지(一切智)로 이끌어 줍니다. 또, 바른 출리심이 생겨야 해탈의 길에 들어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먼저 출리심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2. 청정한 출리심이 없이는, 윤회 바..

삼종요도(三種要道) 4 : 출리심이란 무엇인가?

삼종요도(三種要道) 4 : 출리심이란 무엇인가? 자, 그러면 이제부터 토끼처럼 귀를 쫑긋이 세우고, 쫑카빠 대사의 『삼종요도』 즉, 세 가지 중요한 길에 대한 가르침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쫑카빠 대사는 티벳의 암도 지방에서 태어나서 위짱(U-Tsang)에 있는 중앙 티벳으로 여러 스승들께 공부하기 위해 갔습니다. 거기서 현교와 밀교를 모두 공부하고, 마침내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쫑카빠 대사는 다양한 인도의 경전과 주석들을 근거로 아주 뛰어난 열여덟 책(冊: 저서의 묶음)을 쓰셨습니다. 이 저서들은 수제자인 응아왕 닥빠(Ngawang Dragpa)에게 그대로 전해졌습니다. 쫑카빠 대사의 대표적인 저작인 『보리도차제론』과 이 『삼종요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삼종요도』에서는 출리심을 두 부분으..

삼종요도(三種要道) 3 : 더 조심하고 더 친절해지십시오

삼종요도(三種要道) 3 : 더 조심하고 더 친절해지십시오 중국은 티벳 사람들이 자비심을 공부하기에 아주 좋은 대상입니다. 그들은은 잠시 바르고 틀린 것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 자신들이 어떤 행동의 절차를 밟고 있는 지 잘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들에게 자비심을 보여줘야 합니다. 여러분 스스로 맑고 친절하게 대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티벳의 전통 술인 창(chang)에 중독 된 사람을 보십시오. 아주 형편없는 모습으로 바뀌고 맙니다. 그들은 점점 더 거칠고 무례해집니다. 부처님께서도 잦은 음주는 몸과 말과 마음으로 거칠고 좋지 않은 일들을 저지르게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흡연(吸煙)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정확하게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여러 의사들의 경고에서도 ..

삼종요도(三種要道) 2 : 서로에게 친절하라.

삼종요도(三種要道) 2 : 서로에게 친절하라. 밀법(密法, Tantra) 수행에서의 미세신(微細身), 풍기(風氣), 기맥(氣脈), 명점(明点) 등도 결국 출리심과 강력한 보리심 그리고 용수(龍樹) 보살과 당신의 두 제자(聖天과 佛護)께서 가르치신 공성에 대한 바른 이해, 이 세 가지 길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는 미세한 마음과 의식을 성취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한 자존심과 위엄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런 수행을 통하여 우리는 부처님의 지혜법신(智慧法身)과 색신(色身)의 고귀함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이러한 몸을 수행 중에 바로 가질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모든 중생의 이익을 위하여 깨달음을 이루려는 강력한 동기인 보리심을 바탕으로, 부처님의 지혜법신과 색신의 고귀함을 유지하는 수행을 통..

삼종요도(三種要道) 1 :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정수

지금 우리가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여기 특별한 보드가야에 머무는 것처럼, 모든 중생을 위해 깨닫고자 하는 마음인 보리심이라는 특별한 동기를 세워야 합니다. 아주 진지해져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도 당신의 순수한 보리심을 동기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이 모든 성취와 공덕은 깨달으려는 마음인 보리심에 의지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이 마음을 기르고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보드가야에서의 마지막 날인 오늘 우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하여 좀 더 많은 공덕을 쌓아야 합니다. 따라서 쫑카빠 대사의 “세 가지 중요한 길” 인 『삼종요도(三種要道)』를 계속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세상에 대한 집착과 번뇌 망상으로부터 떠나는 마음인 출리심(出離心)(*역주: 미혹(迷惑)한 세계를 포기하는 마음과 그에 ..

쫑카빠 『삼종요도(三種要道)』에 대한 짧은 설명

쫑카빠의 『삼종요도(三種要道)』 는 대단히 중요한 자료입니다. 삼종요도.. 즉 세가지 아주 중요한 길이라는 뜻 입니다. 세가지란 다음과 같습니다. 1. 출리심 2. 보리심 3. 공성(空性) 출리심은 염리심이라고도 합니다. 한국불교에서 보리심에 대한 명확한 뜻을 알고 계신분은 거의 드문듯 하더군요. 보리...보리살타....상구보리 하화중생..이런 단어는 많이 들어봤지만, 세밀한 뜻..그걸 잘 모르는듯 합니다. 보리란 그저 단순한 깨달음이 아닙니다. 뭘 위해 깨닫는가..그 원인..그게 중요하지요. 한국 불교는 결과만 중시하므로.. 보리심의 진정한 뜻이 잘 드러나지 않은 듯 합니다. 보리심이란, 시방삼세의 모든 중생들...즉 나의 어머니들을 모두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해드리겠다..라는 서원과 그 서원을 이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