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30송 (론서) 67

보왕삼매론 원문과 해설

보왕삼매론 원문과 해설 자료1.​『寶王三昧念佛直指』 十大碍行 第十七​一念身不求無病 身無病則貪欲乃生​二處世不求無難 世無難則驕奢必起​三究心不求無障 心無障則所學 等​四立行不求無魔 行無魔則誓願不堅​五謀事不求易成 事易成則志成輕慢​六交情不求益我 情益我則虧失道義​七於人不求順適 人順適則內心自矜​八施德不求望報 德望報則意有所圖​九見利不求霑分 利霑分則癡心必動​十被抑不求申明 抑申明則人我未忘​是故大聖化人以病苦爲良藥. 以患難爲解脫. 以障碍爲逍遙. 以群魔爲法侶. 以事難爲安樂. 以幣交爲資糧. 以逆人爲園林. 以市德爲棄 . 以 利爲富貴. 以受抑爲行門. 如是則居碍反通. 求通反碍. 是以如來於障碍中得菩提道. 至若鴦屈摩羅之輩. 提婆達多之徒. 皆來作逆. 而佛悉與其記. 化令成佛. 彼逆吾之順. 彼毁之成也. 於學道人 若不先居於碍. 則障碍至時莫能排遣...

유식사상(唯識思想, 산스크리트어 vijnapti-matrata) 개요

무착 보살 탱화차례1.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2. 유식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유가행파(瑜伽行派)라 한다. 3. 유식학의 대가들4. 유식사상의 특징1) 중관사상(中觀思想)과 유식사상의 관계2) 유식사상이란 마음에 관한 것이다. 3) 전식득지(轉識得智)를 추구하고 있다. 5. 주요 유식사상 1) 8식(八識)의 구조2) 유식 삼성설(唯識三性說)과 삼무성설(三無性說)3) 심왕(心王, citta)과 심소(心所, caitta)4) 유식 4분설(四分說)5) 유식 사지(唯識四智)6) 4선근(四善根)-4가행위(四加行位) 7) 유식수행 5위(唯識修行五位)=수도 5위(修道五位)---------------------------1.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유식사상(산스크리트어 비즈납티 마트라/vijnapti-matrata)은 ..

불교생활유식

삶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생활 속의 《唯識 30頌》 삶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생활 속의 《唯識 30頌》 정 화 풀어씀 머리말 당신의 자취 없는 소리를 읽었습니다. 환희의 슬픔이 온몸을 살며시 저미어 옵니다. 먼 발치에서 지켜볼 그 이의 잔잔한 호수의 빛이 오늘은 너무도 그립습니다. 벗이여! 부끄러워 당신 앞에 서기가 두려웠고 당신 또한 그림자만을 보았다지요. 스무 해가 넘게 당신의 소리 없는 법음을 들었건만 끝내 소리만 그립구려. 여기 옛 스님의 자취 없는 소리를 그려 보려 해도 흐르는 당신의 그림자만이라도 잡힐까요. 들국화가 사무치게 그리운 것은 떠난 벗의 향기가 배어 있어서였지요. 당신의 향기는 수선화였습니다. 냉동실에 살짝 겨울을 숨기고 봄을 맞는 향기였지만 노란 꽃이 더욱 그립습니다. 벗이여! 흐..

유식학입문 唯識學入門 / 오형근박사

유식학입문 唯識學入門 * 유식학입문(불광출판부)/오형근박사 ​ Ⅰ. 유식학(唯識學) 약사(略史) 불교는 유심사상(唯心思想)에 입각하여 교리를 대부분 설명한다. 모든 것은 마음을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사상을 기초로 하여 심체(心體)와 심작용(心作用)을 설명하고 정신과 물질과의 관계도 서로 불가분리한다는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 정신과 물질이 서로 평등한 관계를 갖고 있으면서 모든 것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선(善)과 악(惡)을 나타내는 주체는 정신이기 때문에 모든 것의 주인공은 마음인 것이다. 마음을 학술적으로 말하려면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에서 핵심적인 표현은 심의식(心意識)이라고 할 수 있다. 심(心)과 의(意)와 식(識)은 원시불교(原始佛敎)와 소승불교(小乘佛敎)에서도 정신을 설명할 때 소중하게 설명하고..

유식, 마음을 변화시키는 지혜-나를 바꾸는 불교심리학-(요코야마 코이츠 저, 안환기 역)

◎ 책소개 ​ ​ 유식(唯識), 지혜롭고 현명한 삶을 위한 생활 철학이 되다! 유식의 핵심 개념, 도표로 정리하여 이해하기 쉽고 재밌다! ​ 평생 유식학을 연구해 온 요코야마 코이츠 교수가 난해하고 어렵기로 유명한 유식을 지혜롭고 현명한 삶을 위한 생활 철학으로 변모시켰다. 『유식, 마음을 변화시키는 지혜』는 유식의 핵심 개념을 일상의 언어로 풀어내고,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일들을 구체적 사례로 들어 유식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또 현대 물리학의 원리가 유식사상과 어떻게 통하는지도 보여 준다. ​ 이 책은 유식학의 핵심 개념을 도표로 정리하여 유식에 접근하기 어려워하는 초심자도 이해하기 쉽게 구성했다. 또 이미 유식학의 핵심 개념에 익숙한 사람도 그 개념을 어떻게 우리 시대의 언어로 표..

유식사상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유식사상(산스크리트어 비즈납티마트라/vijnaptimatra)은 유식학, 유식론, 유식설 혹은 유식불교라 불리며, 마음의 역할과 구조 기능, 마음의 현상을 밝히는 불교심리학이다. 유식학은 실제적인 수련에 의해 성립된 불교 심리학으로서 아마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심리학일 것이다. 그런데 그 이론이 너무나 번잡해서 옛날부터 골치 아픈 학문의 대명사로 지목돼 왔다. 따라서 까다롭고 방대한 유식의 이론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므로 여긴 최대한 간추려서 논의를 하겠다. 유식사상은 용수(龍樹, Nagarjuna, AD 150~250?)가 정립한 중관사상(中觀思想)에서의 공사상(空思想)이 지나치게 공허한 사변으로 치우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용수가 죽고 80여년이 지난 4세기..

유식(唯識) 30송(頌)

유식(唯識) 30송(頌) (혜거스님 著) 유식(唯識)의 개요(槪要) 일[事]에는 본말(本末)이 있고 이치(理)에는 법칙(法則)이 있어서 천하의 사가 순환되고 만법이 동시에 존재한다. 일의 본말과 이치의 법칙을 깨달아 아는 것을 부처라 하고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핵심사상이 유식(唯識)이다.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제법종연생 제법종연멸(諸法從緣生 諸法從緣滅)은 일의 본말 곧 생멸의 이치를 밝힌 것이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이치의 법칙 곧 만법의 주체를 밝힌 사상이라 하겠다. 따라서 유식을 이해하는 것은 불교를 바로 아는 일이 되고 부처님의 사상을 이해하고 부처님께 접근할 수 있는 요문(要門)이라 하겠다. 유식이란 마음을 떠나서는 어떤 것도 존재할 수 없다 하신 부처님 사상을 토대로 심체(心體)와 심작..

<유식사상(唯識思想, 산스크리트어 vijnapti-matra)>시교실 철학강의 유식사상 완료

시교실 철학강의 유식사상 완료 고려 유식사상의 본거지였던 원주 법천사지(사적 제466호) 차례 1.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2. 유식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유가행파(瑜伽行派)라 한다. 3. 유식학의 대가들 4. 유식사상의 특징 1) 중관사상(中觀思想)과 유식사상의 관계 2) 유식사상이란 마음에 관한 것이다. 3) 전식득지(轉識得智)를 추구하고 있다. 5. 주요 유식사상 1) 8식(八識)의 구조 2) 유식 삼성설(唯識三性說)과 삼무성설(三無性說) 3) 심왕(心王, citta)과 심소(心所, caitta) 4) 유식 4분설(四分說) 5) 유식 사지(唯識四智) 6) 4선근(四善根)-4가행위(四加行位) 7) 유식수행 5위(唯識修行五位)=수도 5위(修道五位) --------------------------- 법천..

전식득지(轉識得智)

전식득지(轉識得智) 알라야식이 변해 지혜로운 불심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은 부처님과 같은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중생들이 자신의 마음을 갈고 닦아 부처님과 같은 마음을 가지는 것이다. 대승불교에서 마음의 현상을 철저하게 연구하고 분석한 학파가 유식학파이다. 유식학파는 우리 인간에게 고통과 번뇌를 가져다주는 근본으로서 실체적인 개념, 즉 영원불변한 절대적인 것이 있다는 관념은 우리의 마음이 만들어 낸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하여 실체적인 개념이 생겨나는 마음의 구조와 그러한 개념을 떠난 진실된 마음의 구조를 상세히 밝혔다. 곧 우리의 마음은 서로 관계하여 연기하고 있는 까닭에 좋은 인연을 만나면 진실 되고 지혜로운 마음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의 마음이 부처님과 같은 지..

[안양규] ■ 사고의 역기능과 그 해결 - 붓다의 가르침과 아론 벡(Aaron T. Beck)의 인지치료를 중심으로

思考(thinking)의 逆機能(dysfunction)과 그 해결 - 붓다(the Buddha)의 가르침과 아론 벡(Aaron T. Beck)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를 중심으로 - 안 양 규 /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교수 ▒ 목 차 ▒ I. 연구목표 II. 고통의 원인과 그 발생 과정 1.파판차(papañca): 역기능적인 사고 과정 2.인지왜곡(cognitive distortions) III. 역기능적 사고의 종식과 고통의 해결 1.불선한 사고(vitakka)를 통제하는 법 2.인지치료의 기법 IV. 맺는 말 이 논문은 2006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6-신진교수지원(인문사회분야)-A00124). 국문 초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