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사상 22

<팔부중도(八不中道)>

‘팔부중도(八不中道)’란 용수(龍樹, 나가르주나)의 중관사상(中觀思想)을 나타내는 말이다. 중도(中道)는 불교의 중요한 교의로 대소승을 막론하고 널리 중시되고 있으며, 각 종파에서도 모두 중도를 교리의 핵심으로 하고 있다. 각 종파의 중도설 가운데 가장 알기 쉬운 것이 팔부중도로 대승불교 중관학파와 삼론종의 중요한 이론이다. 여덟 가지 바르지 못한 견해를 바로잡는 정관(正觀)으로서, 서로 대립하고 있는 여덟 가지 그릇된 개념을 연기법(緣起法)으로 타파해 분별과 집착이 소멸된 공(空)의 지혜를 드러내는 것으로 팔부중도(八不中道), 팔부정관(八不正觀), 팔부중관(八不中觀), 팔불(八不), 팔사(八事), 무애중도(無碍中道)라고도 한다. ※‘불(不)’ 자 다음에 ㅈ과 ㄷ이 오면, 불을 부로 적는다. 그래서 팔불..

중관사상 2024.07.28

중도의 뜻 밝힌 용수의 <중론(中論)>

인연으로 생긴 법은 모두 空하다 대승 선구자의 대표 논서 꼽혀 ​ 화엄의 일승원교 사상도 나와 ​ 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그 사상적 체계를 세운 사람이 바로 용수(龍樹, Nagarjuna)이다. 흔히 그를 대승불교의 비조(鼻祖)라 하고 제 2 석가라 하기도 했다. 그는 대승의 선구자로써 활동을 하면서 많은 논서를 저술하였다. 대표적인 논서로 을 비롯하여 등이 있고 또 의 주석서라 할 수 있는 이 있다. 이러한 논서에서 주장한 용수의 사상은 한마디로 공(空)을 천명하는 공사상이다. 공이란 곧 존재의 본질을 밝히는 용어로 그 어원이 범어 ‘sunya’(舜若라 음사)인데 모든 존재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불변의 속성이나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뜻이다. “인연으로 생기는 법은 나는 곧 공하다고 말한다. 또한 거짓..

중관사상 2023.12.17

<중관(中觀)사상과 유식(唯識)사상>

​ 용수 상(일본) 부처님 입멸 후 용수(龍樹, Nigarjuna, 150경~250경)와 같은 걸출한 사상가의 등장은 대승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용수가 등장한 시기는 부파불교가 한창 분파를 거듭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시기였다. 흔히 불교 발전을 「근본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순서로 전개됐다고 한다. 그렇다고 각 사상의 발생과 소멸이 이렇게 확연하게 구분돼 단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부파불교가 끝나고 대승불교가 시작된 것도 아니다. 부파불교는 부처님 입멸 후 100~400년 사이에 분열을 거듭했지만, 기원 전후의 대승불교 흥기 이후에도 무려 700년 정도를 더 건재해, 부파불교와 대승불교가 병행해서 함께 발전한 시기가 700여년 된다는 말이다. ​ 따라서 용수가 본격적인 ..

중관사상 2023.11.19

중관사상

중관사상 [ Mādhyamika, The Middle Way , 中觀思想 ] 유형 개념용어 목차 정의 개설 연원 및 변천 내용 현황 의의와 평가 정의 불교에서 논파를 통하여 공, 연기, 무자성, 이제론 등을 강조하는 불교교리. 개설 ‘중관(中觀)’은 ‘가운데’를 뜻하는 산스끄리뜨어 ‘마디아(madhya)’에 ‘~인 것’ 등을 뜻하는 ‘마까(-maka)’가 첨언된 ‘가운데 것[中]’인 ‘마디아마까(madhyamaka)’와, ‘마디아’에 ‘~에 관련된 것, 사람, 학파, 주장’ 등을 뜻하는 ‘미까(-mika)’가 더해진 ‘마디아미까(mādhyamika)’를 한역한 것이다. 이것은 붓다의 가르침인 상견론(常見論, Śāsvatavādin)과 단견론(斷見論, Ucchedavādin), 즉 상주론과 단멸론이라는 양..

중관사상 2022.11.20

중관학파 Madhyamika 에 대하여

1. 중관학파의 의미 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a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aga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adhyamaka, Ma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梵名)으로는 Madhyamaka, 또는 Madhyamika 라고도 한다. 이 말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설들이 있다. . ㉠ Edgerton설(說)에 의하면 , 'Madhyamaka'라는 말은 madhya[중(中)의]라는 형용사의 최상급인 Madhyama[가장 중앙(中央), 가장..

중관사상 2022.11.06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이해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이해 불교학과 2003. 6. 10 머 리 말 의 공사상(空思想)을 철학적으로 체계화시킨 사람이 용수(龍樹, N g rjuna: 150∼250경 C.E.)이며, 이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을 중심으로 한 사상을 일반적으로 중관사상(中觀思想)이라 말하며, 또 그 중관사상의 흐름을 이어받는 불교 논사들을 중관파(中觀派)라 부른다. 용수는 외에도 다수의 저작을 남기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으로 이후 많은 주석서가 씌어진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용수는 을 저술하여 에 나타나는 공사상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 속에서 용수는 공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제24장 18게에서 ‘무릇 연기하고 있는 것, 그것을 우리들은 공성(空性)이라 설한다. 그것은 임의로 시설..

중관사상 2022.10.23

중론(中論) - 원문 및 해설

중론(中論) 중론은 모두 27장 448게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관인연품 : 연의 고찰(16게) 2. 관거래품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고찰(25게) 3. 관육정품 : 눈등의 지각 기관의 고찰(8게) 4. 관오음품 : 집합체의 고찰(9게) 5. 관육종품 : 과의 고찰(8게) 6. 관염염자품 : 탐욕과 탐내는 자의 고찰(10게) 7. 관삼상품 : 지어진 것의 고찰(34게) 8. 관작작자품 :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13게) 9. 관본주품 : 선행자의 고찰(12게) 10. 관연가연품 : 불과 연료의 고찰(16게) 11. 관본제품 : 전후의 궁극의 고찰(8게) 12. 관고품 : 고의 고찰(10게) 13. 관행품 : 형성작용의 고찰(8게) 14. 관합품 : 연합의 고찰(8게) 15. 관유무품 : 자성의 고찰(..

중관사상 2022.06.05

용수보살(龍樹菩薩, 나가르주나) - 공(空)사상의 확립자

용수보살(龍樹菩薩, 나가르주나) 용수(龍樹;Nagarjuna), 그는 대승불교의 모든 학파에서 제2의 부처님으로 추앙될 만큼 불교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인물로서 공(空)의 논리를 체계화한 煞幌�(中觀派)의 시조다. 인도의 대승불교를 연구하여 그기초를 확립하여 놓아 대승불교를 크게 선양하였다. 인도 제14조이며 공종(空宗)의 시조이다. 용수보살은 남인도 바라문 종족 출신이다. 천성이 총명하고 깨달음이 기이하여 문제를 다시 생각하는 법이 없었다. 갓난아이였을때, 여러 바라문이 각 게송이 32자로 이루어진 4베다 경전 각 4만 게송을 외우는 것을 듣고 그 문장을 모두 읊고 그 뜻을 이해했다. 약관의 나이에 여러 나라에 이름을 떨쳐 독보적이었고 천문. 지리. 도위. 비참 및 여러 도술을 종합하여 알았다. 뜻이..

중관사상 2022.01.09

[중론] 6.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①

[중론] 2부 가려 뽑은《중론》 1.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中論》은 다음과 같은 歸敬偈로 시작한다. 발생하는 것도 없고[不生]1) 소멸하는 것도 없으며[不滅] 不生亦不滅 서로 이어진 것도 아니고[不常] 서로 끊어진 것도 아니며[不斷] 不常亦不斷 서로 같지도 않고[不一] 서로 다르지도 않으며[不異] 不一亦不異 어디선가 오는 것도 아니고[不來] 어디론가 가는 것도 아니며[不去]2) 不來亦不出 온갖 망상을 잠재우며[戱論寂滅] 상서로운[吉祥] 能說是因緣 '緣起의 진리' 를 가르쳐 주신 부처님, 善滅諸戱論 최고의 스승이신 그분께 머리 조아려 예배드립니다. 我稽首禮佛 諸說中第一. - MK.3) 1-1, 1-2 이 게송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緣起' 이다. 연기란 쉽게말해 '얽혀서 발생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

중관사상 2021.12.26

반야중관학

반야중관학 [ Prajñā and Madhyamika Thought ] 외국어 표기 般若中觀學(한자) 목차 1. 개념 및 정의 2. 성립 배경과 주요 논서 1) 『반야경』의 성립 2) 기본 사상-『중론』- 3) 중관파의 주요 논서 3. 중관파의 역사와 그 사상적 전개 1) 초기 2) 중기 3) 후기 4. 주요 용어 및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2) 관련 직업군 1. 개념 및 정의 반야중관학(般若中觀學, prajñā and madhyamika thought)이란 대승불교(大乘佛敎, Mahāyāna)를 확립한 경전으로서 『반야경』의 공사상(空思想)에 토대를 두고, 용수(Nāgārjuna, 150~250)가 『중론』에서 제시하는 중도의 실천과 『반야경』에서 강조하는 ‘반야바라밀’ 즉 ‘지혜의 완성’을 통한..

중관사상 202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