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사상 21

중도의 뜻 밝힌 용수의 <중론(中論)>

인연으로 생긴 법은 모두 空하다 대승 선구자의 대표 논서 꼽혀 ​ 화엄의 일승원교 사상도 나와 ​ 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그 사상적 체계를 세운 사람이 바로 용수(龍樹, Nagarjuna)이다. 흔히 그를 대승불교의 비조(鼻祖)라 하고 제 2 석가라 하기도 했다. 그는 대승의 선구자로써 활동을 하면서 많은 논서를 저술하였다. 대표적인 논서로 을 비롯하여 등이 있고 또 의 주석서라 할 수 있는 이 있다. 이러한 논서에서 주장한 용수의 사상은 한마디로 공(空)을 천명하는 공사상이다. 공이란 곧 존재의 본질을 밝히는 용어로 그 어원이 범어 ‘sunya’(舜若라 음사)인데 모든 존재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불변의 속성이나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뜻이다. “인연으로 생기는 법은 나는 곧 공하다고 말한다. 또한 거짓..

중관사상 2023.12.17

<중관(中觀)사상과 유식(唯識)사상>

​ 용수 상(일본) 부처님 입멸 후 용수(龍樹, Nigarjuna, 150경~250경)와 같은 걸출한 사상가의 등장은 대승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용수가 등장한 시기는 부파불교가 한창 분파를 거듭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시기였다. 흔히 불교 발전을 「근본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순서로 전개됐다고 한다. 그렇다고 각 사상의 발생과 소멸이 이렇게 확연하게 구분돼 단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부파불교가 끝나고 대승불교가 시작된 것도 아니다. 부파불교는 부처님 입멸 후 100~400년 사이에 분열을 거듭했지만, 기원 전후의 대승불교 흥기 이후에도 무려 700년 정도를 더 건재해, 부파불교와 대승불교가 병행해서 함께 발전한 시기가 700여년 된다는 말이다. ​ 따라서 용수가 본격적인 ..

중관사상 2023.11.19

중관사상

중관사상 [ Mādhyamika, The Middle Way , 中觀思想 ] 유형 개념용어 목차 정의 개설 연원 및 변천 내용 현황 의의와 평가 정의 불교에서 논파를 통하여 공, 연기, 무자성, 이제론 등을 강조하는 불교교리. 개설 ‘중관(中觀)’은 ‘가운데’를 뜻하는 산스끄리뜨어 ‘마디아(madhya)’에 ‘~인 것’ 등을 뜻하는 ‘마까(-maka)’가 첨언된 ‘가운데 것[中]’인 ‘마디아마까(madhyamaka)’와, ‘마디아’에 ‘~에 관련된 것, 사람, 학파, 주장’ 등을 뜻하는 ‘미까(-mika)’가 더해진 ‘마디아미까(mādhyamika)’를 한역한 것이다. 이것은 붓다의 가르침인 상견론(常見論, Śāsvatavādin)과 단견론(斷見論, Ucchedavādin), 즉 상주론과 단멸론이라는 양..

중관사상 2022.11.20

중관학파 Madhyamika 에 대하여

1. 중관학파의 의미 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a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aga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adhyamaka, Ma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梵名)으로는 Madhyamaka, 또는 Madhyamika 라고도 한다. 이 말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설들이 있다. . ㉠ Edgerton설(說)에 의하면 , 'Madhyamaka'라는 말은 madhya[중(中)의]라는 형용사의 최상급인 Madhyama[가장 중앙(中央), 가장..

중관사상 2022.11.06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이해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이해 불교학과 2003. 6. 10 머 리 말 의 공사상(空思想)을 철학적으로 체계화시킨 사람이 용수(龍樹, N g rjuna: 150∼250경 C.E.)이며, 이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을 중심으로 한 사상을 일반적으로 중관사상(中觀思想)이라 말하며, 또 그 중관사상의 흐름을 이어받는 불교 논사들을 중관파(中觀派)라 부른다. 용수는 외에도 다수의 저작을 남기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으로 이후 많은 주석서가 씌어진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용수는 을 저술하여 에 나타나는 공사상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 속에서 용수는 공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제24장 18게에서 ‘무릇 연기하고 있는 것, 그것을 우리들은 공성(空性)이라 설한다. 그것은 임의로 시설..

중관사상 2022.10.23

중론(中論) - 원문 및 해설

중론(中論) 중론은 모두 27장 448게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관인연품 : 연의 고찰(16게) 2. 관거래품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고찰(25게) 3. 관육정품 : 눈등의 지각 기관의 고찰(8게) 4. 관오음품 : 집합체의 고찰(9게) 5. 관육종품 : 과의 고찰(8게) 6. 관염염자품 : 탐욕과 탐내는 자의 고찰(10게) 7. 관삼상품 : 지어진 것의 고찰(34게) 8. 관작작자품 :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13게) 9. 관본주품 : 선행자의 고찰(12게) 10. 관연가연품 : 불과 연료의 고찰(16게) 11. 관본제품 : 전후의 궁극의 고찰(8게) 12. 관고품 : 고의 고찰(10게) 13. 관행품 : 형성작용의 고찰(8게) 14. 관합품 : 연합의 고찰(8게) 15. 관유무품 : 자성의 고찰(..

중관사상 2022.06.05

용수보살(龍樹菩薩, 나가르주나) - 공(空)사상의 확립자

용수보살(龍樹菩薩, 나가르주나) 용수(龍樹;Nagarjuna), 그는 대승불교의 모든 학파에서 제2의 부처님으로 추앙될 만큼 불교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인물로서 공(空)의 논리를 체계화한 煞幌�(中觀派)의 시조다. 인도의 대승불교를 연구하여 그기초를 확립하여 놓아 대승불교를 크게 선양하였다. 인도 제14조이며 공종(空宗)의 시조이다. 용수보살은 남인도 바라문 종족 출신이다. 천성이 총명하고 깨달음이 기이하여 문제를 다시 생각하는 법이 없었다. 갓난아이였을때, 여러 바라문이 각 게송이 32자로 이루어진 4베다 경전 각 4만 게송을 외우는 것을 듣고 그 문장을 모두 읊고 그 뜻을 이해했다. 약관의 나이에 여러 나라에 이름을 떨쳐 독보적이었고 천문. 지리. 도위. 비참 및 여러 도술을 종합하여 알았다. 뜻이..

중관사상 2022.01.09

[중론] 6.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①

[중론] 2부 가려 뽑은《중론》 1.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中論》은 다음과 같은 歸敬偈로 시작한다. 발생하는 것도 없고[不生]1) 소멸하는 것도 없으며[不滅] 不生亦不滅 서로 이어진 것도 아니고[不常] 서로 끊어진 것도 아니며[不斷] 不常亦不斷 서로 같지도 않고[不一] 서로 다르지도 않으며[不異] 不一亦不異 어디선가 오는 것도 아니고[不來] 어디론가 가는 것도 아니며[不去]2) 不來亦不出 온갖 망상을 잠재우며[戱論寂滅] 상서로운[吉祥] 能說是因緣 '緣起의 진리' 를 가르쳐 주신 부처님, 善滅諸戱論 최고의 스승이신 그분께 머리 조아려 예배드립니다. 我稽首禮佛 諸說中第一. - MK.3) 1-1, 1-2 이 게송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緣起' 이다. 연기란 쉽게말해 '얽혀서 발생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

중관사상 2021.12.26

반야중관학

반야중관학 [ Prajñā and Madhyamika Thought ] 외국어 표기 般若中觀學(한자) 목차 1. 개념 및 정의 2. 성립 배경과 주요 논서 1) 『반야경』의 성립 2) 기본 사상-『중론』- 3) 중관파의 주요 논서 3. 중관파의 역사와 그 사상적 전개 1) 초기 2) 중기 3) 후기 4. 주요 용어 및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2) 관련 직업군 1. 개념 및 정의 반야중관학(般若中觀學, prajñā and madhyamika thought)이란 대승불교(大乘佛敎, Mahāyāna)를 확립한 경전으로서 『반야경』의 공사상(空思想)에 토대를 두고, 용수(Nāgārjuna, 150~250)가 『중론』에서 제시하는 중도의 실천과 『반야경』에서 강조하는 ‘반야바라밀’ 즉 ‘지혜의 완성’을 통한..

중관사상 202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