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오가해

[스크랩] 86 능정업장분 3

수선님 2018. 2. 4. 12:48

億千供佛福無邊 爭似常將古敎看 白紙上邊書黑字 請君開眼目前觀 風寂寂水漣漣 謝家人祗在魚船
수많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복 무변하지만, 어찌 예부터의 가르침을 항상 지니는 것 같으리오? 흰 종이 위에 검은 글자를 써놓았으니, 그대의 눈을 열어 눈앞의 진리를 관찰할지어다. 바람은 고요하고 물은 잔잔하니, 사씨 집안 사람들은 다만 고기를 잡으려고 고깃배에 있노라.

〈보충설명1〉 바람이 고요하고 물이 잔잔해야 낚시를 드리우고 고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금강경』을 수지독송하면서 아상·인상 등의 사상(四相)을 없애면 진리가 우리 눈에 여실히 드러나게 됩니다.
〈보충설명2〉 중국은 사씨(謝氏) 집안에 어부가 많았습니다. 야보 스님은 진리를 낚아 올리는 『금강경』 학인(學人)을 어부에 비유하려고 사씨를 송(頌)에 이끌어 온 것입니다.

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於後末世 有受持讀誦此經 所得功德 我若具說者 或有人 聞心則狂亂 狐疑不信
“수보리여!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후말세에 이 『금강경』을 수지독송하여 얻는 공덕에 대해 내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혹 어떤 사람은 마음에 광란이 일어나서 여우같은 의심을 내고 믿지 않을지도 모르리라.”

{六祖}佛言末法衆生 德薄垢重 嫉彌深 衆聖潛隱 邪見熾盛 於此時中 如有善男子善女人 受持讀誦此經 遠離諸相 了無所得 念念常行慈悲喜捨 謙下柔和 究竟成就無上菩提 或有聲聞小見 不知如來正法 常在不滅 聞說如來滅後後五百歲 有人能成就無相心 行無相行 得阿多羅三三菩提 則心生驚怖狐疑不信
부처님 말씀인즉, 말법 중생은 덕이 얇고 때가 겹겹이며 질투심이 깊어서 많은 성인들이 숨어버리고 삿된 견해가 치성하겠지만, 그런 때에 선남자·선여인이 이 경을 수지독송하여 모든 모습을 여의고 얻을 바 없는 진리를 요달해서, 생각마다 항상 자비희사 행하기를 생각하며 겸손으로 낮추고 부드러움으로 화합하는 마음으로써 구경에 무상보리를 성취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혹 어떤 성문(聲聞)은 여래의 바른 법이 항상 존재하고 멸하지 않음을 알지 못하는 소견 때문에, 여래가 멸한 뒤 후오백세에도 사람들이 무상의 마음을 성취하고 무상의 행을 실천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고 말하면, 곧 마음으로 놀라고 의심하여 믿지 않는다는 것이다.

須菩提 當知是經義不可思議 果報亦不可思議
“수보리여, 마땅히 알라! 이 『금강경』은 이치도 불가사의하고, 과보도 또한 불가사의하니라.”

{冶父}各各眉毛眼上橫
누구나 다 눈썹은 눈 위에 횡으로 그어져 있도다.

〈보충설명〉 누구에게나 똑같이 눈 위에 눈썹이 있는 것처럼 『금강경』은 누구나 다 갖추고 있고 평이한 진리인데, 부처님께서는 공연히 불가사의 하다는 등 너무 요란스럽게 선전하신다고 야보 스님이 한 번 꼬집는 내용입니다.

良藥苦口 忠言逆耳 冷暖自知 如魚飮水 何須他日待龍華 今朝先授菩提記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리도다. 차고 덥고는 물고기가 물을 마시고 알듯 스스로 아는 것이로다. 어찌 뒷날의 미륵부처님을 기다리겠는가? 오늘 아침에 이미 보리의 수기(授記)를 받았도다.

〈보충설명1〉 부처님께서 강한 어조로 말씀하신 이 부분은 가벼이 넘기지 말고 잘 명심해야 합니다. 진리는 물고기가 물을 마셔보고 더운물인지 찬물인지 비로소 알듯이 스스로 수행해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실증(實證) 실오(實悟) 해나가면 미래불인 미륵불을 기다리지 않더라도 오늘 아침에 당장 수기를 받은 것과 다름없습니다.
〈보충설명2〉 何須他日待龍華(하수타일대용화)의 수(須)는 求(구할 구)의 뜻.

杜詩 맛보기

兵車行
車馬蕭蕭 行人弓箭各在腰
爺孃妻子走相送 塵埃不見咸陽橋
牽衣頓足欄道哭 哭聲直上干雲
수레는 덜컹덜컹, 말은 두려워 우는 소리. 군대에 끌려가는 행인들은 활과 살을 각각 허리에 차고, 어머니와 처자는 총총 달려 서로 붙들고 송별하네. 자욱한 먼지에 함양의 다리를 볼 수 없어라. 옷깃은 부여잡고 발은 동동 구르면서 길을 가로막고 통곡하니, 곡소리가 구름까지 올라가 하늘을 울리네.

道旁過者問行人 行人但云點行頻
或從十五北防河 便至四十西營田
去時里正與頭 歸來頭白還戍邊
길 곁에 지나던 내가 행인에게 물어보니, 행인은 다만 징집이 잦아졌다 하였네. 어떤 이는 열다섯에 황하의 북쪽으로 징발이 되었다가 마흔 살이 다 되도록 서쪽 진영에서 둔전(屯田)을 친다하고, 입대할 땐 촌장(村長)이 나누어 준 두건을 썼는데 백발 되어 돌아왔건만 또 다시 변방으로 끌려갔다네.

邊庭流血成海水 武皇開邊意未已
君不聞 漢家山東二百州 千村萬落生荊杞
변방의 뜨락은 피가 흘러 바닷물을 이루건만, 한나라 무제는 변방을 개척하기 멈추지 아니하네. 그대는 듣지 못했는가? 한나라 산동(山東)땅의 이백(二百) 고을이 곳곳마다 쑥대밭이 되었음을.

縱有健婦把鋤犁 禾生畝無東西
況復秦兵耐苦戰 被驅不異犬與鷄
비록 건장하단 부인네가 호미와 쟁기를 잡는다고 하지만, 벼가 올라와도 논밭은 이랑의 구분이 어렵네. 그런 차에 진나라의 병사인들 괴로운 전쟁을 참겠는가? 내몰려지는 모습이 개나 닭과 다를 바가 없어라.

長者雖有問 役夫敢申恨
且如今年冬 未休關西卒
縣官急索租 租稅從何出
어르신들 비록 위문하러 오지만, 병사들은 감히 한을 풀어놓지 못하네. 만일 금년 겨울에 관서의 전쟁을 쉬지 않으면, 고을의 관리들이 세금을 재촉할 때 조세를 어떻게 내겠는가?

信知生男惡 反是生女好
生女猶是嫁比隣 生男埋沒隨百草
진실로 알았도다! 아들을 낳는 것은 꺼려지고 딸을 낳는 것이 오히려 좋은 것을! 딸을 낳으면 이웃집에 시집보낼 수 있지만, 아들을 낳으면 골짜기에 묻혀서 온갖 잡초에게 좋은 일만 하누나.

君不見 靑海頭 古來白骨無人收
新鬼煩寃舊鬼哭 天陰雨濕聲
그대는 알지 못하는가? 청해성 땅에는 예부터 백골을 거두는 사람이 없는 것을. 새로 죽은 귀신들은 원한에 사무치고 묵은 귀신들도 울음을 토하니, 하늘은 어둡고 비는 축축하여 소리 더욱 을씨년스럽도다.

〈보충설명1〉 이 詩는 당나라 현종이 지금의 티베트에 해당하는 지역을 공략하기 위해 병력을 모았기 때문에 피폐해진 민심을 살피면서 반전(反戰)을 외친 두보의 대서사시입니다. 전쟁 때문에 황폐해진 민중의 마음과 그 슬픔을 공유하는 두보의 마음이 하나로 어우러진 선(禪)의 세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보충설명2〉 제목에서의 ‘행(行)’은 ‘歌(노래 가)’의 뜻입니다.

〈보충설명3〉 車馬蕭蕭(차린린마소소): 린린()은 전장(戰場)으로 향하는 수레의 덜커덩거리는 소리이며, 소소(蕭蕭)는 소란한 분위기를 감지한 말이 두려워서 우는 소리입니다.

〈보충설명4〉 爺孃(야양)은 어머니, 妻子(처자)는 부인과 자녀들.

〈보충설명5〉 去時里正與頭(거시리정여과두): 출정 때에 촌장이 두건을 나누어 주는 것은 미성년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것을 암시합니다.

〈보충설명6〉 武皇開邊意未已(무황개변의미이): 무황(武皇)은 한무제(漢武帝)를 말합니다. 한나라의 무제도 지금의 티베트 지역과 전쟁을 많이 했습니다. 당나라 현종과 한나라 무제는 연대가 벌어지지만 두보가 당시의 임금인 현종을 바로 욕할 수 없어서 한 무제를 빌어 비난하고 있습니다.

〈보충설명7〉 況復秦兵耐苦戰(황부진병내고전): 전국시대를 통일한 진나라는 군사력이 강했습니다. 두보는 강력한 진나라의 군대를 이끌어서 당나라의 군대로 비유했습니다. 아무리 강한 군대라고 하여도 전쟁의 고통을 어떻게 감내할 수 있겠느냐는 반전(反戰)의 외침입니다.

〈보충설명8〉 信知生男惡(신지생남악)의 ‘信’은 ‘진실로’ 라는 뜻입니다.

〈보충설명9〉 당나라 때에 청해(靑海)성은 요충지로서 전쟁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입니다.

출처 : 忍土에서 淨土로
글쓴이 : 느린 걸음 원글보기
메모 :

'금강경 오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88 구경무아분 2  (0) 2018.02.11
[스크랩] 87 구경무아분 1  (0) 2018.02.11
[스크랩] 85 능정업장분 2  (0) 2018.02.04
[스크랩] 84 능정업장분 1  (0) 2018.02.04
[스크랩] 83 지경공덕분 3  (0) 2018.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