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실천강의

[스크랩] 금강경 제21분 비설소설분 강설

수선님 2017. 12. 10. 13:55
제 21, 비설소설분
설함 없이 설하다


非說所說分 第二十一
須菩提 汝勿謂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作是念 何以故 若人言 如來有所說法 則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說 是名說法 爾時 慧命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須菩提 彼非衆生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衆生衆生者 如來說非衆生 是名衆生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내가 법을 설했다’는 생각을 내겠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내가 법을 설했다’는 그런 생각을 내시지 않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며,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고 하지만 법을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기 때문에 다만 이름하여 법을 설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 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있어서 다음 세상에 이 진리의 말씀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들은 중생이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곧 중생이 아니라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다.”

비설소설은 설하되 설한 바가 없는 가르침을 말하고 있다.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하나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하나 법을 설할 주체로서의 여래 또한 없음을 아울러 말하고 있다. 이렇게 설할 법도 없고 설할 주체인 여래 또한 공하다고 하는 것에서 이 분의 가르침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이어 그 설한 법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는 설법의 대상인 중생들 또한 본래 공함을 밝히고 있다.
설법을 하려면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법을 설하는 자 즉 ‘여래’와 듣고 믿고 따르는 자인 ‘중생’, 그리고 두 사람 사이에 오고 갈 ‘법’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비설소설분에서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텅 비어 있으며 실체 없는 공성임을 밝힘으로써 ‘설하되 설한 바 없는 이치’를 설함 없이 설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분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구마라집과 현장 역에서는 세존과 수보리의 대화 형식이 아닌 세존의 직설로 옮기고 있으나 산스크리트 원전에서는 이상에서와 같이 세존과 수보리의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은 세존의 직설로 해석하는 것 보다 원전에서와 같이 대화 형식을 취하는 것으로 해석할 때 그 이해가 더욱 빠르기 때문에 산스크리트 원전의 해석 방식을 따랐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내가 법을 설했다’는 생각을 내겠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내가 법을 설했다’는 그런 생각을 내시지 않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며,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여래는 ‘나’가 없다. 완전한 무아(無我). 본래 내가 없음을 온전히 체득하여 각찰(覺察)한 이가 바로 여래요, 부처다. 내가 없다는 것(無我)은 곧 ‘비어있음’을 의미하며, 공성(空性), 연기, 중도, 무상(無常), 무상(無相), 무주(無住)를 의미한다. 즉, 나라는 실체가 없어 공하기 때문에 항상하지 않고, 고정된 실체가 없으며, 어디에도 머물러 있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느 한 쪽의 극단에 치우치지도 않는다. 다만 이렇게 세상에 나도 있고 너도 있으며 세상도 있는 것 처럼 보이는 이유는 연기하기 때문인데, 수많은 인연들이 모여 잠시 물거품처럼, 꿈처럼 잠시 만들어졌다 사라질 뿐인 것이다.

그건 부처님께서 내가 없음을 깨닫고자 애쓴 결과가 아니다. 본래 이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이 세상이라는 것, 삼라만상 만물이라는 것이 우리 눈에 보기에는 ‘있는’ 것 처럼 보이고 그 속에서 울고 웃으며 일희일비(一喜一悲)하며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삶과 존재 또한 분명 이렇게 우리의 오감, 육감으로 느낄 수 있고 인지할 수 있다보니 모든 사람들은 ‘있다’고 착각을 하며 살게 마련이다. 그러나 그 모든 존재의 이면을 살펴보라. 어느 하나 항상하는 것이 있는가, 죽지 않는 것이 있는가,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있는가, 언제까지고 변치 않는 것이 있는가, 언제까지고 머물러 있을 곳이 있는가, 누구나 잠시만 사유의 뜰에 비질을 해 본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그런 곳에서 어찌 고정된 실체의 ‘나’를 찾을 것인가. 지금 눈에 보이는 나는 다만 인연이 모여 잠시 잠깐 물거품처럼 만들어 진 것일 뿐이다.

바로 이 점을 깨달은 분이 부처요 여래다. 나 없음의 도리를 깨달으신 분이 부처님이다. 나 없음의 이치를 깨달으신 분께서 ‘나’를 도모하며 살고자 하겠는가. 어느 곳에서 ‘나’를 내세우고자 하시겠는가. 내가 법을 설했다거나, 내가 진리를 깨달았다거나, 내가 불교라는 종교를 만들겠다거나, 내가 한 종교의 교주가 되겠다거나, 나의 종교 교세를 확장하고 신도를 늘리겠다거나 하는 그런 생각을 낼 수 있겠는가. 도저히 그런 생각이 일어날 수 없다. 만약 그런 생각이 일어났다면 그건 여전히 아상에 갇혀 있다는 증거이고 그는 깨달은 자가 아니다. 그는 여래가 아니며 부처가 아니다.

요즘 이 시대를 보라. 얼마나 많은 어리석은 이들이 종교를 지도하고 있으며, 종교를 신행하고 있는가. 참된 종교 지도자, 수행자, 성직자는 스스로를 내세우지 않는다. 스스로를 뽐내지도 않고, 자신의 이름을 널리 펴려고 애쓰지도 않는다. 교세를 확장하려는 생각이 없고, 신도를 많이 모으려는 시주금을 많이 모으려는 생각이 없다. 종교 본연의 모습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종교지도자가 얼마나 올곧은가, 얼마나 진리와 합일하고 있는가, 얼마나 부처님의 하느님의 가르침과 일치된 삶을 살고 있는가를 보려거든 얼마나 상에 갇혀있지 않은가, 얼마나 나를 내세우지 않는가, 얼마나 내 욕심과 집착을 채우려는 생각이 없는가를 보라. 그것이 바로 진리를 걷는 길이요, 부처님과 하느님의 길이기 때문이다.

부처님은 이처럼 내세울 내가 없고, 욕심과 집착을 채울 내가 없으며, 법을 설할 내가 없다. ‘여래가 법을 설했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우리들 중생들 쪽에서 바라본 생각일 뿐이지, 여래 당신은 그런 생각이 없다. 법을 설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법을 설하면서도 ‘내가 법을 설했다’는 그런 아상에 갇히지 않는다. 설함 없이 법을 설한다. 함이 없이 모든 것을 다 하신다. 응무소주 이생기심, 즉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 모든 부처님의 함이 없는 행이다.
만약 누군가가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한다면, 법을 설할 여래라는 주체를 내세워 말한다면, 그는 전혀 여래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는 자요, 여래를 비방하는 자다.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한다는 말은 법을 설할 여래가 있다는 말인데, 그 말은 여래가 무아를 깨닫지 못했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나 없음’을 깨달은 자가 여래인데, ‘나 없음’을 깨닫지 못했다고 말하는 것이니 그것이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인가. 여래에게 깨닫지 못한 자라고 말하는 것과 같으니 어찌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는 전혀 여래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는 자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법을 설할 주체인 ‘여래가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법을 설할 ‘여래’도 없고, 설할 바 ‘법’도 없으며, 설한 법을 들을 ‘중생’도 없다는 비설소설분의 첫 번째 가르침이 바로 여기에 나와 있는 것이다.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고 하지만 법을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기 때문에 다만 이름하여 법을 설한다고 하는 것이다.”

앞에서 법을 설할 ‘여래’가 없다는 가르침에 이어, 이 부분은 설할 바 ‘법’ 또한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여래가 법을 설한다고 하지만 사실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다. 다만 이름하여 법을 설한다고 했을 뿐이다.
아무리 순수 무결한 진리의 법이라 하더라도 그 법을 진리라고 고정 짓고 집착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법으로써의 자격을 상실하고 만다. 법은 고정될 수 없고 집착될 수 없다. 법을 법이라고 하면 더 이상 법이 아니다. 다만 이름을 법이라고 한 것일 뿐.

그러니 어떠한가.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불법만이 참다운 법이라고 고집할 수 있겠는가. 법을 어떤 ‘불교의 가르침’이라는 틀에 가둬 놓고 이 안에 있는 것만이 진리며 이 바깥의 것들은 다 진리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하느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다 틀렸고, 알라의 말씀은 다 틀렸고, 부처님의 말씀만이 진리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중요한 것은 진리 그 자체이지 진리라는 이름이 아니다. 부처님 가르침 그 내용 자체에 있지 그것을 가두는 불법이라는 틀에 있지 않다. 불법은 성경 속에도 있을 수 있고, 코란에도 있을 수 있으며, 수많은 고전들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설법은 부처님의 말씀을 통해서만, 스님들의 입을 통해서만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목사님이나 신부님의 말씀 속에도 설법은 있을 수 있고, 어린 아이의 입에서도 법은 설해질 수 있으며, 수많은 우리의 이웃들에게도 진리의 법은 들을 수 있다.

불법을 어떤 틀에 가두지 말라. 가두고 묶어두고 머물러 집착하면 그것은 더 이상 진리로써의 생명력을 잃고 만다. 진리라는 것이 가둬지지 않은 것을 이름하는 것이며, 고정되지 않은 것, 집착되지 않은 것을 이름하기 때문이다. 진리대로 이해되고 해석될 수 있다면 모든 것이 법일 수 있겠지만, 진리답게 이해되지 못하면 법도 법이 아니다. 그래서 옛 말씀에 어리석은 이가 말하면 법도 법이 아닌 것이 되지만, 지혜로운 이가 말하면 법 아닌 것도 법이 된다는 말씀이 있다. 그러니 불경을 해석하고 공부하면서도 진리답게 공부하지 못하면 불경을 보면서도 외도의 가르침을 보는 것이 되지만, 성경이든, 고전이든, 그 어떤 책이건 간에 진리답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그 속에 법은 깃든다. 문제는 ‘경전’ 그 자체가 아니라 경전에 대한 올바른 ‘봄(正見)’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이 금강경의 가르침을 비롯하여 부처님 열반 전까지 설하셨던 모든 가르침에 대해 당신은 ‘한 법도 설한 바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법을 설하면서도 법을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다고 말씀하셨다.


그 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있어서 다음 세상에 이 진리의 말씀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들은 중생이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곧 중생이 아니라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다.”


이런 시의적절한 질문을 바로 이 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보리가 혜명(慧命)이다. 혜명이란 비구스님을 높여 존칭하는 말로 온전한 지혜를 구족하였으므로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법을 설한 ‘여래’가 공하며, 설한 바 ‘법’ 또한 공하다는 법문을 듣고 혜명 수보리는 부처님께 사뢰었다. 여래 아닌 여래가 설한 바 없이 설하는 법을 듣는 중생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여래의 깊은 깨달음을 이 다음에 어떤 중생들이 듣고 믿어 깨달을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이다.

과연 이러한 깊은 진리의 말씀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낼 수 있는 이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란 말인가. 그들은 중생이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중생은 중생이 아니라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다. 즉 법을 듣는 대상인 중생들 또한 공하다는 말이다. 중생이라는 것이 실체로써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중생이라는 어떤 실체가 있는가. 부처님께서는 깨닫고 보니 제도할 중생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모든 이들은 본래부터 깨달아 있다. 별도로 깨달아야 하는 것이 아니다. 어리석은 중생이 마음 닦는 수행을 통해 깨달은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다. [화엄경]에서도 말했듯이 중생과 마음과 부처는 하나다. 그러나 중생이라 이름붙인 이유는, 다만 본래 깨달아 있는 본래부처들이 잠시 미혹하여 번뇌를 스스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조금 자세히 설명하면, 나라는 주관과 이 세상이라는 객관이 눈에 보이고 만져지고 들리는 등 오감으로 느껴지다 보니 실제로 있는 것으로 착각하여 실체화했고 그 실체화가 연이어 나와 남에 대한 집착을 만들어 냈기 때문에 수많은 번뇌들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그러니 중생이라는 것이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잠시 착각하여 집착한 자일 뿐이다. 그 착각과 집착만 제거하면, 전도된 망상인 미혹만 제거하면 일시에 모든 번뇌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니 어떤가. 중생도 중생이 아니요 여래도 여래가 아니다. 중생이 미혹과 집착만 제거하면 곧 여래인 것이다. 그러나 미혹과 집착, 번뇌며 욕심이라는 것 또한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생이 곧 여래요, 번뇌가 즉 보리이고, 생사가 곧 열반인 것이다.
‘법’의 시선에서 본다면 ‘법’ 그 자체도 물거품이요 꿈이며 환상이고, ‘중생’도 물거품이요 꿈이며 환상이고 ‘여래’도 물거품이요 꿈이며 환상일 뿐이다. 이 분 비설소설분에서는 이처럼 ‘부처님께서 중생들에게 법을 설한다’고 하는 이 말이 그저 말일 뿐이지 실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래가 중생에게 법을 설한다’는 것은 곧 ‘여래가 중생에게 법을 설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만 말이 ‘여래가 중생에게 법을 설한다’는 것일 뿐이다.
출처 :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글쓴이 : 법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