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단박에 깨침(頓悟)
善知識 我於忍和尙處 一聞 言下 大悟 頓見眞如本性 是故 將此敎法 流行後代 令學道者 頓悟菩提 各自觀心 令自本性 頓悟 若不能自悟者 須覓大善知識示導 見性
선지식아, 나는 5조 홍인 화상 아래에서 한 번 듣고 말끝에 크게 깨달아 단박에 진여의 본성을 보았느니라. 그러므로 이 가르침의 법을 후대에 유행시켜 학인들로 하여금 보리를 단박에 깨쳐 각자 마음을 보아 자기의 본성을 단박에 깨닫게 하려는 것이다. 스스로 깨치지 못하는 사람은 반드시 큰 선지식을 찾아 지도를 받아서 성품을 보아야 한다.
何名大善知識 解最上乘法 直示正路 是大善知識 是大因緣 所謂化導令得見佛 一切善法 皆因大善知識能發起 故三世諸佛 十二部經 云在人性中 本自具有 不能自性悟 須得善知識示導 見性
무엇은 큰 선지식이라 하는가. 최상승법이란 바른 길을 곧바로 가리키는 것임을 아는 사람이 큰 선지식이며 큰 인연이로다. 이른 바 교화하고 지도하여 부처를 보게 함이니, 일체 선법이 큰 선지식이 능히 일으키는 것이니라. 그런 까닭에 삼세의 모든 부처와 12부경이 사람의 성품 가운데 있어 본래 스스로 갖추고 있다 말하나, 자성을 깨닫지 못하면 마땅히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서 성품을 보아야 할지니라.
若自悟者 不假外善知識 若取外求善知識 望得解脫 無有是處 識自心內善知識 卽得解脫 若自心邪迷 妄念顚倒 外善知識 卽有敎授 不得自悟 當起般若觀照 刹那間 妄念俱滅 卽是自眞正善知識 一悟卽知佛也
스스로 깨달은 사람이라면 바깥의 선지식에 의지하지 않는다. 밖으로 선지식을 구하여 해탈을 구하기를 바란다면 그 자리가 어디에 있을 것인가. 자기 마음 속의 선지식을 알면 곧 해탈을 얻으리니. 자기 마음이 삿되고 미혹하여 망념으로 전도되면, 바깥의 선지식이 가르친다 하여도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 그러므로 마땅히 반야로써 관조하면 찰라간에 망념이 모두 사라지니 이것이 곧 자신의 진정한 선지식이며, 한 번 깨치면 곧 부처를 아느니라.
自性心地 以智惠觀照 內外明徹 識自本心 若識本心 卽是解脫 旣得解脫 卽是般若三昧 悟般若三昧 卽是無念
자성의 마음자리를 지혜로써 관조하면 안팎이 사무쳐 밝져 자기의 본래 마음을 알게 된다. 본래 마음을 알면 즉 해탈이요 해탈을 이미 얻으면 곧 반야삼매이며, 반야삼매를 깨치면 곧 무념이니라.
何名無念 無念法者 見一切法 不著一切法 遍一切處 不著一切處 常淨自性 使六賊 從六門走出 於六塵中 不離不染 來去自由 卽是般若三昧 自在解脫 名無念行
무엇을 무념이라 하는가. 무념법이란 모든 법을 보되 모든 법에 애착하지 않으며, 모든 곳에 두루하되 모든 곳에 집착하지 않느니라. 자성이 항상 청정하여 여섯 도둑놈들로 하여금 육문을 따라 달려나가게 하나, 육진가운데 떠나지도 물들지도 않아 오고 감에 자유로우니, 곧 반야삼매요 자재 해탈이니, 무념행이라 이름하느니라.
莫百物不思 常令念絶 卽是法縛 卽名邊見 悟無念法者 萬法盡通 悟無念法者 見諸佛境界 悟無念頓法者 至佛位地
백 가지 물건을 생각하지 않고 생각을 끊지 말라. 이는 곧 법에 묶임이니 곧 변견이라 이름하노라. 무념법을 깨달은 이는 만법에 통달하고, 무념법을 깨달은 이는 모든 부처의 경계를 보며, 무념법을 깨달은 이는 부처의 지위에 이르느니라.
◎ 돈견본성(頓見本性: 본래 성품을 단박에 봄)
내외명철하면 이것이 곧 識心(마음을 앎) · 해탈 · 無念이고, 무념은 곧 佛地라 하였다. 내외 명철은 묘각이며, 식심은 견성이므로, 견성하면 묘각해탈이요 불지무념이다. 그러므로 견성 하면 곧 성불인 것이다.
"곧 불성을 보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卽見佛性 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열반경 二]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서 불성을 보느니라.(必得 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得見
佛性)". [열반경 二十]
◎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무상정각 곧 성불이니, 위의 글들은 성불과 견성이 동일한 내용임을 말한다.
"지위가 십지인 보살이라 하여도 오히려 불성을 밝게 보지 못하느니라(菩薩 位階十地 尙未 明了知見佛性)". [열반경 八] *尙(오히려 상)
"모든 부처님은 정·혜를 함께 함으로써 불성을 밝게 보느니라.(諸佛世尊 定慧等故 明見佛性) [열반경 二十八]
"보살의 지위가 다하여 미세한 망념을 멀리 떠남으로써 심성을 보나니, 구경각이라고 이름하느니라.(菩薩地盡 以遠離微細念故 得見心性 名究竟覺)" [기신론]
"십지의 성인들이 법문 설하기를 구름 일듯하고 비 오듯 하여도, 견성은 비단으로 눈을 가리운 것과 같으니라.(十地聖人 說法 如雲如雨 見性 如隔羅곡)". [운문 전등록 十九]
"견성하면 곧 부처가 되느니라.(見性 卽成如來)". [종경록 四十四]
◎ 이상과 같이 부처님과 조사들이 한결같이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하였으니, 육조 스님 말씀과 같다. 그리고 교가(敎家)의 권위인 '현수(賢首)'도 그의 '기신론 의기'에서 究竟佛地만이 견성이라고 하였으니, '견성이 곧 성불'임은 선(禪)·교(敎)를 통한 근본 철칙이다.
蕭湛 拜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육조단경 20. 공덕 (0) | 2018.11.11 |
---|---|
[스크랩] 육조단경 19. 죄를 없앰 (0) | 2018.11.11 |
[스크랩] 육조단경 17. 성품을 봄 (0) | 2018.11.04 |
[스크랩] 육조단경 16. 근기 (0) | 2018.11.04 |
[스크랩] 육조단경 15.반야 (0) | 2018.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