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예배하고 법을 물음(參請)
時有一僧 名智常 來漕溪山 禮拜和尚 問四乘法義
지상이라는 한 스님이 조계산에 와서 화상께 예배하고 사승법의 뜻을 물었다.
智常問和尚曰 佛說三乘 又言最上乘 弟子不解 望為敬示
지상이 묻되,
“부처님께서 삼승을 말씀하시고, 덧붙여 최상승을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는 이해하지 못하니 가르쳐 주시옵소서.”
惠能大師曰 汝自身心見 莫著外法相 元無四乘法 人心自有四等 法有四乘 見聞讀誦 是小乘 悟法解義 是中乘 依法修行 是大乘 萬法 盡通 萬行俱備 一切無離 但離法相 作無所得 是最上乘 乘是行義 不在口諍 汝須自修 莫問吾也.
혜능대사께서 말씀하시길,
“너는 자신의 마음으로 보고 바깥의 법 모양에 집착하지 말라. 법에는 원래 사승법이 없나니 사람의 마음이 스스로 네 가지로 나누어 법에 사승이 있을 따름이니라. 보고 듣고 읽고 외움이 소승이요, 법을 깨치고 뜻을 이해함이 중승이요, 법에 의지해 수행함이 대승이니라. 만법에 통달하고 만행을 갖추어 모든 것을 떠나지 않되 단지 법의 모양만 떠나며, 짓는 바가 없음을 최상승이라 한다. 승은 곧 행의 뜻이니, 입으로 다툼에 있지 않느니라. 너는 모름지기 스스로 닦되 내게 묻지 말라.”
又有一僧 名神會 南陽人也 至漕溪山 禮拜 問言 和尚座禪見亦不見
신회라는 스님은 남양 출신인데 조계산에 와서 예배하고 물었다.
“화상께서는 좌선하면서 보십니까, 보지 않으십니까?”
大師起打神會三下 却問神會 吾打汝痛不痛
대사께서 일어나 신회를 세 차례 때리고 묻기를,
“아프냐, 아프지 않으냐?”
神會答言 亦痛亦不痛
신회가 답하길,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합니다.”
六祖言曰 吾亦見亦不見
대사께서 말씀하시길,
“나 역시 보기도 하고 안 보기도 하느니라.”
神會又問 大師何以亦見亦不見
신회가 다시 묻기를,
“대사께서는 어찌하여 보기도 하고 보지 않기도 하십니까?”
大師言 吾亦見 常見自過患 故云亦見 亦不見者 不見天地人過罪 所以亦見亦不見 汝亦痛亦不痛 如何
대사께서 말씀하시되,
“내가 보는 것은 항상 나의 허물을 보는 것이다. 그러기에 본다고 하니라. 또한 보지 않는 것은 하늘과 땅과 사람의 허물을 보지 않는 것이다. 그러기에 보기도 하고 보지 않기도 한다. 너는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하다 하였거늘 그 까닭이 뭣인고?”
神會答曰 若不痛 卽同無情木石 若痛 卽同凡夫 卽起於恨
신회가 답하길,
“아프지 않다 하면 나무와 돌 같은 무정과 같고, 아프다 하면 범부와 같아 곧 한을 일으키는 까닭입니다.”
大師言 神會 向前 見不見 是兩邊 痛不痛 是生滅 汝自性 且不見 敢來弄人
대사 이르시길,
“신회야, 보고 보지 못함은 양변이요, 아프고 아프지 않음은 생멸이니라. 자신의 자성은 보지 못하면서 어찌 와서 사람을 희롱하는고?”
神會禮拜 更不言
신회가 예배하고 다시는 묻지 않았다.
大師言 汝心迷不見 問善知識覓路 以心悟自見 依法修行 汝自迷 不見自心 却來問惠能見否 吾見自知 代汝迷不得 汝若自見 代得吾迷 何不自修 問吾見否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너의 마음이 미혹하여 보지 못하면 선지식에게 물어 길을 찾으라. 마음을 깨쳐 스스로 본다면 법에 의지하여 수행토록 하라. 너 스스로 미혹하여 자기 마음을 보지 못하면서 찾아와 혜능의 보고 보지 못함을 묻느냐. 나의 봄은 나 스스로 아는 것이요 너의 미혹을 대신하지 못하느니라. 너가 스스로 본다면 나의 미혹함을 대신하겠느냐. 어찌 스스로 닦지 않고 나의 보고 못 봄을 묻는가.”
神會作禮 便為門人 不離漕溪山中 常在左右
신회가 예배하고 곧 문인이 되어 조계산에서 떠나지 않고 항상 곁에 머물렀다.
蕭湛 拜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육조단경 28. 참됨과 거짓 (0) | 2018.12.02 |
---|---|
[스크랩] 육조단경 27. 상대법 (0) | 2018.11.25 |
[스크랩] 육조단경 25. 부처님 행 (0) | 2018.11.25 |
[스크랩] 육조단경 24. 단박에 닦음 (0) | 2018.11.18 |
[스크랩] 육조단경 23. 교화를 행하심 (0) | 201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