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해설(老子와 똥막대기)

[스크랩] 도덕경 57장.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수선님 2019. 1. 6. 12:15
 

<제 57장.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人多佊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


나라는 올바름으로 다스리고, 병사는 뛰어난 전술로 활용하며, 천하는 무위로써 얻는다. 이렇게 해야 함을 내가 어떻게 아는가? 바로 다음과 같은 사실 때문이다. 천하에 꺼리는 것이 많을수록 백성은 더욱 곤궁해진다. 사람들에게 이로운 도구가 많을수록 나라는 더욱 혼미해진다. 사람들에게 잔재주가 많을수록 부정한 물건이 많아지고, 법이나 명령이 화려할수록 도적은 많아진다. 그러므로 성인이 말하길, 내가 함이 없으므로 백성이 절로 교화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므로 백성이 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을 꾸미지 않으므로 백성이 절로 부유해지고, 내가 욕심이 없으므로 백성이 절로 질박해진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이정치국 이기용병 이무사취천하 오하이지기연재 이차) 

 

  儒家의 왕도정치, 法家의 법치와 용병술 등은 나라를 다스리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는 나름대로 쓸모가 있겠지만, 천하를 얻는 데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천하는 오로지 무위의 道로써만이 움켜쥘 수 있다는 것이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人多佊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천하다기위 이민미빈 민다리기 국가자혼 인다피교 기물자기 법령자창 도적다유) 

 

  이것도 하지 말고 또 저것도 하지 말라 등의 꺼림과 금기는 백성을 고달프게 만든다. 儒家의 仁義禮智를 은근히 빗대서 비난하는 듯싶다. 가만 내버려두면 절로 잘할 텐데 왜 굳이 나서서 일을 꼬이게 하느냐는 나무람이다. 1960년대에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영국의 4인조 락그룹 비틀즈(Beatles)의 가 문득 떠오른다. 질식할 듯한 세상의 질서와 위계를 거부하는 것은 젊음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은 아니다. 유위의 삶에서 벗어나 무위의 삶을 꾸리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외칠 수 있는 것이다. 가만 내버려두라구! 가사가 시적이고 아름다워서 옮겨본다. 우리 말보다는 원문 그대로 읊는 것이 훨씬 마음에 와닿는다.


When I find myself in times of trouble

Mother Mary comes to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And in my hours of darkness

She is standing bright in front of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Whisper words of wisdom, Let it be.

When the broken hearted people living in the world agre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Though they may be parted

There is still a chance that they will se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When the night is cloudy

There is still a light that shines on me.

Shine until tomorrow, Let it be.

I wake up to the sound of music

Mother Mary comes to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Whisper words of wisdom, Let it be.


  36장에서 “나라에 이로운 도구를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라 했는데, 이로운 도구는 바로 세간의 이분법적인 지식, 언어와 문자를 가리킨다. 이러한 도구는 내 삶을 좀더 화려하고 멋지게 장식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노린다. 그러기에‘이로운 도구’는 ‘날카로운 무기’이다. 지식인에 대한 비난으로 받아들여도 별 무리가 없겠다. 저마다 나름대로 목소리를 높이는 지식인이 많을수록 나라는 갈팡질팡 혼란 속으로 빠져드는 것이다. 잔재주, 잔꾀가 많을수록 세상은 또한 어지러워진다. 크게는 상상을 초월하는 살상무기를 생산하는 것이고, 작게는 남이 어렵사리 개발해 낸 제품을 흉내내거나 아예 진짜와 가짜를 바꿔치기 하는 것이다. 오죽하면‘짝퉁’이라는 신조어가 생겼겠는가. 먹거리조차도 원산지 표시를 하지만 믿지 못하는 세상이 되었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고, 속임수와 노림수는 갈수록 교묘해진다.

 

  법령이 많아질수록 역설적으로 도둑이 설친다는 얘기는, 큰고기를 잡기 위해 큰 그물을 만들지만 결국 작은 고기는 빠져나가므로 또 작은 그물을 만들어야 하고, 좀더 작은 고기는 또 빠져나가므로 더 작은 그물을 또 만들어야 하고, 이러한 쫓고 쫓기는 행위가 끝없이 되풀이된다는 것이다. 또는 큰 도둑이 작은 도둑을 잡기 위해 법령 따위를 만든다니 가소롭기 짝 없다는 비웃음이기도 하다. 유위의 고달픔이라니. 근본적인 해결책은 도둑이 나타나지 않게끔 세상을 넉넉하게 다스려야 하는 것이다. 결국 道가 없으니 세상이 어지럽다는 얘기이겠다. 3장의 “얻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훔치는 일이 없어진다. 욕심낼 만한 것을 보이지 않으면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다”와, 18장의 “大道가 사라지니 仁義가 나오고, 지혜가 설치니 거짓과 위선이 난무한다. 가족이 불화를 빚으니 孝니 慈니 하는 것이 속출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니 충신이 나온다”와 같은 맥락이다.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고성인운 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 아무사이민자부 아무욕이민자박) 

 

  앞문장에서 유위의 폐해를 나열하고, 여기서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무위, 무지, 무욕만이 만병통치약이라는 것이다. 백성을 다스리고 교화하는 대상으로 여긴다는 자체가 有爲的 사고이다. 물을 맑게 하겠다면 휘젓는 것 자체가 좀더 탁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니. Let it be!


출처 : 여여불여 如如不如
글쓴이 : slowdream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