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법담법화

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 <34> - 이경(離經)

수선님 2021. 9. 12. 13:41
"붓다를 계속해 생각할 때 그의 마음은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에 압도되지 않는다. 그때 그의 마음은 여래를 의지해 올곧아진다"

 

이경(離經)

 

[원문]

(五五〇) 如是我聞: 一時, 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 尊者摩訶迦旃延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尊者摩訶迦旃延語諸比丘: “佛世尊․如來․應․等正覺所知所見, 說六法出苦處昇於勝處, 說一乘道淨諸眾生, 離諸惱苦, 憂悲悉滅, 得真如法.”
“何等為六? 謂聖弟子念如來․應․等正覺所行法淨, 如來․應․等正覺․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 聖弟子念如來․應所行法故, 離貪欲覺․離瞋恚覺․離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何等為染著心? 謂五欲功德, 於此五欲功德離貪․恚․癡,安住正念正智, 乘於直道, 修習念佛, 正向涅槃, 是名如來․應․等正覺所知所見, 說第一出苦處昇於勝處, 一乘道淨於眾生, 離苦惱, 滅憂悲, 得如實法.”
“復次, 聖弟子念於正法, 念於世尊現法․律, 離諸熱惱, 非時, 通達, 即於現法, 緣自覺悟. 爾時, 聖弟子念此正法時, 不起欲覺․瞋恚․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중략)…
“復次, 聖弟子念於僧法, 善向․正向․直向․等向, 修隨順行, 謂向須陀洹․得須陀洹果, 向斯陀含․得斯陀含, 向阿那含․得阿那含, 向阿羅漢․得阿羅漢. 如是四雙八士, 是名世尊弟子僧戒具足․定具足․慧具足․解脫具足․解脫知見具足, 供養․恭敬․禮拜處, 世間無上福田. 聖弟子如是念僧時, 爾時聖弟子不起欲覺․瞋恚․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중략)…
“復次, 聖弟子念於戒德, 念不缺戒․不斷戒․純厚戒․不離戒․非盜取戒․善究竟戒․可讚歎戒․梵行不憎惡戒. 若聖弟子念此戒時, 自念身中所成就戒, 當於爾時不起欲覺․瞋恚․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중략…
“復次, 聖弟子自念施法, 心自欣慶. 我今離慳貪垢․離在居家, 解脫心施․常施․捨施․樂施․具足施․平等施. 若聖弟子念於自所施法時, 不起欲覺․瞋恚․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중략)…
“復次, 聖弟子念於天德, 念四王天․三十三天, 炎摩天․兜率陀天․化樂天․他化自在天, 清淨信心, 於此命終, 生彼諸天. 我亦如是, 信․戒․施․聞․慧, 於此命終, 生彼天中. 如是, 聖弟子念天功德時, 不起欲覺․瞋恚․害覺. 如是, 聖弟子出染著心. 於何染著? 謂五欲功德. 於此五欲功德離貪․恚․癡,安住正念正知, 乘於直道, 修天念, 正向涅槃, 是名如來․應․等正覺所知所見, 說第六出苦處昇於勝處, 一乘道淨於眾生, 離苦惱, 滅憂悲, 得如實法.”
尊者摩訶迦旃延說此經已, 諸比丘聞其所說, 歡喜奉行.

 

[역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존자 마하가전연도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있었다.

존자 마하가전연이 여러 비구들에게 말했다. “불세존(佛世尊), 여래(如來), 응공(應供), 등정각(等正覺)께서는 알고 보신 것으로서 괴로운 곳에서 나와 훌륭한 곳에 오르게 하고, 일승(一乘)의 도를 설하시어 모든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모든 번뇌와 괴로움을 여의며, 근심과 슬픔을 다 없애 진여법(眞如法)을 얻게 하기 위해 여섯 가지 법을 말씀하셨습니다.”

“어떤 것을 여섯 가지라 하는가? 이른바 거룩한 제자는 여래, 응공, 등정각께서 행하신 법은 깨끗하고, 여래(如來), 응공(應供), 등정각(等正覺), 명행족(明行足), 선서(善逝), 세간해(世間解), 무상사(無上士), 조어장부(調御丈夫), 천인사(天人師), 불세존(佛世尊)이라고 생각합니다. 거룩한 제자는 여래, 응공께서 행하신 법을 생각하기 때문에, 탐욕의 감정[貪欲覺], 성내는 감정[瞋恚覺], 해치려는 감정[害覺]을 여의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染着心]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어떤 것을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이라 하는가? 이른바 다섯 가지 욕망을 말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욕망에 대한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여의어, 바른 기억[正念]과 바른 앎[正知]에 편안히 머물고 올곧은 길에 오르며, 부처님에 대한 생각[念佛]을 닦아 익히면 바로 열반으로 향할 것입니다. 이것을 여래, 응공, 등정각께서 알고 보신 것으로 괴로운 곳에서 나와 훌륭한 곳에 오르게 하고, 일승(一乘)의 도를 설하시어 모든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괴로움과 번뇌를 여의고, 근심과 슬픔을 다 없애 참다운 법을 얻게 하기 위해 첫 번째로 설하신 것이라 합니다.”

“다시 거룩한 제자는 바른 법을 생각하고, 세존께서 설하신 현세의 법(法)과 율(律)을 생각하여 모든 번열과 번민을 여의고 어느 때든지 통달하여, 곧 현세의 법을 인연하여 스스로 깨닫습니다. 그때 거룩한 제자가 이 바른 법을 생각할 때, 탐욕의 감정․성내는 감정․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중략)…

“다시 거룩한 제자는 승려의 법[僧法]을 생각하여, 잘 향하고 바르게 향하며, 곧게 향하고 고르게 향하며, 부처님을 따르는 행을 닦습니다. 이른바 수다원(須陀洹)을 향하는 이와 수다원의 과위[果]를 얻은 이, 사다함(斯陀含)을 향하는 이와 사다함을 얻은 이, 아나함(阿那含)을 향하는 이와 아나함을 얻은 이, 아라한(阿羅漢)을 향하는 이와 아라한을 얻은 이입니다. 이와 같은 네 쌍의 여덟 부류[四雙八士]를, 세존의 제자로서 승려의 계[僧戒]를 구족하고[戒具足], 선정을 구족하며[定具足], 지혜를 구족하고[慧具足], 해탈을 구족하며[解脫具足], 해탈지견을 구족한[解脫知見具足] 이로서, 공양하고 공경하고 예배할 대상이요, 세간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라 합니다. 거룩한 제자가 이와 같이 승가(僧伽)에 대해 생각할 때, 그 때 거룩한 제자는 탐욕의 감정․성내는 감정․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중략)…

“다시 거룩한 제자는 계의 덕(德)을 생각하여,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할 계[不缺戒], 끊지 말아야 할 계[不斷戒], 순수하고 두터이 해야 할 계[純厚戒], 여의지 말아야 할 계[不離戒], 도용하지 않은 계[非盜取戒], 완전히 잘 성취해야 할 계[善究竟戒], 칭찬할만한 계[可讚歎戒], 악(惡)을 불어나지 않게 하는 범행(梵行)의 계[梵行不增惡戒]를 생각합니다. 만일 거룩한 제자가 이런 계를 생각할 때, 자기 몸 가운데 성취한 계를 생각한다면, 그때 탐욕의 감정, 성내는 감정, 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중략)…

“다시 거룩한 제자는 스스로 보시하는 법[施法]을 생각하며 마음으로 스스로 기뻐합니다. 나는 지금 아끼고 탐냄의 번뇌[慳貪垢]를 여의고 집을 나와, 해탈하여 마음으로 보시하고 항상 보시하며, 무심하게 보시하고 즐겁게 보시하며, 구족하게 보시하고 평등하게 보시한다. 만일 거룩한 제자가 스스로 보시하는 법을 생각할 때는, 탐욕의 감정, 성내는 감정, 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중략)…

“다시 거룩한 제자는 하늘의 공덕[天德]을 생각하여, ‘사왕천(四王天), 삼십삼천(三十三天), 염마천(炎摩天),도솔타천(兜率陀天), 화락천(化樂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은 청정하게 믿는 마음으로 여기서 목숨을 마치고서 저 여러 하늘에서 태어난 것이다’라고 생각하고서, 그리하여 ‘나도 그와 같이 믿음[信], 계(戒), 보시[施], 들음[聞], 지혜[慧]로써 여기서 목숨을 마친 다음 저 하늘들에 태어나야겠다’고 이와 같이 거룩한 제자가 하늘 공덕을 생각할 때는, 탐욕의 감정, 성내는 감정, 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어떤 것을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이라 하는가? 이른바 다섯 가지 욕망을 말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욕망에 대한 탐욕․성냄․어리석음을 여의어 바른 기억과 바른 앎에 편안히 머물고, 올곧은 길에 오르며, 하늘에 대한 생각을 닦으면, 바로 열반으로 향할 것입니다. 이것을 여래, 응공, 등정각께서 알고 보신 것으로 괴로운 곳에서 나와 훌륭한 곳에 오르게 하고, 일승의 도를 설하시어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괴로움과 번뇌를 여의고, 근심과 슬픔을 없애 참다운 법을 얻게 하기 위해 여섯 번째로 설하신 것이라 합니다.”

존자 마하가전연이 이 경을 말해 마치자, 여러 비구들은 그 말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해석]

이 경은 ≪잡아함경≫ 제20권 제550경 <이경(離經)>(T2, pp.142a-143a)이다. 이 경과 대응하는 니까야는 AN6:26 Kaccāna-sutta(AN Ⅲ, pp.314-317)이다. 그러나 경명을 니까야와 아카누마 지젠(赤沼智善)의 ≪한파사부사아함호조록≫(p.6)에서는 <가전연경(迦旃延經)>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경은 마하깟짜나(Mahākaccāna, 摩訶迦旃延) 존자가 붓다께서 설하신 여섯 가지 법[六法]에 대해 여러 비구들에게 설한 것이다. 이 경에서는 “불세존(佛世尊), 여래(如來), 응공(應供), 등정각(等正覺)께서는 알고 보신 것으로서 괴로운 곳에서 나와 훌륭한 곳에 오르게 하고, 일승(一乘)의 도를 설하시어 모든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모든 번뇌와 괴로움을 여의며, 근심과 슬픔을 다 없애 진여법(眞如法)을 얻게 하기 위해 여섯 가지 법을 말씀하셨다.”고 되어있다.

이 경에서 말하는 여섯 가지 법이란 ‘여섯 가지 계속해서 생각함’ 즉 육수념(六隨念)을 의미한다. 수념(隨念)은 빨리어 anussati를 번역한 것이다. ‘계속해서 생각함’이라는 뜻이다. 여섯 가지 계속해서 생각함[六隨念]이란 ⑴붓다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佛], ⑵법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法], ⑶승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僧], ⑷계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戒], ⑸보시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施], ⑹천상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念天]을 말한다.

첫째, 염불(buddha-ānussati, 佛隨念)이란 붓다의 모습이나 아홉 가지 공덕(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세존)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둘째, 염법(dhamma-ānussati, 法隨念)이란 세존께서 설하신 현세의 법(法)과 율(律)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셋째, 염승(saṅgha-ānussati, 僧隨念)이란 세존의 제자이신 사쌍팔배(四雙八輩)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사쌍팔배란 예류향(預流向) 예류과(預流果), 일래향(一來向) 일래과(一來果), 불환향(不還向)불환과(不還果), 아라한향(阿羅漢向)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여덟 가지를 말한다. 또한 이 경에서는 세존의 제자로서 승계(僧戒)를 구족하고[戒具足], 선정을 구족하며[定具足], 지혜를 구족하고[慧具足], 해탈을 구족하며[解脫具足], 해탈지견을 구족한[解脫知見具足] 이로서, 공양하고 공경하고 예배할 대상이요, 세간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라는 것이다.

넷째, 염계(sīla-ānussati, 戒隨念)란 붓다께서 제정한 지계의 공덕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이 경에서는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할 계[不缺戒], 끊지 말아야 할 계[不斷戒], 순수하고 두터이 해야 할 계[純厚戒], 여의지 말아야 할 계[不離戒], 도용하지 않은 계[非盜取戒], 완전히 잘 성취해야 할 계[善究竟戒], 칭찬할만한 계[可讚歎戒], 악(惡)을 불어나지 않게 하는 범행(梵行)의 계[梵行不增惡戒]를 생각해야 한다고 설해져 있다.

다섯째, 염시(dāna-ānussati, 施隨念)란 보시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여섯째, 염천(deva-ānussati, 天隨念)이란 천상의 공덕을 생각하여 나도 목숨을 마친 다음 저 천상에 태어나야겠다고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만일 거룩한 제자가 이러한 여섯 가지를 계속해서 생각하면, “탐욕의 감정[貪欲覺], 성내는 감정[瞋恚覺], 해치려는 감정[害覺]을 여의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染着心]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 니까야에서는 “붓다를 계속해서 생각할 때 그의 마음은 탐욕에 압도되지 않고, 성냄에 압도되지 않고, 어리석음에 압도되지 않는다. 그때 그의 마음은 여래를 의지하여 올곧아진다. 그는 욕심을 떠났고, 벗어났고, 여의었다. 비구들이여, 여기서 욕심이란 다섯 가닥의 감각적 욕망과 동의어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대상으로 삼은 뒤 여기 어떤 중생들은 청정하게 된다.”고 설해져 있다.

마 성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 <34> - 이경(離經) - 한국불교신문

     이경(離經) [원문] (五五〇) 如是我聞: 一時, 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 尊者摩訶迦旃延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尊者摩訶迦旃延語諸比丘: “佛世尊․如來․應․等正覺所知所見, 說

www.kbulgy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