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구 2

중국불교 역경시스템과 현대적 적용 / 강경구

특집 | 불교경전의 번역과 유통 1. 들어가는 말 2001년 318권 한글대장경의 완간은 한국불교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지표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것은 불교의 전래(384년 마라난타)로부터 1,600여 년, 고려대장경의 완간(1251년)으로부터 700여 년, 한글 번역사업이 시작된 때(1461년 간경도감)로부터 500여 년, 한글대장경 번역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때(1964년 동국역경원)로부터 37년이 걸린 장구한 시도와 좌절과 성취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역경(譯經=逆境)의 대장정을 거쳐 한글대장경 완간이라는 형식적 목적지에 도달한 이제 그것의 내용적 목적이라 할 불교의 대중적 전파와 불교의 발전에 소기의 역할을 다할 수 있게 되었는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불교..

불교관련 2023.09.24

<금강경> 한글 번역 및 해석의 현황과 특징 / 강경구

한글 번역 및 해석의 현황과 특징* 강경구 동의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국문초록 ?금강경?은 조계종의 소의경전이자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불교서적이기도 하다. 그 중요성을 증명하듯 현재 한국에는 그에 대한 번역 및 해설서가 100종 가깝게 출판되어 있다. 그만큼 해석의 경향도 다양한데 본고에서는 이 다양한 해석을 오류로 보지 않고 번역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의미의 생성으로 보고 고찰을 진행하였다. 전체적으로 고찰해본 결과 한국의 ?금강경? 해석에는 전통주석의 계승, 수행 및 생활체험의 반영, 서구적 관점의 적용, 범어원전의 연구 등에 기초한 경향들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각각의 해석서들은 이러한 경향을 2~3가지씩 공유하고 있다는 점도 특기할 만한 일이다. 그 특징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