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과학 14

불교의 인과성과 시공간의 문제: 현대 과학과의 비교 / 노원앙마블로그

불교의 인과성과 시공간의 문제: 현대 과학과의 비교 ​ ​ 이 논문을 제2회 전국 학인논문 공모전에 제출함 2006 ​ ​ 운문 승가대학 사교과 정 문 목 차 ​ I. 서론 2 II. 연기론과 인과성 4 1. 인과성에 대한 고찰 4 2. 불교의 인과론으로서의 연기 7 1) 초기불교의 연기 7 2) 화엄의 법계연기 11 3. 현대과학의 인과성 14 III. 시공간론 18 1. 불교의 시공간론 18 1) 부파불교의 공간론 - 색분제(색분제) 19 2) 부파불교의 시간론 - 시분제(시분제) 20 2. 물리학의 시공간론 23 1) 뉴턴 역학의 시간과 공간 23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24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25 4) 초끈 이론에서의 시공간 29 3. 불교의 시공간론과 물리학의 시공간론 비교 ..

불교와 과학 2020.07.19

아인슈타인과 색즉시공(色卽是空)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철이 오면 산속 습지에서 개구리 알을 볼 수 있다. 평소에는 개구리 알을 보면 “언제 올챙이가 나올까?” 궁금해 하며 그냥 지나쳤다. 개구리 알 옆에 도롱뇽 알이 있어도 “모양이 다른 것이 있구나!” 하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5년 전 강길전 교수가 펴낸 ‘양자의학’이란 책을 읽다가 충격적인 글을 접하게 되었다. 러시아의 생물물리학자 가자예프의 놀라운 연구논문이다. 핵심만 줄여서 이야기하면 도롱뇽 배아(胚芽)에서 양자파동장을 채취하여 개구리 배아에 쏘았더니 개구리 배아에서 개구리가 아닌 도롱뇽이 태어났다는 것이다. ​ 이는 기존의 유전학을 뒤엎는 혁명적인 실험이다. 이 연구논문을 접하고 나서 그간 공학도로서 배운 자연과학 현상들과 인문학에서 공부한 지식들을 하나하나 되짚어보게 ..

불교와 과학 2020.07.05

인공지능에게 있는 것과 없는 것: 유식학의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의 인식능력 - 이진경

인공지능에게 있는 것과 없는 것: 유식학의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의 인식능력 이진경 서울과학기술대 본명은 朴泰昊, 1987년 이란 책을 내면서 사용했던 필명인 이진경이 뜻밖에 허명을 얻으면서 본명은 잃어버렸다. 광주시민들의 유령이 떠돌던 시절에 대학에 들어가, 그 유령들에 홀려 강의실 아닌 거리에서 대학시절을 보냈고, 결국 ‘직업적 혁명가조직’을 만들겠다는 레닌주의자가 되었다. 1990~91년, 감옥 안의 사회주의자에게 덮쳐온 사회주의의 붕괴 덕분에 ‘심연’을 보았고 거기서 얻은 물음을 따라 살고 사유하고 쓰고 있다. 우리의 현행적 삶을 규정하는 근대성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여, 그것을 넘어선 코뮨적 삶의 방식을 존재론적 차원에서 탐색하다가 불교적 사유와 생명과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모든 개체는 중-생이고 ..

불교와 과학 2020.06.28

성자 슈바이처의 붓다

알버트 슈바이처 병고 시달리는 아프리카 위해 평생을 헌신한 밀림의 성자 알랭 베르디에 | yayavara@yahoo.com “부처님께서는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진실이 무엇인가를 가르쳐주셨고 인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곳곳의 인류에게 필요한 윤리들을 제시해 주셨다. 부처님께서는 전 세계 역사를 통 털어 가장 위대한 천재였음이 분명하다.” - 알버트 슈바이처 - 철학과 신학으로 박사학위 신학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불교와 인도철학 접하면서 부처님 가르침에 크게 매료 아프리카 자원의사 광고에 교수직 버리고 의대 입학 아프리카에 병원 세우고 생애 대부분 진료에 매진 매일 전쟁 같은 일상에도 연주와 명상 통해 힐링 불살생 가르침 특별히 강조 뭇 생명 향한 큰 자비 역설 알버트 슈바이처(Albert S..

불교와 과학 201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