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본스님 4

육조단경의 편찬과 혜능출현의 의미

小乘 大乘 最上大乘 누구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마음이 있다. 그런데 깨달음이 집착의 대상이란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성스러움도 마찬가지다. 세상의 대부분의 종교들은 악에서 선을 지향하는 가치기준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불교는 아무리 좋은 가치라도 집착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기준을 설정하지 않는다. 이런 점 때문에 대승이 소승을 비판하는 것이다. 깨달음 한 소식 전부 다 소승 불교적 생각이다. 선과 악 성과 범의 상대적 세계를 모두 초월해야 완전한 해탈이 된다는 가르침이 대승이다. 완전한 해탈이 반야 지혜다. 그래서 제일 처음 육조단경에 등장하는 말이 마하반야바라밀 법이다. 最上承 법문은 금강경에 나온다. 육조단경은 남종의 소의경전인 금강경의 형식을 많이 취하고 있다. 화엄 법화 열반 정..

선의 세계 2021.07.18

화엄경의 해인삼매와 화엄삼매

華嚴經의 海印三昧와 華嚴三昧 -성본스님 대승불교경전에 설하고 있는 여러 선정설 가운데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화엄경(華嚴經)』의 해인삼매(海印三昧;Sgramudr -Sam dhi)이다. 『화엄경』은 부처님의 깨달음에 의거하여 광대한 절대존재의 세계를 전개하고 있다. 즉 일즉다(一卽多)·다즉일(多卽一)·주객구족(主客具足)·중중무진(重重無盡)의 법계연기(法界緣起)의 관계를 개시한 제법실상의 절대 현실에 효능있는 불법생활을 강조한 경전이다. 이러한 『화엄경』의 사상은 부처님이 해인삼매를 통해서 설하신 것이다. 대개 부처님이 설법을 하실 때에 먼저 깊은 선정에 드시어 신심(身心)을 평온히 한 후 선정에서 깨어나 법을 설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있다. 예를들면 『방광반야경(放光般若經)』에선 부처님이 설법을 하시..

화엄경 이야기 2021.07.04

홍인은 신수를 인가하지 않음

신수상좌는 깨달음의 노래를 적어놓고 곧 자기의 방으로 돌아와 잠자리에 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5조화상은 이튿날 아침 드디어 화가인 변상도를 그리도록 하려 하였다. 5조화상은 문득 게송이 적혀 있음을 보고 읽어 보았다. 그리고는 화가 노봉공에게 말했다. 나는 공봉에게 돈 3만 냥을 드리어 이렇게 멀리 오시게 한 수고에 보답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능가경의 변상도는 그리지 않도록 하겠소. 금강경에도 무릇 모양이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한 것이다 라고 말씀하셨소. 능가경의 變相圖의 相은 모양이다. 그림으로 불법의 본질을 표현코자 했지만 일체 모양을 부정하는 금강경의 핵심사상인 無相 無住에 반하기 때문에 그리기를 포기한다. 무상 무주란 결국 자기 마음 안에 머문 모양이 없다는 뜻이..

선의 세계 2021.07.04

선사상(禪思想) - 성본스님

선사상(禪思想) 목차 선사상이란 무엇인가? 초기불교(初期佛敎)의 선정수행(禪定修行) 선사상(禪思想) - 성본스님 선의 역사 선어록이란 무엇인가? 좌선의 선사상이란 무엇인가? 1. 선의 어원 선은 인도에서 발생한 유일한 사유법인 `요가(yoga)'에서 발전한 것으로 부처님이 불교를 개창한 이래 불교 수행자들은 선을 통해 해탈의 길을 걸어왔다. 선이 인도에서만 발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성본스님은 그의 저서 〈선사상〉에서 몬순의 계절풍 영향을 받은 우기지역에 자리한 인도의 지리적 특성에서 찾고 있다. 즉 4월부터 3~4개월간 많은 비가 내리는 우기(雨期)에 유행을 금지하고 한 곳에 안거(安居)하며 수행토록 했는데 불교에서는 이 기간을 하안거라 한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선은 굳게 뿌리를 내리며 발전을 거..

선의 세계 2020.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