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필원 5

빨리어·산스끄리뜨어 문헌 번역과 영향 / 이필원

특집 | 불교경전의 번역과 유통 1. 들어가는 말 오늘날 한국에서 불교나 인도철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빨리어나 산스끄리뜨어를 번역한 경전이나 문헌을 한 번쯤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번역출판물을 본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한국은 조선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 그리고 6·25 전쟁이라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서구의 여러 나라들과 일본과는 달리 근대적 학문을 늦게 발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보면 원전에 대한 이해가 많이 늦을 것 같은데, 생각보다는 이른 시기에 빨리어 경전이나 범어 경전에 대한 이해가 형성되었음을 알게 된다. 1938년에 발간된 《불교사(佛敎社)》(新版)에는 윈터니츠(Winternitz) 교수의 〈원시불교(原始佛敎)에서의 아(我)와 무아(無我)〉라는 논문이 ..

불교관련 2023.10.08

초기불교의 연기이해

초기불교의 연기이해 - 수행론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접근 - (본 논문은 2012년 화엄사상연구원에서 개최한 ‘제 7회 의상 화엄사상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한 것임을 밝혀둔다. 아울러 본 논문을 논평해 주신 임승택, 이자랑 두 분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 I. 들어가는 말 II. 연기의 기본적 의미 III. 경장에 나타난 연기에 대한 내용 IV. 12지 연기 각 지분의 의미 해석 V. 결론 불교를 흔히 깨달음의 종교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과연 무엇에 대한 깨달음인가, 즉 깨달음의 내용은 무엇인가 라는 점이다. 깨달음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붓다와 같은 존재가 되는 것이며, 내용상으로는 붓다가 깨달은 바를 깨닫는 것이다. 붓다의 깨달음과 ..

이필원 박사의 비유의 왕 붓다 25. 불난 집

25. 불난 집 2013.07.17 15:46 입력 발행호수 : 1203 호 / 발행일 : 2013-07-17 재산은 죽으면 사라져 인색함과 자만이라는 번뇌로 불붙은 마음서 탈출해 보시공덕 쌓아야 ‘법화경’에 ‘불난 집’이란 아주 유명한 비유가 있다. 불난 집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아버지인 장자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수레를 주겠다는 말로 위험에서 구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불난 집이란 바로 우리가 사는 욕망의 세계를 말한다.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비유인 ‘불난 집’은 ‘법화경’의 비유와는 다르다. 이 비유는 Saṃyutta Nikāya 1권에 나오는 비유이다. 그 내용은 보시의 공덕에 대한 것이다. 이 비유는 어떤 천신(devatā)이 부처님 앞에서 읊은 것인데, 그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

불교관련 2022.04.10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47호(2016.06) pp. 109∼134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호흡명상의 다양한 위상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5B6A02049047)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 I. 들어가는 말 II. 초기경전 속에 나타난 호흡명상법 III. 결론 [요약문]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진 명상법은 대단히 다양하다. 그 가운데 무엇이 더 좋은가는 개인적 기질이나 성향에 달린 문제이기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그 많은 명상법 가운데 누구나 접근하기 쉽고, 종교적 성향에 관계없이 할 수 있는 명상법이 있다..

숫따니파다(Suttanipāta)에 나타난 번뇌론과 수행론 고찰

숫따니파다(Suttanipāta)에 나타난 번뇌론과 수행론 고찰 - 제4장과 제5장을 중심으로 - / 이필원 박사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Sn. 문헌의 개괄 Ⅲ. 최고층 문헌에 나타난 번뇌론 1. 번뇌의 분류 2. 정서적 번뇌 3. 이지적 번뇌 4. 번뇌의 소멸 방식 Ⅳ. 최고층 문헌에 나타난 수행론 1. ‘떠남’의 방식으로서의 수행 2. 독립된 수행체계로서의 싸띠(sati) 3. 최고층에 나타난 선정 수행 Ⅴ. 결론 ■ 각 주 : 본 논문의 출발점은 고따마 붇다의 원초적인 가르침에 입각해서 불교의 두 기둥인 ‘번뇌’와 ‘수행’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불교 발전사 가운데 최고 정점에 위치한다고 하는 Suttanipāta(이하 Sn., 숟따니빠-타)의 제4장과 제5장을 선택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