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선한 무더기[善聚]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니 너희들은 잘 사유하고 기억하라."
모든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비구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고 있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저 어떤 것을 선한 무더기라고 하는가? 이른바 5근(根)이 그것이다.
어떤 것을 그 5근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신근(信根)·
정진근(精進根)·
염근(念根)·
정근(定根)·
혜근(慧根)이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5근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어떤 비구가 이 5근을 닦아 행하면,
곧 수다원(須陀洹)을 이루고 물러나지 않는 법[不退轉法]을 얻어
반드시 지극한 도(道)를 성취할 것이다.
그 행(行)을 더욱 정진하여 사다함(斯陀含)을 이룩하여 이 세상에 와서 괴로움을 끝까지 다 없앨 것이요, 그 도를 더욱 정진하여 아나함(阿那含)을 이룩하여 다시는 이 세상에 오지 않고 곧 반열반(般涅槃)을 취할 것이요, 그 행을 더욱 정진하여 번뇌[有漏]가 다하여 번뇌 없음[無漏]을 이룩하여 마음이 해탈(解脫)하고 지혜로 해탈하여 몸으로 증득(證得)하고는 스스로 유희(遊戱)할 것이다. 그리하여 '나고 죽음은 이미 다하고 범행(梵行)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을 이미 다 마쳐 다시는 태(胎)를 받지 않는다'라고 사실 그대로 다 알 것이다.
선한 무더기란 곧 5근이 그것이다.
왜냐 하면 이것은 가장 큰 무더기요, 온갖 무더기들 중에서 묘(妙)한 것이기 때문이니라.
만약 이 법을 행하지 않으면 곧 수다원·사다함·아나함·아라한(阿羅漢)·벽지불(?支佛) 및 여래(如來)·지진(至眞)·등정각(等正覺)을 이루지 못할 것이다. 만약 이 5근을 얻은 사람은 곧 4과(果)와 삼승(三乘)의 도(道)를 지니게 될 것이다. 선한 무더기란 이 5근이 최상(最上)이 된다.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방편(方便)을 구해 이 5근을 행하여야 한다.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블로그 주인장의 주
신근(信根)·
정진근(精進根)·
염근(念根)·
정근(定根)·
혜근(慧根)이다.
위는 이렇게 해석됩니다.
믿음, 정진력, 알아차림(사띠), 선정(삼매), 지혜
믿음이란 자신에 대한 믿음이겠죠?
나는 가능하다.. 이번 생에서 해탈이 가능하다.
순서가 역시 차례대로입니다.
먼저 자신이 하는 수행에 대한 분명한 믿음이 있어야 하고,
그 믿음이 있어야 더더욱 열심히 하려는 정진력이 생기고,
그 정진력으로 인해 알아차림이 커지면 초선/이선/삼선/사선에 들고,
그로 인해 지혜가 생겨서 심해탈과 혜해탈을 이룬다라는 말씀이네요.
위에서 염근에서.. 염은 알아차림을 뜻 합니다.
사띠(알아차림)라는 단어가 중국어로 번역될 때 생각념자로 번역이 되었답니다.
단순히 생각한다는 뜻이 아니라, 알아차린다는 뜻입니다.
팔정도에서도 나옵니다. 정념 ! 바른 알아차림이란 뜻 입니다.
바른 생각이란 뜻이 아닙니다. 바른 알아차림이란 뜻 입니다.
정사유가 바른 생각이란 뜻 입니다.
바른 생각이 두번 반복될 필요가 없지요. 생각 사짜와 생각 념짜..
정념이란 바른 알아차림을 말합니다.
알아차림...
'증일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증일아함경 : 부처님을 공경하면 얻어지는 이득 (0) | 2018.01.21 |
---|---|
[스크랩] 증일아함경 : 5개(蓋) - 수행을 방해하는 요소 (0) | 2018.01.21 |
[스크랩] 증일아함경 : 네 가지 흐름[四流]에 빠지면 도를 얻지 못한다. (0) | 2018.01.21 |
[스크랩] 증일아함경 : 부처님의 고행과 성도 (0) | 2018.01.21 |
[스크랩] 증일아함경 : 해탈하려거든 사선정을 반드시 닦으라.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