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라[魔]의 열 가지 군대
①감각적 쾌락; k ma.
②불쾌[憂愁]; arati.
③배고픔과 목마름[飢渴]; khuppip s .
④갈망[渴愛]; ta h .
⑤혼침(昏沈)과 졸음[睡眠]; th na-middha.
⑥공포; bh r .
⑦회의적 의심[疑]; vicikicch .
⑧자신의 잘못을 감추는 것[僞善]과 고집; makkho, thambho.
⑨이익, 칭찬, 존경받음, 잘못 얻은 명성; l bho, siloko, sakk ro, micch laddho yaso.
⑩자신에 대한 칭찬과 타인에 대한 비방; att na samukka se pare avaj nati.
①감각적 쾌락; k ma.
②불쾌[憂愁]; arati.
③배고픔과 목마름[飢渴]; khuppip s .
④갈망[渴愛]; ta h .
⑤혼침(昏沈)과 졸음[睡眠]; th na-middha.
⑥공포; bh r .
⑦회의적 의심[疑]; vicikicch .
⑧자신의 잘못을 감추는 것[僞善]과 고집; makkho, thambho.
⑨이익, 칭찬, 존경받음, 잘못 얻은 명성; l bho, siloko, sakk ro, micch laddho yaso.
⑩자신에 대한 칭찬과 타인에 대한 비방; att na samukka se pare avaj nati.
3. 1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十觀隨染]
1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十觀隨染]는 모두 처음 위빠사나 수행을 열심히 하는 수행자에게만 생기는 번뇌이다. (Vism 633-8)
①마음속에서 강한 빛을 경험하기도 하고[光明 och sa],
②예리한 이해력이 생겨 경전이나 교리의 깊은 의미를 꿰뚫듯이 이해되기도 하며[知 a],
③몸의 전율을 느끼는 희열이 생기기도 하고[喜 p ti],
④몸과 마음은 아주 안정되어 편안해지며[輕安 passaddhi],
⑤마음에서 강렬한 즐거운 느낌을 느끼기도 하며[樂 sukha],
⑥강한 신심이 생겨나기도 하고[勝解 adhimokkha],
⑦더욱더 수행에 전념하여 정진을 하며[努力 paggaho],
⑧흔들림 없는 마음챙김이 뚜렷하게 항상 자리잡고 있기도 하고[現起 upa h na],
⑨생겨났다가 사라지는 현상들에 대해서 마음은 더욱더 무덤덤해지며[捨 upekkh ],
⑩이러한 제 현상들에 대하에 미세한 집착과 욕망이 일어난다[欲求 nikanti].
光明·知·喜·輕安·樂는 모두 위빠사나 수행을 함으로써 생겨나는 현상이다. 勝解는 강한 믿음이며, 노력은 정진(viriya)을 말한다. 現起는 마음챙김[念, sati]이다. 위빠사나와 관련되어 있는 흔들림이 없는 마음챙김이 생긴다. 捨는 위빠사나의 捨이다. 이 捨가 생기면, 모든 현상[一切行]에 대하여 탐착과 싫어함을 떠난 중간의 입장이 된다(majjhattabh t ).마지막의 욕구는,光明 등에 의해 장엄된 위빠사나에 대해서 집착을 일으켜, 미세하며, 고요한 형태를 지닌 欲求를 말한다.
이렇게 1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가 생길 때,'나는 道를 얻었다. 나는 果를 얻었다.'라고 도가 아닌 것[非道]을 道라고 집착하며, 깨달음이 아닌 것[非果]을 깨달음[果]이라고 집착한다.
따라서 1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 대해서 견해의 집착[見執, di hig ha], 나라고 하는 집착[慢執, m nag ha], 더욱 갈망하는 집착[愛執, ta h g ha]이 생겨나서 3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三十觀隨染]가 된다.
이 3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 대해서, 이것들은 無常하며, 만들어진 것들[有爲]이며, 조건에 의해 생겨난 것[緣已生]이며, 소멸해 버리는 현상[滅盡法]이며,,사라져 버리는 현상[消滅法]이며, 탐착을 해서는 안될 현상[離貪法]이며, 멸하는 현상[滅法]이다라고지혜에 의해 고찰해서 이러한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서 벗어나서,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는 非道이며, 바른 길로 이끄는 위빠사나의 앎은 道라고 확실하게 이해한다. 이것이 도비도지견청정(道非道智見淸淨)이다.
견청정(見淸淨)에서 명색구별(名色區別)에 의해 苦諦의 분석을 행하고, 도의청정(度疑淸淨)에서 연파악(緣把渥)에 의해 集諦의 분석을 행하며, 도비도지견청정(道非道智見淸淨)에서 正道의 강조에 의해 道諦의 분석을 행한다. 이 세 가지 청정에 의해서, 세 가지 진리[三諦]에 대한 분석이 행해진다. 즉, 괴로움의 진리[苦諦]·발생의 진리[集諦]·길의 진리[道諦]에 대하여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1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十觀隨染]는 모두 처음 위빠사나 수행을 열심히 하는 수행자에게만 생기는 번뇌이다. (Vism 633-8)
①마음속에서 강한 빛을 경험하기도 하고[光明 och sa],
②예리한 이해력이 생겨 경전이나 교리의 깊은 의미를 꿰뚫듯이 이해되기도 하며[知 a],
③몸의 전율을 느끼는 희열이 생기기도 하고[喜 p ti],
④몸과 마음은 아주 안정되어 편안해지며[輕安 passaddhi],
⑤마음에서 강렬한 즐거운 느낌을 느끼기도 하며[樂 sukha],
⑥강한 신심이 생겨나기도 하고[勝解 adhimokkha],
⑦더욱더 수행에 전념하여 정진을 하며[努力 paggaho],
⑧흔들림 없는 마음챙김이 뚜렷하게 항상 자리잡고 있기도 하고[現起 upa h na],
⑨생겨났다가 사라지는 현상들에 대해서 마음은 더욱더 무덤덤해지며[捨 upekkh ],
⑩이러한 제 현상들에 대하에 미세한 집착과 욕망이 일어난다[欲求 nikanti].
光明·知·喜·輕安·樂는 모두 위빠사나 수행을 함으로써 생겨나는 현상이다. 勝解는 강한 믿음이며, 노력은 정진(viriya)을 말한다. 現起는 마음챙김[念, sati]이다. 위빠사나와 관련되어 있는 흔들림이 없는 마음챙김이 생긴다. 捨는 위빠사나의 捨이다. 이 捨가 생기면, 모든 현상[一切行]에 대하여 탐착과 싫어함을 떠난 중간의 입장이 된다(majjhattabh t ).마지막의 욕구는,光明 등에 의해 장엄된 위빠사나에 대해서 집착을 일으켜, 미세하며, 고요한 형태를 지닌 欲求를 말한다.
이렇게 1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가 생길 때,'나는 道를 얻었다. 나는 果를 얻었다.'라고 도가 아닌 것[非道]을 道라고 집착하며, 깨달음이 아닌 것[非果]을 깨달음[果]이라고 집착한다.
따라서 1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 대해서 견해의 집착[見執, di hig ha], 나라고 하는 집착[慢執, m nag ha], 더욱 갈망하는 집착[愛執, ta h g ha]이 생겨나서 3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三十觀隨染]가 된다.
이 30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 대해서, 이것들은 無常하며, 만들어진 것들[有爲]이며, 조건에 의해 생겨난 것[緣已生]이며, 소멸해 버리는 현상[滅盡法]이며,,사라져 버리는 현상[消滅法]이며, 탐착을 해서는 안될 현상[離貪法]이며, 멸하는 현상[滅法]이다라고지혜에 의해 고찰해서 이러한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에서 벗어나서,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번뇌는 非道이며, 바른 길로 이끄는 위빠사나의 앎은 道라고 확실하게 이해한다. 이것이 도비도지견청정(道非道智見淸淨)이다.
견청정(見淸淨)에서 명색구별(名色區別)에 의해 苦諦의 분석을 행하고, 도의청정(度疑淸淨)에서 연파악(緣把渥)에 의해 集諦의 분석을 행하며, 도비도지견청정(道非道智見淸淨)에서 正道의 강조에 의해 道諦의 분석을 행한다. 이 세 가지 청정에 의해서, 세 가지 진리[三諦]에 대한 분석이 행해진다. 즉, 괴로움의 진리[苦諦]·발생의 진리[集諦]·길의 진리[道諦]에 대하여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4. 열 가지 족쇄
5하분결(五下分結); 욕망의 세계[欲界]에 존재를 붙들어 매는 번뇌.
pa cannam orambh giy na samyojan nam
① 유신견(有身見) 또는 자신견(自身見) - 오온을 영원한 자아와 관련 지워 보는 견해. sakk yadi hi
② 회의적 의심 - 삼보와 수행법 등에 대한 의심. vicikicch
③ 계율이나 금지 조항에의 집착[戒禁取見]. s labbatapar m so
④ 감각적 욕망[愛慾]. k macchando
⑤ 악의 - 분노. vy p do
5하분결(五下分結); 욕망의 세계[欲界]에 존재를 붙들어 매는 번뇌.
pa cannam orambh giy na samyojan nam
① 유신견(有身見) 또는 자신견(自身見) - 오온을 영원한 자아와 관련 지워 보는 견해. sakk yadi hi
② 회의적 의심 - 삼보와 수행법 등에 대한 의심. vicikicch
③ 계율이나 금지 조항에의 집착[戒禁取見]. s labbatapar m so
④ 감각적 욕망[愛慾]. k macchando
⑤ 악의 - 분노. vy p do
5상분결(五上分結); - 미세한 물질의 세계[色界]와 정신의 세계[無色界]에 존재를 붙들어 매는 번뇌.
pa cannam uddhambh giy na samyojan nam
⑥ 색계에 대한 욕망. r par go
⑦ 무색계에 대한 욕망. ar par go
⑧ 아만. m no
⑨ 들뜸. uddhacca
⑩ 어리석음[無明]. avijj
pa cannam uddhambh giy na samyojan nam
⑥ 색계에 대한 욕망. r par go
⑦ 무색계에 대한 욕망. ar par go
⑧ 아만. m no
⑨ 들뜸. uddhacca
⑩ 어리석음[無明]. avijj
聖人(四道四果)과 10가지 족쇄의 소멸
聖人 10 가지 족쇄의 소멸
聖人 10 가지 족쇄의 소멸
흐름에 들어선 분 - 預流, sot panno (1-3의 소멸)
한 번 오는 분 - 一來 sakad g m (1-3의 소멸, 4-5의 약화)
돌아오지 않는 분 - 不還 an gam (1-5의 소멸)
공양받을만한 분 - 阿羅漢 rahato (1-10의 소멸)
한 번 오는 분 - 一來 sakad g m (1-3의 소멸, 4-5의 약화)
돌아오지 않는 분 - 不還 an gam (1-5의 소멸)
공양받을만한 분 - 阿羅漢 rahato (1-10의 소멸)
<부록 1> 마음챙김(싸띠팟타나)의 의미
(The Meaning of Satipa h na)
사야도 우 판디타 비왐사
Sayadaw U Pandit bhivamsa
Sayadaw U Pandit bhivamsa
0. 머리말
사야도 우 판디타께서는 자주 마음챙김의 의미에 대해서 말씀하신다. 그는 수행 도중에 생겨나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대상들을 알아차리고 관찰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어원학적인 분석방법(etymology)을 사용한다.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싸띠팟타나'라는 용어에 대한 자세하며 그리고 실제적인 설명은 사야도의 신용이 걸려있는 설명이다. 이 설명은 수행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식이며 비결이다. 만일 누구라도 여기에서 제시되는 설명을 자신의 수행에 정확하게 적용시킨다면, 법(dhamma)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in no time; ⓟ ak liko) 열려질 것이다.
사야도 우 판디타께서는 자주 마음챙김의 의미에 대해서 말씀하신다. 그는 수행 도중에 생겨나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대상들을 알아차리고 관찰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어원학적인 분석방법(etymology)을 사용한다.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싸띠팟타나'라는 용어에 대한 자세하며 그리고 실제적인 설명은 사야도의 신용이 걸려있는 설명이다. 이 설명은 수행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식이며 비결이다. 만일 누구라도 여기에서 제시되는 설명을 자신의 수행에 정확하게 적용시킨다면, 법(dhamma)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in no time; ⓟ ak liko) 열려질 것이다.
동채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eastandsouth/5306329 에서 복사한 글임을 밝힙니다.
'위빠사나.5온.12처.18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위빠사나 대념처경(大念處經) (0) | 2019.04.21 |
---|---|
7. 마음챙김의 일곱 가지 이익.마음챙김의 직접적인 원인 (0) | 2019.04.21 |
5. 위빠사나. 다섯가지 덮개와 대치법 (0) | 2019.04.07 |
4. 위빠사나. 초선~4선 설명. 오개.오선지.심법에 대한 고찰과향상 7가지 (0) | 2019.04.07 |
3. 위빠사나. 일곱가지 청정과 삼학.오근.팔정도 (0) | 201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