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기쁨[喜]을 생기게 하고 향상시키는 10 가지 방법
①부처님[佛]의 덕에 대하여 생각할 것.
②가르침[法]의 덕에 대하여 생각할 것.
③상가[僧]의 덕에 대하여 생각할 것.
④계행[戒]에 대해서 생각할 것.
⑤베풂[捨]에 대해서 생각할 것.
⑥천상[天]에 대해서 생각할 것.
⑦적정(寂定) 즉, 열반에 대해서 생각할 것.
⑧마음씀과 행동이 거친 이들을 멀리할 것.
⑨마음이 맑고, 부드러운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⑩기쁨에 마음을 기울일 것
5 심신의 평안[輕安]을 생기게 하고 향상시키는 7 가지 방법
①몸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음식을 취할 것.
②수행하기에 적적할 기후에서 지낼 것.
③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로 지낼 것.
④업은 자신의 것, 자기는 자기의 업의 상속자라는 사실을 생각할 것.
⑤들떠서 안정되지 못한 이들을 피할 것.
⑥안정된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⑦평안에 마음을 기울일 것
①몸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음식을 취할 것.
②수행하기에 적적할 기후에서 지낼 것.
③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로 지낼 것.
④업은 자신의 것, 자기는 자기의 업의 상속자라는 사실을 생각할 것.
⑤들떠서 안정되지 못한 이들을 피할 것.
⑥안정된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⑦평안에 마음을 기울일 것
6 마음집중[定]을 생기게 하고 향상시키는 10 가지 방법
①자신의 몸과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할 것.
②오근(五根)의 균형을 이룰 것.
③마음집중의 대상(kasi a)에 익숙할 것.
④침체된 마음을 택법(擇法), 정진(精進) 기쁨으로 고무시킬 것
⑤들뜬 마음을 평안[輕安], 마음집중[定], 평온[捨]으로 가라앉힐 것.
⑥소침해진 마음은 부처님의 덕 등을 생각하면서 밝게 할 것.
⑦수행이 균형을 유지하며 잘 지속 될 때는 평온[捨]을 생각하며 수행을 지속시켜 나갈 것.
⑧마음이 잘 집중되지 않은 이들을 멀리할 것.
⑨마음이 잘 집중되어 있는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⑩마음집중에 마음을 기울일 것
①자신의 몸과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할 것.
②오근(五根)의 균형을 이룰 것.
③마음집중의 대상(kasi a)에 익숙할 것.
④침체된 마음을 택법(擇法), 정진(精進) 기쁨으로 고무시킬 것
⑤들뜬 마음을 평안[輕安], 마음집중[定], 평온[捨]으로 가라앉힐 것.
⑥소침해진 마음은 부처님의 덕 등을 생각하면서 밝게 할 것.
⑦수행이 균형을 유지하며 잘 지속 될 때는 평온[捨]을 생각하며 수행을 지속시켜 나갈 것.
⑧마음이 잘 집중되지 않은 이들을 멀리할 것.
⑨마음이 잘 집중되어 있는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⑩마음집중에 마음을 기울일 것
7 평온[捨]을 생기게 하고 향상시키는 5 가지 방법
①존재나 사람들에 대해서 초연한 자세를 지닐 것
②사물들에 대해서 초연한 자세를 지닐 것.
③다른 존재들 (가족이나 친척, 가까운 사람들)에 대해서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멀리할 것.
④사물에 대해서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멀리할 것.
⑤평온에 마음을 기울일 것
①존재나 사람들에 대해서 초연한 자세를 지닐 것
②사물들에 대해서 초연한 자세를 지닐 것.
③다른 존재들 (가족이나 친척, 가까운 사람들)에 대해서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멀리할 것.
④사물에 대해서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멀리할 것.
⑤평온에 마음을 기울일 것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五根]의 균형
①믿음[信]과 지혜[慧]는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②마음집중[定]과 정진(精進)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③마음챙김[念]은 믿음과 지혜, 마음집중과 정진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주므로 언제나 필요하다. 마음챙김은 강하면 강할수록 바람직하다. 부처님께서는 마음챙김은 어느 곳에서나 바람직하다고 하셨다. 지나친 마음챙김이란 있을 수 없다. 마음챙김은 약방의 감초이며, 모든 음식의 맛을 내는 소금이며, 왕의 모든 일을 맡아보는 대신이다. 마음챙김은 가장 필요한 덕목이다.
①믿음[信]과 지혜[慧]는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②마음집중[定]과 정진(精進)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③마음챙김[念]은 믿음과 지혜, 마음집중과 정진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주므로 언제나 필요하다. 마음챙김은 강하면 강할수록 바람직하다. 부처님께서는 마음챙김은 어느 곳에서나 바람직하다고 하셨다. 지나친 마음챙김이란 있을 수 없다. 마음챙김은 약방의 감초이며, 모든 음식의 맛을 내는 소금이며, 왕의 모든 일을 맡아보는 대신이다. 마음챙김은 가장 필요한 덕목이다.
마음집중[禪定, 止, samatha 사마타], 지혜[智慧, 觀, vipassana 위빠사나], 마음챙김[念, sati 싸띠]
마음집중이 없으면 대상을 있는 그대로[如實하게] 보는 지혜는 생기지 않는다. 마음챙김은 마음집중과 지혜의 공통되는 기반이다.
마음집중은 번뇌를 일시적으로 억누르고, 지혜는 번뇌를 잘라 내버린다.
수행자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사마타 행자와 위빠사나 행자이다.
사마타 행자(行者)란 사선(四禪) 또는 팔선(八禪)의 마음집중을 먼저 닦아, 완전한 마음집중[安止定]의 힘으로 다섯 가지 덮개를 억누른 후, 위빠사나를 닦는 수행자이다.
위빠사나 행자는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이나, 40 가지 선정 수행의 주제 가운데 네 가지 요소에 대한 관찰[四界差別]에 의해서 특별한 마음집중 수행이 없이 처음부터 대상을 관찰하는 수행자를 말한다. 위빠사나 행자는 완전한 마음집중이 아니라 순간적인 마음집중[刹那定]에 의해 다섯 가지 덮개를 억누르며, 수행을 해 나간다. 위빠사나 수행의 기반이 되는 마음집중은 따라서 찰나정임을 알 수 있다.
마음집중은 번뇌를 일시적으로 억누르고, 지혜는 번뇌를 잘라 내버린다.
수행자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사마타 행자와 위빠사나 행자이다.
사마타 행자(行者)란 사선(四禪) 또는 팔선(八禪)의 마음집중을 먼저 닦아, 완전한 마음집중[安止定]의 힘으로 다섯 가지 덮개를 억누른 후, 위빠사나를 닦는 수행자이다.
위빠사나 행자는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이나, 40 가지 선정 수행의 주제 가운데 네 가지 요소에 대한 관찰[四界差別]에 의해서 특별한 마음집중 수행이 없이 처음부터 대상을 관찰하는 수행자를 말한다. 위빠사나 행자는 완전한 마음집중이 아니라 순간적인 마음집중[刹那定]에 의해 다섯 가지 덮개를 억누르며, 수행을 해 나간다. 위빠사나 수행의 기반이 되는 마음집중은 따라서 찰나정임을 알 수 있다.
수행을 통해서 극복해야 할 번뇌
위빠사나 수행에서의 번뇌에 대한 대치법은 간단하다. 어떠한 번뇌가 생겨나도 생겨나는 그 순간에 즉각 알아차리는 것이다. 마음챙김이라는 방패로 모든 번뇌를 대처한다는 의미이다. 끊어짐이 없는 마음챙김만이 번뇌를 막아낼 수 있는 것이다. 번뇌가 생기면 없애려고 하기보다는 알아차림을 지니려 해야 한다. 수행의 초보 단계에서는 번뇌의 힘이 강하고 마음챙김이 약하므로 수행 자체가 쉽사리 진행되지 않는다. 무리하게 번뇌와 정면으로 맞부딪히려 하지 말고 마음챙김을 지니려고 노력하라. 마음챙김이 강해질수록 번뇌의 거센 물결은 점차 가라앉게 될 것이다.
다음에 제시되는 번뇌와 대치법은 경전과 주석문헌을 참고로 하여 정리한 것이다. 번뇌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귀중한 조언이므로 잘 새겨서 기억해 두면 좋을 것이다.
위빠사나 수행에서의 번뇌에 대한 대치법은 간단하다. 어떠한 번뇌가 생겨나도 생겨나는 그 순간에 즉각 알아차리는 것이다. 마음챙김이라는 방패로 모든 번뇌를 대처한다는 의미이다. 끊어짐이 없는 마음챙김만이 번뇌를 막아낼 수 있는 것이다. 번뇌가 생기면 없애려고 하기보다는 알아차림을 지니려 해야 한다. 수행의 초보 단계에서는 번뇌의 힘이 강하고 마음챙김이 약하므로 수행 자체가 쉽사리 진행되지 않는다. 무리하게 번뇌와 정면으로 맞부딪히려 하지 말고 마음챙김을 지니려고 노력하라. 마음챙김이 강해질수록 번뇌의 거센 물결은 점차 가라앉게 될 것이다.
다음에 제시되는 번뇌와 대치법은 경전과 주석문헌을 참고로 하여 정리한 것이다. 번뇌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귀중한 조언이므로 잘 새겨서 기억해 두면 좋을 것이다.
1. 다섯 가지 덮개[五蓋]와 대치법
(1)감각적인 욕망을 없애는 6 가지 방법
①부정관을 할 것.
(不淨相의 획득; asubbha-nimittassa uggaho)
②부정관에 전념할 것.
(부정관 수행에의 노력; asubbha- bh v anuyogo)
③감각기관을 잘 제어할 것.
(감각기관의 보호; indriyesu guttadv rat )
④음식에 대해서 소중한 생각을 지니고 양을 조절할 것.
(식사의 양을 알 것; bhojane matt ut )
⑤도심이 굳은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감각적 욕망에 대한 말을 피하고 욕망을 제어하는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①부정관을 할 것.
(不淨相의 획득; asubbha-nimittassa uggaho)
②부정관에 전념할 것.
(부정관 수행에의 노력; asubbha- bh v anuyogo)
③감각기관을 잘 제어할 것.
(감각기관의 보호; indriyesu guttadv rat )
④음식에 대해서 소중한 생각을 지니고 양을 조절할 것.
(식사의 양을 알 것; bhojane matt ut )
⑤도심이 굳은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감각적 욕망에 대한 말을 피하고 욕망을 제어하는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2)분노[惡意]를 없애는 6 가지 방법
①자관(慈觀)을 닦을 것.
(慈相의 획득; mett nimittassa uggaho)
②자관(慈觀)에 전념 할 것.
(慈觀 수행에의 노력; mett bh van nuyogo)
③업은 자신의 것임을 생각할 것.
(자신이 지은 업의 자성을 관찰; kammassakat paccavekkha )
④자관의 좋은 점과 분노의 해로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할 것.
(관찰을 많이 닦을 것; pa isa kh nabahul kat )
⑤분노를 잘 다스리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자관의 이로움과 분노의 불이익에 대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①자관(慈觀)을 닦을 것.
(慈相의 획득; mett nimittassa uggaho)
②자관(慈觀)에 전념 할 것.
(慈觀 수행에의 노력; mett bh van nuyogo)
③업은 자신의 것임을 생각할 것.
(자신이 지은 업의 자성을 관찰; kammassakat paccavekkha )
④자관의 좋은 점과 분노의 해로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할 것.
(관찰을 많이 닦을 것; pa isa kh nabahul kat )
⑤분노를 잘 다스리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자관의 이로움과 분노의 불이익에 대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3)혼침과 졸음을 없애는 6 가지 방법
①혼침과 졸음의 원인이 과식에 있음을 알 것.
(과식에 대한 相의 획득; atibhojane nimittagg ho)
②자세를 바꿀 것.
(威儀의 전환; iriy patha-samparivattanat )
③광명상(光明想)을 닦을 것.
(광명상의 사유; lokasa -manasik ro)
④지붕이 없는 곳에서 수행할 것.
(露地에서 머물 것; abbhok sav so)
⑤잠자기를 즐기지 않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수면의 불이익과 깨어 있음의 이로움에 관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①혼침과 졸음의 원인이 과식에 있음을 알 것.
(과식에 대한 相의 획득; atibhojane nimittagg ho)
②자세를 바꿀 것.
(威儀의 전환; iriy patha-samparivattanat )
③광명상(光明想)을 닦을 것.
(광명상의 사유; lokasa -manasik ro)
④지붕이 없는 곳에서 수행할 것.
(露地에서 머물 것; abbhok sav so)
⑤잠자기를 즐기지 않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mittat )
⑥수면의 불이익과 깨어 있음의 이로움에 관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4)들뜸과 우울(회한)을 없애는 6 가지 방법
①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배울 것.
(多聞할 것; bahussutat )
②해도 되는 일과 해서는 안돼는 일을 두루 물을 것.
(널리 물을 것; paripucchakat )
③계율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
(율에 대한 분명한 앎; vinaye pakata ut )
④계를 잘 이해하고 지키는 연장자[長老]와 함께 지낼 것.
(老長老를 가까이 모실 것; vuddhasevit )
⑤들뜸과 우울을 잘 다스리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 mittat )
⑥들뜸과 우울의 해로움과 마음의 고요함의 이로움에 관한 적절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①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배울 것.
(多聞할 것; bahussutat )
②해도 되는 일과 해서는 안돼는 일을 두루 물을 것.
(널리 물을 것; paripucchakat )
③계율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
(율에 대한 분명한 앎; vinaye pakata ut )
④계를 잘 이해하고 지키는 연장자[長老]와 함께 지낼 것.
(老長老를 가까이 모실 것; vuddhasevit )
⑤들뜸과 우울을 잘 다스리는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 mittat )
⑥들뜸과 우울의 해로움과 마음의 고요함의 이로움에 관한 적절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5)회의적 의심을 없애는 6 가지 방법
①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배울 것.
(多聞할 것; bahussutat )
②불법승 삼보에 대한 의심이 있으면 질문을 하여 의심을 풀 것.
(널리 물을 것; paripucchakat )
③계율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
(율에 대한 분명한 앎; vinaye pakata ut )
④삼보의 진실함에 대한 믿음을 기를 것.
(신심[勝解]을 많이 닦을 것; adhimokkhabahulat )
⑤삼보에 대한 신심이 지극한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 mittat )
⑥의심의 해로움과 의심을 없애는 일의 이로움에 대한 적적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①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배울 것.
(多聞할 것; bahussutat )
②불법승 삼보에 대한 의심이 있으면 질문을 하여 의심을 풀 것.
(널리 물을 것; paripucchakat )
③계율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
(율에 대한 분명한 앎; vinaye pakata ut )
④삼보의 진실함에 대한 믿음을 기를 것.
(신심[勝解]을 많이 닦을 것; adhimokkhabahulat )
⑤삼보에 대한 신심이 지극한 좋은 벗을 가까이 할 것.
(선지식; kaly a- mittat )
⑥의심의 해로움과 의심을 없애는 일의 이로움에 대한 적적한 말을 할 것.
(적절한 말; sapp yakath )
<다섯 가지 덮개와 대치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다섯 가지 장애와 그 극복 방법』(서울: 고요한소리, 1988) 참조.>
동채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eastandsouth/5306329 에서 복사한 글임을 밝힙니다.
'위빠사나.5온.12처.18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마음챙김의 일곱 가지 이익.마음챙김의 직접적인 원인 (0) | 2019.04.21 |
---|---|
6. 위빠사나 수행에 따르는 10가지 번뇌 (0) | 2019.04.21 |
4. 위빠사나. 초선~4선 설명. 오개.오선지.심법에 대한 고찰과향상 7가지 (0) | 2019.04.07 |
3. 위빠사나. 일곱가지 청정과 삼학.오근.팔정도 (0) | 2019.04.07 |
2. 마음챙김의 네가지 대상..사념처 .육체적인 현상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