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看經 : 경전공부) 수행법 (우룡큰스님)
한 가지 공부를 꾸준히 해야..
부처님의 경전은 어느 것이나 같습니다.
금강경을 읽거나 반야심경을 읽거나 관음경을 읽거나 모두가 같습니다.
이것과 저것의 차별을 생각하지 말고 한 가지를 중심에 두고 끝까지 밀어붙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불교의 이야기는 모두가 우리의 마음에 관한 것입니다. 염불, 주력, 화두, 경전공부 이렇게 이름을 붙이지만 전부 우리의 마음자리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불교 경전은 어느 경전을 막론하고 마음자리를 밝히는 이야기요,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내는 방법을 이야기해놓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불교 경전을 공부하는 것을 간경(看經)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간(看)’자에는 눈으로 본다는 뜻만이 아니라 ‘관(觀)’자와 똑같은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경전을 연구하는 태도는 눈으로 글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뜻을 생각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합니다.
간경이라고 하지만 관경(觀經)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책을 되풀이해서 계속 읽고 다라니하듯이 그냥 외우는 것이 아니라 뜻을 생각하면서 읽어 그 내용을 꿰뚫어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전 하나를 의지하여 ‘이 경에서는 맺혀 있는 응어리 푸는 방법을 어떻게 이야기했느냐’를 연구하고 배워 나가, 내 가슴의 응어리를 없애고 마음의 병통을 떼어내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이 응어리가 풀어지면 불교의 표현대로 ‘벗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탈’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이 응어리가 남을 때에 모든 장애가 여기에서 일어나지만 이 응어리 하나하나를 드러낼 때 지나간 시간에 쌓았던 업장의 인연들이 하나씩 하나씩 풀어지는 것입니다.
‘내 가슴의 응어리라는 것’은 ‘눈’이라는 물건을 가지고는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그것이 때를 만나면 ‘나’를 매우 고통스럽고 곤혹스럽게 만듭니다.
그럴 때일수록 우리는 긍정을 합니다.
‘아, 나에게 이런 장애가 있었구나.’ ‘아, 나에게 이러한 업이 있구나.’ 하지만 응어리가 보여야 그 응어리를 없앨 수 있을 텐데 우리의 눈에는 그 응어리가 보이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업장소멸의 한 방법으로 경을 부지런히 읽어 응어리를 풀어내고 병통을 떼어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불자라면 부처님께서 제시하신 이 방법을 실천하여 마지막 해탈의 차원에 이르도록 노력을 해야 합니다.
모름지기 불자는 부처님의 경전을 소중히 하고 가까이 하여야 하며, 부처님을 대하듯 하여야 합니다.
경전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도 한 구절 한 구절의 이야기가 아니라 전체적인 흐름을 정확하게 판단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경전을 연구하는 올바른 태도입니다.
불교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에는 『능엄경』 이상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능엄경은 대우주의 시작부터 마지막 깨달음까지를 이론적으로 체계적으로 가장 정확하게 서술해 놓은 경전입니다.
세계의 시작, 중생의 시작, 업의 시작에서부터 어떻게 우리가 대우주세계와 하나가 되고 어떻게 얽혀지며 살아가는가를 또렷하게 이야기해놓았습니다.
그리고 마(魔)를 항복받는 방법과 깨달음의 세계까지 나아가는 법을 밝혀놓았습니다.
그리고 수행방법의 체계를 정확하게 이야기한 것은 『원각경』입니다. 비록 많은 내용은 아니지만 깨달음과 수행해 나가는 차제를 가장 간결하고 정확하게 나타내주고 있는 경전입니다.
또한 끝없이 커나가는 대우주에 발을 맞추어 불자들이 향상하는 데에는 『금강경』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무 것도 붙들지 말고 집착하지 말고 미련 두지 말고 ‘한다’도 없고 ‘했다’도 없고 주체도 없는 그 속에서 향상해나가는 방법을 설한 경전이 금강경이기 때문입니다.
대혜 스님의 『서장』은 마음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을 참으로 간결하고 명확하고 알기 쉽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서장은 선에 관해서만 아니라 염불, 주력, 화두, 경전공부하는 사람들이 꼭 명심해야 될 과정과 실천, 걸려서는 안 되는 병통들을 간절하게 지적해놓았습니다.
육조단경은 어디든지 걸려서는 안 된다는 대우주의 이야기를 축소시켜 놓은 것입니다.
내용으로 이야기하면 부처님의 금강경 이야기나 육조 스님의 단경 이야기가 똑같습니다.
이 다섯 가지 중 재가불자들에게 『서장』 『금강경』 『육조단경』을 많이 권하며 한평생 가까이 하라고 부탁을 드립니다.
그런데 요즈음 재가불자들은 경전을 신앙용으로만 독송할 뿐 경전을 이해하고 파헤치는 공부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놓지 않고 부지런히 연구하다 보면 자기의 마음이 바뀌고 경계가 바뀌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똑같은 금강경을 읽다가도 어떤 날에는 그 구절이 새롭게 가슴에 와서 닿기도 하고 늘 능엄경을 읽다가도 어떤 날에는 그 말씀이 너무도 고맙게 느껴져 울게도 됩니다.
경전을 꾸준히 읽다 보면 내 마음의 차원 따라 내 마음의 파도따라 향상의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옛 스님네들은 어떤 경전 하나를 선택하면 그 경전을 기준으로 삼아 스스로의 수행과정을 점검하고 늘 지송하며 정진했습니다.
이처럼 재가불자들도 하나의 경전을 중심으로 삼고 정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 경전을 기둥으로 삼아 나의 수행을 돌아보고 나의 차원을 살펴보고 나의 향상을 점검하면서 꾸준히 지송하면 됩니다.
아울러 다른 불교책을 많이 접할 것을 당부드립니다.
부처님의 경전은 끝이 없습니다.
깨달음도 끝이 없습니다.
한번 깨달으면 다 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이도 있지만 깨달음은 끝이 없는 것입니다.
매일 매일의 생활 속에서 하나씩 깨달아가고 이런 작은 깨달음들이 쌓이고 쌓여 중단하지 않고 끝까지 가야 마지막 깨달음이 오는 것입니다.
자기의 내적 향상이 있어야 비로소 바깥세계가 거룩하고 고맙고 아름답고 크게 느껴지게 됩니다.
자기 정진이 없으면 자기 정도로만 쳐다보게 되고 자기 정도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안으로 부지런히 정진을 하여 자기 안에서 빛이 나게 해야 합니다.
그것들이 쌓이면 저절로 바깥 세상도 넓어지고 빛이 나게 되는 것입니다.
흔히 사람들은 어느 경을 읽으면 공덕이 많고 어느 경을 읽으면 공덕이 덜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부처님의 경전은 어느 것이나 같습니다.
금강경을 읽거나 반야심경을 읽거나 관음경을 읽거나 모두가 같습니다.
이것과 저것의 차별을 생각하지 말고 한 가지를 중심에 두고 끝까지 밀어붙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정녕 원을 세운 불자들은 원과 함께 정한 한 가지 공부를 끝까지 밀어부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염불이면 염불, 간경이면 간경, 참선이면 참선, 주력이면 주력, 한 가지 공부를 선택해서 죽어라고 밀어붙여 끝까지만 가면 같은 차원에 도달해서 법을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부처님의 경전은 모두가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내는 방법을 이야기해놓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 가지를 꾸준히 연구하면 전체가 다 풀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공부를 동시에 하려는 욕심만 부리지 마십시오.
한 가지 공부를 꾸준히 해나가면 결국 그 힘이 모여 모든 것을 해결해 줍니다.
이 공부가 끊어지지 않도록 실날처럼 계속 이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부디 경전공부를 꾸준히 잘 하시기를 축원드립니다.
월간 불광 2004년 7월호
우룡스님(울산 학성선원조실)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토삼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 전문 (1) | 2023.03.05 |
---|---|
우리말 금강경(조계종 표준) (0) | 2021.10.17 |
불교경전이란 무엇일까? (0) | 2020.12.06 |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0) | 2020.10.01 |
사문과경(沙門果經)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