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완 6

[2018년 11,12월호] 재가 조사선 지도자 김태완 무심선원 원장을 만나다 / 전현자

재가 조사선 지도자 김태완 무심선원 원장을 만나다 취재 | 전현자 (미주현대불교 한국주재기자) 기자: 인터뷰 허락 고맙습니다. 미주현대불교 독자분들을 대신하여 인사드립니다. 선원장: 예, 반갑습니다. 기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법문으로 인도하여 주신다고 알고 왔습니다. 선원장: 예. 설법을 하죠. 기자: 설법을 하시는 분께서 법을 충분히 이해하셨다, 체득하셨다고 해도 될까요? 선원장: 이해라기보다도 제 경험을 그냥 얘기하는 거죠. 기자: 경험을 말씀해주시면 듣는 분들께서 충분히 만족을 하십니까? 선원장: 만족이라기보다도, 불교를 공부하는 이유가 마음이 편해지려고 하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여기에 오시는 분들이 그런 뜻을 가지고 찾던 분들이 주로 오시는 거죠. 제가 책도 좀 냈고, 또 인터넷에 무심선원 홈..

불교관련 2022.05.08

유식무경 - 김태완

유식무경 1. 서론 부산대/김태완 불교의 唯識說은 彌勒(Maitreya)과 無著(Asa ga)을 거쳐서 世親(Vasubandhu)이 완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유식설에 관한 세친의 대표작은 『唯識三十訟』·『唯識二十論』·『三性論偈』 등이다. 唯識說이란 곧 唯識無境說로서 간략히 말하면, 識만 있고 그 識 속에 나타나는 사물은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 즉 識의 대상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對象非實在論이다. 唯識의 싼쓰끄리뜨어는 Vij apti-m tra인데, 여기서 識으로 번역되는 것은 Vij apti이다. 똑같이 識으로 번역되는 Vij na에 인식주체(인식주관과 인식기관)·인식작용(요별작용)· 인식내용(인식표상)이라는 의미가 주어져 있는 반면에, Vij apti는 인식작용·인식내용의 의미만 주어지고 인식주체라는 ..

불교관련 2022.05.08

[무주] 처한 삶 그 상황에 머물러 있는 구속에 대한 질타 - 김태완 원장

1. 무주(無住)란? ‘머묾 없다’ 혹은 ‘머물지 않는다’고 번역될 수 있는 ‘무주(無住)’ 혹은 ‘무소주(無所住)’의 불교에서의 의미는 불교의 핵심인 깨달음, 해탈, 열반, 반야, 연기, 중도, 공, 무애(無礙), 자재(自在) 등을 나타내는 말이며, 법계의 실상(實相)을 가리키는 말이다. ‘머문다’는 것이 ‘반연(攀緣)한다’, ‘집착한다’, ‘애착한다’, ‘묶여 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은 곧 이름과 모양을 분별하여 분별된 이름과 모양에 머물러 집착하고 묶여 있다는 말이다. 이렇게 이름과 모양에 머물러 집착하고 묶여 있는 것은 바로 중생심의 특징으로서 번뇌, 고(苦) 등으로 불리는 불행하고 불만족한 삶이다. 불교는 이러한 번뇌와 고로부터의 해탈을 목적으로 한 가르침이고 공부이다. 석가모니가..

불교관련 2021.12.26

[불교의 무주(無住)] 8. 화엄경의 무주 - 김태완 선원장

[불교의 무주(無住)] 8. 화엄경의 무주 『화엄경(華嚴經)』에 나타나는 ‘무주(無住)’라는 용어는 총체적으로 말하면, ‘하나가 여럿이요 여럿이 하나[一卽多多卽一]’ 혹은 이사무애법계(理事無礙法界)․사사무애법계(事事無礙法界)의 상즉상입(相卽相入)하는 원융무애(圓融無礙)한 법계연기(法界緣起)를 설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개별적 문맥 속에 나타나는 각각의 ‘무주’라는 단어가 문맥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드러내고 있긴 하지만, 총체적으로 볼 때『화엄경』에서 ‘머묾 없다’는 말은 ‘일체법에 걸림 없는 무애자재(無礙自在) 혹은 원융무애(圓融無礙)’라는 뜻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화엄종(華嚴宗)에서 수립한 화엄교학(華嚴敎學)에 따르면, 화엄의 가르침은 그 세계관인 법계연기(法界緣起)와 수행법인 법계..

화엄경 이야기 2021.12.12

아함경에서의 공사상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김 태 완 (부산대) 차 례 Ⅰ. 서 론 Ⅱ. 空觀 (1). 五蘊을 觀함 (2). 六根을 觀함 (3). 空의 의미 Ⅲ. 空處定 Ⅳ. 空三昧 Ⅴ. 결 론 Ⅰ. 서 론 불교에서의 '空'이라는 말은 대체로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이며 전유물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소수의 연구서 이외에 대다수의 교리 개설서나 교리사에서는 空思想을 대승불교의 핵심으로 다루며, 초기불교에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물론 '공'이 般若나 中觀 등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공'으로 표현되는 사상을 탐구해 보아야 할 이유가 몇 가지 있다. 첫째, 무엇 보다도 아함경에서의 붓다의 교설 가운데 중요한 부분에 '공'이라는 용어가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空' 자가 經名으..

논문 - 유식사상 / 김태완

유식사상 목차 유식사상 - 1. 唯識의 의미 유식사상 - 2. 唯識無境의 논증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⑴ 주관과 객관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⑵ 識一元論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⑶ 식의 四分說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⑷ 8識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⑸ 阿賴耶識緣起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⑴ 아뢰야식의 의미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⑵ 종자의 기능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⑶ 아뢰야식의 대상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⑷ 아뢰야식에 언제나 동반하는 다섯 가지 심작용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⑸ 無覆無記인 아뢰야식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⑹ 아뢰야식의 相續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⑺ 아뢰야식의 소멸 유식사상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