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설 2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Anatman Theory of Buddhism and Jung's Self Realizzation​​정현숙​​국문요약​불교의 무아설을 인도의 전통적 아트만 사상과 비교하고, 초기불교, 부파불교, 유식불교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상호 배타적으로 보이는 무아설과 윤회설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업의 개념이 도입되고, 업의 상속을 가능케 하는 기반으로 아라야식이 핵심개념으로 들어온다. 무아설을 상세히 입증하기 위하여 5위 100법의 존재론적 분류와 함께 8식의 인식체계가 도입된다.아라야식을 정점으로 하는 8식의 인식체계는 정신분석학의 의식-무의식 체계와 심층심리학으로서 비교대상이며, 이중 무아설과 진여의 관계는 자아와 자기실현의 관계와 유사점과 차이점이 비교된다.​Ⅰ. ..

무아설과 윤회설의 문제 / 김진

무아설과 윤회설의 문제 김 진* [한글 요약] 불교에서 무아설과 윤회설 사이의 모순은 석가의 이론적 세계관찰의 결과와 그의 실천적 이상목표가 대립적으로 설정된 데서 비롯되었다. 석가의 무아설은 (무아설을 포함하는) 언제나 동일한 세계법칙 아래에 있는 다르마 이론과 (윤회설을 포괄하는) 카르마 이론 사이의 불가피한 모순을 기술하고 있다. 다르마 이론에서 말하는 무아설은 다르마의 가상세계에서 결합되고 재결합되는 것은 존재자나 불변적 실존원핵, 또는 인간의 진아가 아니라는 사실을 확정하고 있다. 그와 반대로 윤회설은 카르마적 인과사슬과 삼사라의 세계를 극복할 수 있는 영원히 존재하는 진아의 실체를 요구하고 있다. 불교에서 이처럼 무아설과 윤회설 사이에서 제기되는 모순은 칸트가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

인도 철학 2019.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