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사상 3

유식사상(唯識思想, 산스크리트어 vijnapti-matrata) 개요

무착 보살 탱화차례1.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2. 유식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유가행파(瑜伽行派)라 한다. 3. 유식학의 대가들4. 유식사상의 특징1) 중관사상(中觀思想)과 유식사상의 관계2) 유식사상이란 마음에 관한 것이다. 3) 전식득지(轉識得智)를 추구하고 있다. 5. 주요 유식사상 1) 8식(八識)의 구조2) 유식 삼성설(唯識三性說)과 삼무성설(三無性說)3) 심왕(心王, citta)과 심소(心所, caitta)4) 유식 4분설(四分說)5) 유식 사지(唯識四智)6) 4선근(四善根)-4가행위(四加行位) 7) 유식수행 5위(唯識修行五位)=수도 5위(修道五位)---------------------------1.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유식사상(산스크리트어 비즈납티 마트라/vijnapti-matrata)은 ..

<중관(中觀)사상과 유식(唯識)사상>

​ 용수 상(일본) 부처님 입멸 후 용수(龍樹, Nigarjuna, 150경~250경)와 같은 걸출한 사상가의 등장은 대승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용수가 등장한 시기는 부파불교가 한창 분파를 거듭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시기였다. 흔히 불교 발전을 「근본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순서로 전개됐다고 한다. 그렇다고 각 사상의 발생과 소멸이 이렇게 확연하게 구분돼 단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부파불교가 끝나고 대승불교가 시작된 것도 아니다. 부파불교는 부처님 입멸 후 100~400년 사이에 분열을 거듭했지만, 기원 전후의 대승불교 흥기 이후에도 무려 700년 정도를 더 건재해, 부파불교와 대승불교가 병행해서 함께 발전한 시기가 700여년 된다는 말이다. ​ 따라서 용수가 본격적인 ..

중관사상 2023.11.19

논문 - 유식사상 / 김태완

유식사상 목차 유식사상 - 1. 唯識의 의미 유식사상 - 2. 唯識無境의 논증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⑴ 주관과 객관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⑵ 識一元論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⑶ 식의 四分說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⑷ 8識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⑸ 阿賴耶識緣起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⑴ 아뢰야식의 의미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⑵ 종자의 기능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⑶ 아뢰야식의 대상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⑷ 아뢰야식에 언제나 동반하는 다섯 가지 심작용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⑸ 無覆無記인 아뢰야식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⑹ 아뢰야식의 相續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⑺ 아뢰야식의 소멸 유식사상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