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인간의 특성 -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
|
공통점
|
차이점
|
유교
|
인간이 육체적인 면에서는 동물과 별 차이가 없음
|
인간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착한 성품을 지님 /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도덕적 능력 소유 ⇒ 인간은 대체적으로 그 본성이 선하지만, 육체적 욕구에 의해 악해질 소지가 있음 / 수기(修己), 수양(修養)
|
불교
|
인간도 동물의 일종 - 욕구의 지배
|
인간이란 육체와 감수 기능을 가지고 상상하고 행동하며, 의식을 지닌 동물⇒육체적 욕구로 인해 삶이 고통⇒인간은 불성(佛性)을 깨달음으로써 고통을 극복하고 해탈의 경지에 도달 가능
|
도교
|
인간과 만물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며, 덕(德)⇒ 인위적 가치 체계 부정/ 무위자연의 삶 강조
|
인간과 만물의 차이를 부정
|
서양
|
신체 구조상 유인원과 유사 / 다른 동물처럼 식욕, 성욕, 수면욕을 지님, 공격적인 본능과 생물학적 특성을 지님
|
이성의 소유⇒인간이 직접적이고 1차적인 감각이나 감정의 차원을 벗어나게 해줌 /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창조적으로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과 사상, 제도나 기술 등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과거의 철학자
|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이성적 특성과 동물적 특성을 대립 관계로 규정⇒인간의 동물적인 특성을 억제하고 이성적인 특성을 살려야만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음
|
|
현대의 사람들
|
인간의 이성적 측면과 생리적, 기본적 욕구도 함께 중시되어야 함.
|
Ⅱ. 인간관
1. 동양의 인간관
․유교의 인간관 - 인간은 만물의 영장 / 천(天)의 기품과 지(地)의 형상을 가장 완벽하게 부여받은 중간자적 존재 / 이상적 인간상 : 군자(君子) / 윤리적 인간관
․도교의 인간관 - 세속적인 생활을 초월하고 대자연과 하나가 되어 자연의 흐름에 내맡기고 살아가는 인간 / 이상적 인간상 : 지인(至人), 신인(神人), 천인(天人) / 자연적 인간관
․불교의 인간관 - 깨달음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누리며 올바른 삶을 영위하는 인간 / 이상적 인간상 : 보살 / 인생론적 입장에서 인간 조명
2. 서양의 인간관
․자연주의적 인간관 -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자 유기적 물질이고 그 물질이 발전한 산물로서 마음을 가짐 / 합리주의적 인간관 형성에 영향을 줌
․합리주의적 인간관 - 사람은 이성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할 때에 가장 사람다운 사람이 됨 / 소우주(小宇宙)로서 개개인은 이성을 가졌다는 점에서 절대적 존재이고 평등한 존재
․크리스트 교적 인간관 - 인간은 신의 모사물 / 자유 의지와 창조 능력을 가진 문화적, 도덕적 존재 / 인간은 자연보다 존엄하며 자연을 정복하고 이용할 권리가 있음.
3. 한국의 전통적 인간관
․홍익 인간의 인간관 - 천지조화라는 묘합(妙合)의 원리를 토대로 함 / 풍요한 삶과 선량한 인심, 화평한 사회를 추구하는 인도주의적 이념
․불교의 인간관 - 인간이란 육체와 감수 기능을 가지고 상상하고 행동하며, 의식을 지닌 동물 / 화쟁(和諍)과 오수(悟修)에 따른 조화를 중시 / 인간은 내적으로 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모두 존귀하고 평등한 존재
․성리학적 인간관 - 인간의 심성은 순선하나 육체적 욕망 때문에 선악의 기로에 서게 되고 악의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존재 / 선한 본성을 가리는 욕심을 걷어내기 위해 부단히 공부하고 수양해야 함.
․실학의 인간관 - 인간을 자연으로부터 독립된 존재로 파악 / 기혈적(氣血的) 존재 / 인간은 자연 앞에 독존하는 자율적 인격의 주체 / 누구나 평등하게 자신의 욕구를 발현하며 충족시켜 나가는 현실적 존재
․동학의 인간관 -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과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무궁한 존재가 될 수 있는 존재 / 인내천(人乃天) 사상으로 발전
Ⅲ. 국가관
1. 동양의 국가관
․도가 -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소국과민(小國寡民)
․유가 - 중용의 활국구민(活國救民) / 현대의 복지 국가관과 일맥 상통 / 가족 공동체 의식에 기반
․법가 - 인위적 강제를 통한 부국강병(富國强兵)
2. 서양의 국가관
1) 국가의 발생 기원에 따른 분류
․정복설 - 강한 부족(집단)이 약한 부족(집단)을 지배, 복속시켜 나가는 가운데 국가 발생
․공공선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국가 창출
․사회 계약설 - 사람들의 합의에 의해 국가 발생
2) 국가 권력 행사 범위에 따른 분류
․야경 국가관 - 최소한의 국가 권력 행사 주장 / 경찰, 국방 임무에 한정 / 근대의 국가관
․복지 국가관 -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국가 권력의 행사 인정 / 현대의 국가관
3) 국가관의 여러 형태
․국가주의적 국가관 - 국가는 도덕 공동체 / 국가와 개인은 유기체적 관계 / 국가가 없는 개인의 자유란 있을 수 없고, 개인의 자유는 오직 국가 안에서만 실현될 수 있음
․자유주의적 국가관 - 국가는 필요악(必要惡) / 개인과 국가는 대립적 관계 / 국가는 오직 개인을 위해서 존재 / 다원주의 정치 이론과 밀접한 관련
․마르크스주의적 국가관 - 국가는 계급 지배의 산물 / 계급 지배가 사라지면 국가 또한 소멸한다는 국가 소멸론 주장
․무정부주의적 국가관 - 국가는 사유 재산의 산물 / 국가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수단에 불과 (국가×) / 인간은 자신의 사회성에 근거, 자유를 누리며, 평화롭게, 질서 있는 삶을 유지할 수 있음/ 실정법 부정
Ⅰ. 윤리설 일반
1. 인간의 삶과 윤리의 필요성
1) 윤리의 어원적 의미
윤(倫)
|
무리, 또래, 혹은 질서 등
|
윤리(倫理)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즉 인간 관계의 이법(理法) 이나 도리
|
리(理)
|
‘옥을 다듬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치․이법․도리 등을 의미
|
2) 윤리의 필요성
① 사람 혹은 사회 집단이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지 않도록 스스로 행동을 규제하는 데 필요(전제- 인간만이 의식적으로 남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사실)
② 인간의 이중성 - 인간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하거나 악할 수 있음
③ 사회적 존재
※ 자유 의지가 전제 - 인간은 옳지 못한 행동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의식적으로 그와 같은 행동을 자제할 수 있음(자유 의지×- 윤리적 책임×)
3) 윤리의 기능 - 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사회적 유대를 강화
4) 윤리의 특성 - 보편성과 특수성, 변화 가능(시대 / 사회)
2. 절대론적 윤리설 / 상대론적 윤리설
1) 절대론적 윤리설 - 이상적인 도덕 사회를 구현하려면 언제, 누구에게나 보편 타당한 절대적인 행위 법칙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법칙이야말로 완전한 도덕을 실현하기 위한 거울이 됨.
2) 상대론적 윤리설 - 한 사회의 목표나 그 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행위는 인정을 받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비난을 받거나 제재를 당함으로써 옳은 행위와 그른 행위가 구분됨.
Ⅱ. 자아 실현과 인격 완성
1. 자아 실현
1) 조용한 혁명 - 삶의 목적이 객관적 지표(주택, 이웃, 건강, 경제 형편, 결혼, 자녀 양육, 집안일, 친구, 여가, 교육, 정부(政府), 직업 등) 중심에서 주관적 지표(지적 심미적 만족, 사랑 존경에의 욕구) 중심으로 변화
2) 자아 실현과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
구분
|
본성의 이해
|
자아 실현
|
한계
|
성리학
|
인간성(인, 의, 예, 지)이 주어진 것으로 봄
|
본성이나 운명에 순응하면서 타고난 가능성을 최대한 실현시키는 것
|
새로운 것의 창조보다는 주어진 조건과 제약 속에서 순응하고 본성에 충실할 것을 강조
|
그리스 철학자
|
잠재 가능성을 타고 남
|
타고난 가능성을 최대한 실현시키는 것
|
3) 자아 실현의 조건
① 개인적 조건 - 몸과 마음의 건강 / 절제(주어진 본능과 욕망을 좀더 큰 목적을 위하여 합리적으로 조절하는 것/ 중용의 덕) / 창조 정신
② 사회적 조건 -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조화로운 관계 유지 / 사회 질서와 평화의 확립 / 정의로운 사회 구현
2. 인격 완성을 위한 노력
1) 인격의 의미
① 동양에서의 인격 - 격(格): 인간 노릇을 하는 법식(法式), 인간으로서 표준과 자격 / 인간으로서 지니는 지적, 정서적, 의지적, 신체적 특징을 포괄
② 서양에서의 인격 - 과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 / 현재: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주체
2) 우리 조상들의 인격 완성 방안
덕(德)을 중시
|
유가
|
인, 의, 예, 지, 신의 오상(五常)을 몸에 익히는 것
|
불가
|
쾌락과 고행의 양극단에 빠지지 않고 중도(中道)를 깨닫는 것
|
|
도가
|
절대 불변의 진리를 체득하는 것 ⇒ 무위(無爲)와 무욕(無慾)의 상덕(上德) 강조
|
|
행동 거지 중시
|
수신서였던 〈계몽서편〉에서 구용(九容) 강조
|
발의 동작은 무게가 있고〔重〕손가짐은 공손하고〔恭〕눈은 단정하게 보고〔端〕말이 적어 입은 멈추어 있는 듯하고〔止〕말소리는 침착하여서 고요하고〔靜〕, 머리는 곧게 유지하고〔直〕호흡은 조용히 엄숙하게 하고〔肅〕서 있는 모습은 덕스럽고〔德〕그리고 얼굴빛은 장중해야 한다.〔莊〕
|
3) 인격 완성을 위해 계승, 발전시켜야 할 덕목
① 전통적 덕목 - 경천애인(敬天愛人) / 홍익인간(弘益人間) / 오상(五常)과 무위(無爲) / 순천절물(順天節物)
② 민주 사회에서 요청되는 덕목 - 인권 존중 / 공정성 / 책임감 / 준법 정신 / 정직성
Ⅰ. 현대 사회와 윤리
1. 현대 사회의 특징
1) 공업화 - 기계의 힘을 이용한 생산 과정의 변화 / 기술 지배, 관료제
2) 대중화 -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도시화와 획일화, 규격화 등으로 말미암아 지역의 특수성이 사라지고, 사람들은 개성을 잃고 획일화 경향
3) 정보화 - 정보와 지식의 생산, 처리 과정에서 부가 가치의 창출 / 탈산업 사회, 후기 산업 사회
♣ 대중 사회 - 대중이 정치, 경제, 사회적 영역에서 주도적 역할 수행
․경제적 - 산업 사회 : 생산의 주체이며, 소비의 주인공
․정치적 - 보통 선거 제도의 확립
․사회적 - 사회권적 기본권의 보장
․문화적 - 대중 문화의 형성 / 긍정적 측면 : 대중 매체의 발달로 대중의 문화적 생활이 보편화, 부정적 측면 : 문화의 획일화, 하향 평준화
2.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
1) 과학 기술의 발달 - 자원 고갈 / 환경 파괴, 생태계의 위기 / 인간성 상실 / 전쟁
2) 대량 생산 체제의 발달
① 신속화 - 자기 반성을 할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함
② 기계화 - 인간을 기계의 부속품으로 인식
③ 자동화 - 인간이 특정한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반응하게 함
④ 물량화 - 모든 사물을 교환 가치로 인식
⑤ 규격화 - 인간도 필요에 따라 어떤 틀속에 집어넣거나 주조(鑄造)할 수 있다는 생각
⑥ 대중화 - 개인의 창의성이나 개성을 살리기 보다 남에게 의존하고 무비판적으로 살게 함.
3) 전통과의 단절 - 삶의 기준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여 혼란에 빠짐
3. 현대 사회의 생활 윤리
1) 가족 윤리 - 오전(五典) : 부의(父義), 모자(母慈), 자효(子孝), 제공(弟恭), 형우(兄友)
2) 직업 윤리
① 전통적 - 장인 정신, 청백리 정신, 근면과 성실
② 서양 - 직업 소명설, 청교도 윤리
③ 동양 - 정명 정신, 신유교 윤리
3) 시민 생활 윤리 - 향약의 4대 덕목 : 덕업 상권, 과실 상규, 예속 상교, 환난 상휼
※보조성의 원리 - 개인이나 작은 공동체라도, 사회의 큰 공동체로부터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으며 자주성을 보장받아야 함.
4) 문화․예술 생활 윤리
① 문화 하강 현상 - 자유 방임, 표현과 창작의 자유를 빌미로 한 상업주의로 인해 야기
② 예술과 도덕의 관계
ⅰ) 예술적 미 = 도덕적 선 / 공자, 정약용, 토마스 아퀴나스(완전성, 명료성, 조화와 균형) / “훌륭한 사람의 삶은 선량한 동시에 아름답다”
ⅱ) 예술 지상주의 - 예술과 도덕은 무관, 예술은 예술 그 자체로 존재
5) 종교 생활 윤리 - 레싱 “아! 내가 너희들에게서 어떤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면, 그것은 하나의 인간일 것이다.”
6) 성(性)과 윤리
① 성 윤리 타락의 원인 - 서구 문물의 무분별한 유입 / 성(性)을 상품화하려는 상업주의 / 성에 대한 무지와 그릇된 성 윤리관
② 조상들의 성(性)에 대한 보수적 관념 - 성을 금기시(禁忌視) 하면서도 존엄하고 신비한 것으로 생각
7) 사회 윤리 - 정책이나 제도가 뒷받침되는 집단의 도덕성 회복 / 라인홀트 니부어 “사회 집단의 도덕과 사회적 행동은 개인의 도덕과 행동보다 현저하게 도덕성이 떨어지고 저하된다.”
Ⅰ. 이데올로기의 여러 유형
1. 사회주의
- 생산 수단의 사회적 소유, 관리 주장 / 대표적 사상가인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사회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발생한다고 주장 But 현실에서는 주로 후진 농업국에서 혁명이 발생
2. 민족주의
․민족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이데올로기
․독자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다른 이데올로기와 쉽게 결합하는 특징을 지님
․민족을 단위로 한 근대 국민 국가의 성립과 더불어 발생
․근대 시민 사회(18-19c) - 자유주의, 개인주의와 결합하여 ‘국민주의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띰
․제국주의 시대(19c말-20c초) - 개인의 이익보다는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국가주의와 결합하여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띰(⇔ 식민지 국가에서는 저항적 민족주의 대두)
․1930년대 - 파시즘과 나치즘의 인종주의와 결합된 민족주의 대두
․2차 세계대전 이후 - 신생 독립 국가들의 근대화의 원동력으로 작용 / 반민주적 정치 체제를 정당화하는 역기능도 수행
3. 자본주의 / 자유 민주주의
1) 자본주의- 경제적 영역의 자유주의, 개인주의 이념 / 생산 수단의 사적(私的) 소유, 자유 경쟁의 원리에 기반
◈ 미국형 복지 ‘자본주의’ - 중도 내지 우파 정당이 정치 주도 / 공공 정책은 다양한 이익 단체들이 서로 경쟁적이고 다원주의적인 정치 과정을 거쳐 결정 / 개인주의적 자유주의의 전통이 강함 / 자원의 분배는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 자유와 경제적 능률이 다른 모든 가치에 우선
◈ 스웨덴형 ‘복지’ 자본주의 - 사회 민주당 등
의 중도 좌파가 집권하면서 진보적 정치 펼침 / 주요 사회 경제 정책은 노(勞),사(使),정(政)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조합주의를 근간으로 함 / 생산 체제는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고 계층간의 소득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데 역점을 둠
※ 공통점 : 자유 민주주의의 제도적 요건을 갖춤(시민적 자유권과 참정권의 보장, 대의 제도나 민주적 선거 제도, 경쟁적 복수 정당 제도 등)
2) 자유 민주주의 - 정치적 영역에서의 자유주의, 개인주의 이념
Ⅰ. 국제 관계와 윤리
1. 이상주의적 견해
․ 국제 관계의 목적과 수단을 고려하는 데 있어 윤리, 도덕 규범이 큰 영향을 미침
․국가는 이성을 가진 인간들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국가도 이성적으로 활동할 것이라는 믿음이 전제 ← 18c의 계몽적 낙관주의의 영향
․국제 정치에서 각 국가간에 자연스런 조화와 균형이 가능
․ 국제법과 국제 기구에 의한 세계 평화 유지 가능
2. 현실주의적 견해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하지도 완전하지도 않으며 환경에 의해 권력 지향적 악행을 자행할 수 있는 존재로 정의
․각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힘을 사용하며 국제 관계는 이 힘에 의해 좌우
․한 국가의 지정학적 위치, 인구, 천연 자원, 기술 수준, 정치적 안정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
․홉스식의 자연 상태 전제
Ⅰ. 동양 윤리 사상의 흐름(1)
1. 유가
◆ 공자
⑴ 사회 혼란의 원인- 도덕성의 타락 / 내면적 도덕성인 인(仁)의 회복 강조
⑵ 인(仁)의 실천- 효(孝)․제(悌)를 바탕으로 애인(愛人), 서(恕), 주충신(主忠信) 강조
⑶ 극기복례(克己復禮)
⑷ 대동(大同) 사회- 천하를 사유화하지 않고 모두 더불어 잘 사는 이상 사회
⑸ 정명(正名) 사상
⑹ 이상적 인간상- 군자(君子)
◆ 맹자
⑴ 성선설(性善說) /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4단(四端)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4덕(四德): 인(仁), 의(義), 예(禮), 지(智)
⑵ 이상적 인간상: 대장부(大丈夫) ← 집의(集義)/ 호연지기(浩然之氣)
⑶ 왕도정치(⇔패도정치) → 민본주의적 혁명 사상
◆ 순자
⑴ 성악설(性惡說) → 화성기위(化性起僞): 인간의 악한 본성을 인위적으로 선하게 변화시키면서 사회적 혼란을 극복 가능
⑵ 禮治 : 인간의 질서 있는 생활을 외적으로 규제하는 도덕 규범
한 대
․경학, 훈고학 / 음양 오행설과 같은 우주론적 사상 중시→ 실천적이고 도덕적인 본래의 유학 정신 소홀
송 대 - 주자학
⑴ 선진의 유학을 체계화하고 이론화할 필요성 제기 / 이(理)와 기(氣)라는 철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유학을 새로이 집대성 → 신(新)유학
⑵ 맹자의 성선설 + 성즉리(性卽理)설
⑶ 인간의 선한 본성 바탕 ⇒ 인격의 수양과 실천⇒ 완성된 인격의 구비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 ⇒ 이상적인 도덕 사회 건설
※ 학문의 과정 : 격물치지(格物致知), 존양성찰(存養省察) / 이론적 탐구와 도덕적 실천 동시에 중요시
⑷ 학문의 목표: 성인(聖人) ← 存天理去人慾
⑴ 주자학 비판: 性卽理설(×)⇒心卽理설, 先知後行(×)⇒ 知行合一 / 致良知설
⑵ 내면의 순수한 도덕성 확충 강조 → 이론적 탐구 ×
⑴ 고증학, 실학, 금석학
⑵ 송․명 시대의 유학이 너무 인간의 도덕성 문제에만 치우쳐 구체적 현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점 비판
⑶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학문을 연구〔實事求是〕하여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사상을 전개
1. 도가 사상
◆ 노자
⑴ 사회 혼란의 원인 - 인간의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사회 제도 / 인위적인 문화를 부정하고 자연의 섭리대로 살아가는 인간의 소박한 삶을 대안으로 제시
⑵ 소국과민(小國寡民)의 국가관 주장 - 거대한 통일 제국의 국가 형태에 반대(⇔ 공자의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
⑶ 상선약수(上善若水) - 물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와 겸허(謙虛)와 부쟁(不爭)의 덕을 완벽히 체현한 사물
◆ 장자
⑴ 사회 혼란의 원인 - 세상의 일면에만 집착하여 자기만이 옳고 남은 그르다고 하는 이기적인 편견 때문
⑵ 제물(齊物) - 모든 사건이나 사물을 차별화 하지 않은 정신적 자유의 경지 / 만물이 절대 평등, 선악과 미추의 구별이 무의미 / 좌망(坐忘)과 심재(心齋)
⑶ 이상적 인간상 : 지인(至人), 신인(神人), 진인(眞人) ←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에 오른 사람
⑷ 우화적(寓話的) 표현을 주로 사용
◆초기 - 황로학파
⑴ 황제와 노자 숭상
⑵ 청정무위(淸淨無爲) 주장
⑶ 도가 + 유가, 묵가, 법가, 명가
◆말기 - 오두미교
⑴ 도교의 일종 / 종교적인 구원을 선전하여 교단의 형태를 갖춘 종교로 발전
⑵ 신선(神仙) 사상 - 도덕적인 선행을 하면, 질병이 낫고, 영원히 죽지 않는 신선이 될 수 있음
◆ 玄학자 - 노장 사상을 철학적으로 계승하여 발전시킴
⑴ 청담(淸談) 사상- 인간의 현실을 초월한 우주론적 최고 원리의 경지를 토론하는 논변을 즐김 / 세속적 가치를 초월한 철학적이고 예술적인 사유와 가치를 중시
⑵ 무(無)의 세계 강조 - 눈앞의 현실 세계는 다만 인간의 고정 관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진실한 세계는 고정 관념을 초월한 무의 세계
※․초기의 노장 사상 - 인위적인 관념이나 제도의 고착화를 반성하는 실천적 동기에서 출발
․후기의 도가 사상 - 신비주의나 사변 철학으로 변형 / 쾌락주의, 공리주의적 성격 / 현실에 대한 직접적 참여보다 방관적 태도 / 세속적 윤리의 실천보다 개인의 생명이나 정신의 자유를 추구하려는 경향을 심화
2. 불교 사상
◆ 고대 인도의 석가모니의 가르침에서 비롯
- 육사외도의 유물론, 회의론, 운명론, 쾌락주의적 이론들을 비판(←사변적, 편견) ⇒ 중도(中道) 사상 제시
⑴ 연기설(緣起說)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존재 / “이것이 생(生)하면 저것이 생하고, 이것이 멸(滅)하면 저것도 멸한다.” / 연기성의 자각 → 자비의 윤리
⑵ 사성(四聖)제설
․고성(苦聖)제 - 인간의 삶 자체가 고통 : 현실 세계의 결과
․집성(集聖)제 - 무상한 세상에 대한 헛된 집착에서 고통은 비롯됨 / 애욕(愛慾)과 무명(無明) : 현실 세계의 원인
․멸성(滅聖)제 - 고통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난 열반의 세계 : 이상 세계의 결과
․도성(道聖)제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방법 제시 : 이상 세계의 원인 / 팔정도(八正道) : 정견(正見), 정사(正思),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⑶ 삼법인설(三法印說)
․제행무상(諸行無常) -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고정된 것× , 항상 변화
․제법무아(諸法無我) - 나의 고정된 실체 ×
․일체개고(一切皆苦) - 인생은 고통 : 내가 실재하고 현실 세계는 영원히 존재한다고 착각하며 이에 집착하기 때문에 ⇒ 인식의 오류에서 발생하는 집착과 탐욕을 제거하기 위해 출가수행(出家修行) 강조
◆ 불타의 입멸(入滅) 후 소승 불교를 거쳐 대승 불교로 발전
⑴ 소승 불교
․수행자 자신의 정신 세계에만 몰입하여 사회와는 분리된 엄격한 종교성과 개인의 해탈 강조
․ 동남 아시아로 전파
⑵ 대승 불교
․기원 : 기원후 1C 반야경의 출현과 2-3C 용수의 일체개공(一切皆空) 및 중도(中道) 사상에서 비롯
․개인의 해탈 + 중생의 구제 강조
․공(空)사상 - 무아(無我)를 철저히 인식하여 이기심을 버리고 대중과 함께하는 조화론적 세계관으로 연결(허무주의×)
․이상적 인간상 - 보살 :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 구제 /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실천
․교종(천태종, 화엄종)과 선종으로 나뉨
․중국, 일본, 한국 등으로 전파
Ⅰ. 서양 윤리 사상(1)
1. 고대 그리스
◈ 소피스트
․ 보편적 진리의 존재에 대한 회의적 입장 - 윤리적 회의주의, 상대주의
․ 인간의 감각적 경험과 그 유용성이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 - “인간은 만물의 척도” / 상대론적 윤리설
◈ 소크라테스
․ 소피스트들의 윤리적 상대주의와 회의주의 비판
․ 모든 인간의 삶에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진리가 존재- 이성의 활동에 의해 인식 가능 / 절대론적 윤리설
․ 知行合一說 - 악한 행위는 無知에서 비롯, 무지를 깨우쳐 참된 앎에 이르게 하면 도덕적 행위 가능(主知主義) / 보편적 진리나 지식을 발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반드시 실천해야 함.
․ 지덕복합일설(知德福合一說)
․ 대화법(對話法) - 무지를 자각하여 대화의 상대자 스스로가 참된 지식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
◈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을 계승하여 객관적이고 불변하는 진리를 추구 - 主知主義, 知行合一說, 知德福合一說
․ 이데아(idea)론 - 세계를 二元化(현상계 / 이데아계)하여 파악 / 감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지식은 참된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한 사물의 본질인 ‘이데아의 세계’를 모방해야 하며, 최고의 이데아인 선(善)의 이데아를 모방해서 이를 실현해 가는 것이 참된 삶
․ 4주덕 - 지혜, 용기, 절제, 정의의 덕
․ 이상국가론 - 4주덕이 사회(국가) 속에서 실현될 때 이상 국가가 건설됨 / 철인통치론(哲人統治論)
◈ 아리스토텔레스
․ 인생의 궁극적 목적 - 행복의 실현 / 행복은 각
자의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 방식, 즉 이성에 알맞은 덕스러운 활동 의미
․ 지덕복합일설(知德福合一說)
․ 주지주의(主知主義) + 주의주의(主意主義)적 입장 - 덕(德)이란 단순히 지식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한 행위를 실천하려는 선의지(善意志)가 있을 때에만 가능 / 인간의 지식과 행위를 선택하는 자유 의지와 그에 따른 도덕상의 책임 문제까지 다룰 수 있는 윤리 사상을 제시
․ 중용(中庸)의 덕 - 선의지를 함양하기 위한 실천적인 덕 / 이성에 의하여 충동이나 정욕, 또는 감정을 억제함으로써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려는 의지를 습관화한 덕
․ 개인 윤리와 사회 및 국가 윤리를 결부 - 사회나 국가에서 도덕 생활의 실천을 통하여 개인의 이성적 자아 실현이 가능
2. 헬레니즘 시대
- 알렉산더의 동방 원정을 계기로 전개
- 폴리스의 붕괴 배경 : 개인주의적 성향(스토아 / 에피쿠로스 학파)과 세계 시민주의적 성격(스토아 학파)을 동시에 낳음
- 개인이 정념 상태로부터 벗어나서 마음의 평정과 자유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주된 관심을 둠.
◈ 스토아 학파(금욕주의)
․ 인생의 궁극적 목적인 최고선과 행복의 실현은 부동심(不動心)의 경지에 있음(아파테이아, apatheia)
․ 자연의 법칙에 따라 이성의 힘으로 욕정을 억제하는 생활을 해야 함 - 자연법 사상에 영향
․ 로고스(logos) - 우주 이성, 신적(神的) 이성 / 인간의 본성에도 로고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성에 따르는 삶만이 유일한 선(善) / 세계 시민주의 사상 : 모든 인간은 로고스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민족적 차이, 계급적 차이를 초월하여 평등함. / 범신론(汎神論)
◈ 에피쿠로스 학파(쾌락주의)
․ 쾌락은 유일한 선(善), 고통은 유일한 악(惡) - 쾌락은 행복한 생활의 시작이며 인생의 목적 / 신중하게 쾌락을 추구함으로써 고통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정신적 평온 상태(아타락시아, ataraxia)를 유지하여 바람직하게 살아갈 수 있음
․ 정신적, 지적 쾌락의 추구 / 장기적, 지속적 쾌락의 추구 - 극기와 절제 있는 생활 강조(금욕적 생활) / 플라톤의 4주덕 수용
․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윤리 사상 형성에 큰 영향
Ⅰ.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2)
1. 중세 철학
- 신 중심의 크리스트교 사상을 배경으로 함.
◈ 교부 철학
․ 아우구스티누스
․ 원죄설 - 인간은 하느님의 피조물 / 하느님으로부터 부여받은 자유 의지를 남용하면서 원죄를 짓게 됨 / 원죄에서 벗어나기 위한 독실한 신앙 생활과 사랑의 실천 강조
․ 7주덕 - 플라톤의 4주덕 + 믿음, 소망, 사랑 / 사랑을 통해 영혼을 정화하고 최고의 선을 이룩할 수 있음
◈ 스콜라 철학
․ 아퀴나스
․ 신앙(신학)과 이성(철학)의 조화 도모 - 신앙과 이성은 대립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 / 신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증명 가능(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입각)
․ 완전한 행복은 신과 자연법에 따라 살아갈 때 형성
2. 근․현대 서양 윤리 사상
․ 배경 : 16-17c 자연 과학의 발달
․ 특징 : 신 중심의 중세의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과학적․합리적 사유 과정을 통해 형성 / 인간 중심의 윤리 사상으로 전환
1. 경험 강조
◆ 베이컨(16c말-17초)
․현실 생활에 도움을 주는 지식 ⇒ 참된 지식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경험적 사실 속에서 참된 지식을 얻을 수 있음(귀납법)
․우상론- 참된 지식을 구하는 것을 방해하는 편견과 선입견을 지칭 / 참된 지식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상(편견과 선입견)을 과감히 타파해야 함 / 4대 우상(동굴의 우상, 종족의 우상, 시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
◆ 홉스(16c말-17c중엽)
․성악설적 인간관
․상대주의적 진리관 - 선악을 구분짓는 가치 판단의 기준은 외부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의 욕구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됨.
․사회 계약론- 자연 상태의 인간은 자기 보존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 / 자연 상태를 극복하고 인간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절대 권력과 계약을 맺어 정부를 구성해야 함.(절대 군주 체제 옹호 / 군주 주권 사상)
◆ 흄(18c)
․도덕적 판단의 기준 - 개인의 감정 / 사회적으로 타당한 도덕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특정한 개인의 감정을 벗어나 사회적인 인정을 받아야 함.
․이타심(利他心) : 유일한 선(善) / 인류의 행복을 보장
◆ 공리주의(19c)
․배경 : 영국에서 발생 / 무절제한 자유 경쟁과 개인의 이윤 추구 현상이 발생하면서 사회 문제를 야기
․개인의 이익과 사회적 이익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민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원칙(功利性의 원칙) 제기
․쾌락주의적 인간관 전제 -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짐
․개체주의적 사회관(⇔전체주의적 사회관)
◇ 양적 공리주의(벤담)
․쾌락은 양적인 차이만 존재하고 질적인 차이는 없음 / 쾌락의 강도, 지속성, 총계, 범위 중시
․외적 제재 강조 - 신체적, 도덕적, 종교적, 법률적, 정치적 제재
◇ 질적 공리주의(밀)
․쾌락에도 질적 차이 존재 -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정신적 쾌락을 추구 / 인격의 존엄을 바탕으로 하는 쾌락의 추구 주장
․내적 제재 강조 - 양심에 의한 제재 / 자기의 쾌락과 행복만을 추구하지 않고 타인의 행복까지도 실현되기를 원하는 이타심(利他心), 즉 동정(同情)과 인애(仁愛)라는 사회적 감정
․도덕의 본질- 공익과 정의 실현
◆ 실용주의(20c)
․일상 생활에 유용한 지식만이 참된 지식 / 지식의 행동적, 실제적, 현실적, 미래적 성격 강조
․듀이 - 도구적 실용주의 / 지식 = 도구 / 정적(靜的)이고 정제되어 있는 가치를 부정, 성장하고 진보하는 도덕적 가치가 최고선 / 도덕적 갈등 상황의 해결은 올바른 선택에 의해 가능(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존재하지 않음 - 상대론적 윤리설)
․개선주의적 세계관(⇔결정론적 세계관) : 이 세계는 인간의 능력으로 무한히 변화, 발전, 개선 가능
Ⅰ.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3)
1. 근․현대 서양 윤리 사상
- 이성 강조
◆ 데카르트(17c)
․경험에 의한 지식 부정(단편적이고 우연한 지식에 불과) / 참된 지식은 오직 이성에 의한 사유 활동에 의해서만 획득 가능
․진리 획득 방법- 방법적 회의 /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연역법
․합리론적 윤리관 - 인간이 인간다운 까닭은 참과 거짓을 분별해 낼 줄 아는 이성을 지녔기 때문
◆ 스피노자(17c)
․이성을 중심으로 한 해탈의 윤리 사상 - 모든 것이 무한한 실체의 일부이고, 인간의 삶 또한 영원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이성에 능력에 의해 인식하게 되면 자신을 구속하던 정념의 속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기쁨을 누릴 수 있음 → 신에 대한 사랑(범신론)
․가장 값진 삶은 이성을 최대로 완성하는 것 / 자유 정신
◆ 칸트(18c-19c초)
․절대론적 / 법칙론적 / 의무론적 / 동기론적 윤리설
․인간의 내면적인 자유 의지와 인격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자율적인 도덕 법칙 확립
․도덕적인 삶 - 의무 의식에 의해서, 실천 이성의 명령에 따라서, 그 자체로 선한 선의지(善意志)의 지배를 받는 가운데서 도덕 법칙을 준수했을 때
․도덕 법칙 - 정언 명령(⇔가언 명령)의 형태로 존재
․인격주의 윤리설 - 인간을 결코 수단화해서는 안되고 항상 목적 그 자체로 대우해야 함 / “목적의 왕국”
◆ 헤겔(19c 초)
․역사적, 사회적 현실 속에 드러나 있는 인간의 윤
리를 밝히고자 함 ⇒ 객관주의적 윤리설
․인륜(人倫) -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자유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공동체 / 최고의 인륜은 국가(국가주의적 국가관)
․변증법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정․반․합의 내적 동력에 의해 변화함 / 마르크스 등의 유물론자에게 영향 / 인간의 역사는 절대 정신이 변증법적으로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
2. 반(反)이성의 윤리사상(19c말 - 20c)
- 이성적인 윤리 사상에 반대하고 인간의 현실 생활 자체를 중시
◆ 生철학(19c말) - 쇼펜하우어
․헤겔의 이성주의에 반대하면서 반(反)이성의 철학 사상 확립
․인간의 삶에 대한 의지와 비합리적인 것 중시 ⇒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 의지와는 무관하게 주어진 고통스러운 삶을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 하는 삶에 대한 의지
․직관적이며 비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생의 의의나 가치, 본질 등을 파악하고자 함.
◆ 실존주의(20c)
․배경 - 고도의 산업 사회에서 거대한 기계 문명에 지배당하는 인간의 모습, 대중 사회에서의 비인간화 현상, 전쟁에 대한 불안 등에 문제 제기
․개인적이고 현실적이며 결코 상대화할 수 없는 인간의 실존 문제를 중시 ⇒ 인간 소외, 비인간화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한 주체성의 회복 강조
․대표적 사상가 - 키에르케고르(“인간은 신 앞에 선 단독자”) / 하이데거(“인간은 세계에 던져진 현존재”)
◆ 유물론(19c말)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서 나타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과 사회 구조의 모순을 비판하기 위해 등장
․대표적 사상가 - 마르크스(Marx) : 인간의 본질은 노동이고 노동을 통해 자아 실현 가능 / 유물사관 ⇒ 물질적 생산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 /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한다고 주장
◆ 생명 외경 사상 - 슈바이처(20c)
․자기 자신의 생명은 물론 다른 모든 생명을 염려하고 존중하는 ‘생명의 외경’ 주장
․생명을 지키고 촉진하는 것은 선(善), 생명을 다치게 하거나 죽게 하는 것은 악(惡)
․생명 윤리학, 환경 윤리학에 영향을 줌.
Ⅰ.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
1. 한국 윤리 사상의 연원
1) 원시 신앙
- 경천(敬天) 사상, 정령 숭배, 샤머니즘, 기복 신앙
2) 고조선의 단군신화
․우리 민족의 기층적 민족 의식의 원형
․인본주의 - 탐구인세(貪求人世) / 원화위인(願化爲人)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 - 천신환웅 〔天〕 + 땅의 웅녀 〔地〕 = 단군 〔人〕 / 조화 정신
․홍익인간(弘益人間) - 추상적 이념이 아니라, 경제, 생명, 사회 복지, 사회 정의 등 현실적 삶의 여러 영역의 이상적 완성을 도모한 실천적 목표
․평화 애호 정신
2. 삼국 시대
1) 고구려
․태학을 건립해 유교 경전 교육 - 인재 양성과 더불어 국가 생활의 규범을 마련하고 국민에 대한 윤리 교육의 근간을 형성한다는 의미
2) 백제
․유교 사상이 발전 - 오경 박사
․산경 무늬 벽돌 - 도교적 이상향 추구
3) 신라
․화랑도 - 세속오계(원광법사) / 삼국 통일의 기반 마련
․원효의 일심(一心)사상, 화쟁사상(원융회통사상)
․통일 신라 - 호국 불교의 정착 : 안민 보국의 국가 이념 실현 위해 대승 불교 거국적으로 전파 / 신라말 선종 전파 / 최치원의 풍류도(風流道)
3. 고려 시대
1) 불교
◆ 의천 - 교종 중심의 선종 통합 / 내외겸전(內外兼全), 교관겸수(敎觀兼修) / 해동 천태종 창시
◆ 지눌 - 선종 중심의 교종 통합 / “선(禪)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의 말씀” / 정혜쌍수(定慧雙修), 돈오점수(頓悟漸修) / 조계종 창시 / 신앙결사 운동 : 귀족과 결탁한 당시 불교계의 타락을 비판하며 불교계 정화 운동 주도(← 무신 정권의 후원)
2) 유교
․최승로 - 시무 28조 / 유교 이념을 정치 이념으로 채택할 것을 성종에게 건의 / 겸손함을 위주로 한 인재 교육 주장
․국자감 - 유교 경전의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
․고려 말 성리학 도입
3) 도교 : 삼국 시대에 비해 널리 확산 / 팔관회(도교+불교+민간 신앙)
4. 조선 시대
1) 16C - 성리학
◈ 이황
- 주리론적 성리학 ⇒ 19C 말 위정 척사 사상에 영향 / 이(理)는 원리적 개념으로 절대적으로 선하고, 기(氣)는 현상적 개념으로 선과 악이 혼재 ⇒ 순선한 이는 존귀하고, 선악이 함께 혼재한 기는 비천 / 경(敬)의 실천 강조 ⇒ 기에 내재한 선의 요소를 이의 순선함으로 수렴 가능 /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 이이
- 주기론적 성리학 ⇒ 실학, 개화 사상의 형성에 영향 / 이통기국(理通氣局) - 이는 보편적인 것이고 기는 특수한 것으로 파악 ⇒ 이기지묘(理氣之妙) 사상 /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의 특성이 제각기 다른 것은 기의 국한성 때문, 그러나 이통(理通)의 측면에서 보면 인간이나 사물은 모두 동일 / 사회경장론 - 정치, 경제, 교육, 국방 등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혁 주장 /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
2) 16C 말 이후 - 성리학에 대한 비판 움직임 속에서 양명학과 실학 대두
◆ 양명학
- 지행합일의 실천성 강조 / 18C초 정제두에 의해 본격적으로 연구 ⇒ 강화 학파 형성
◆ 실학
- 근대 지향적이고 사회 개혁적인 성향 / 경세 치용 학파 ⇒ 현실 사회 문제를 농업의 혁신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함. 빈농층을 대변하여 토지 개혁안 주장(균전제, 한전제등), 이용 후생 학파 ⇒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배워서 상공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 달성을 목표로 함(←正德利用厚生), 실사 구시 학파 ⇒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객관적 태도를 지님, 실증적 자세로 우리 역사와 지리 및 문헌 등을 연구, 민족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
◇ 정약용 - 실학 집대성(유형원과 이익의 중농주의적 학풍 계승 + 중상학파의 기술 도입론 수용) / 성리학적 인성론 비판 ⇒ 인간의 심성은 선이나 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 실천을 통하여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 의지 / 성기호설(性嗜好說) / 德이란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며,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형성되는 것 /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거하여 파악
3) 19c 말 - 열강의 침략과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전통 사회의 기반이 흔들림
◆ 위정척사 사상
- “올바른 것은 지키고 거짓된 것은 배척한다” / 강인한 민족 주체성의 표현 / 인간 존중 정신과 호국 정신을 기반
◆ 동학 사상
- 동학(⇔서학) / 경천(敬天) 사상 + 유, 불, 도 / 人乃天, 事人如天 ⇒ 인본주의 / 吾心卽汝心 ⇒ 사해 평등주의 / 동학 농민 운동 전개 ⇒ 제국주의의 침략과 봉건적 신분 질서에 반대하며 만민 평등 주장
◆ 개화 사상
- “개발하여 변화시키고,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하며, 장점을 기르고 단점을 버린다.” / 서양의 근대화된 문물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바탕 / 개량적 개화론 ⇒ 東道西器의 입장에서 개화 주장, 변법적 개화론 ⇒ 유교 사상에 부정적 / 20C 초로 이어짐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1) | 2024.08.25 |
---|---|
한국음악사 정리 (0) | 2024.06.30 |
羞惡之心(수오지심) (0) | 2024.03.10 |
사서삼경중 맹자 원문과 해설 (1) | 2024.02.10 |
≪논어집주(論語集註)≫ 서설(序說) (1)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