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관련

인도불교-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수선님 2024. 10. 20. 13:17

인도 불교-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불교 발상지 인도가 요즘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일방주의와 G-7 등 서구 세력에 대항하여 앞으로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브릭스 BRICS’ 국가가 영향력이 커지고, 경제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고. 골드만 삭스의 경제학자 짐 오닐(Jim O'Neil)은 이들 네 나라가 2050년에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가장 강력한 나라가 될 잠재력이 있다는 설을 발표했다.

미국 실리콘 벨리의 구글 등 IT 업계의 사장에 특히 인도 공과대학 출신들이 많다는 보도가 많다. 또 인도의 실리콘 벨리인 ‘벵갈루루’에는 새로운 물결이 일고 있고,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오히려 인재들이 벵갈루루로 몰려든다는 흥미로운 기사도 자주 보인다. 인구가 많고, 땅이 넓지만 도로를 비롯한 산업 인프라가 발달하지 못해 어려웠던 인도가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부상한 것이다.

인도에 대한 이런 기사와 전망은 앞으로 인도가 세계의 중요한 국가로 부상할 것으로 추측된다.

불교 발생국이지만 불교인이 매우 적은 인도의 불교 부흥을 위해 한국, 태국, 일본, 티베트 등 모든 전통불교국가 불교 세력이 인도에 사찰을 세우면서 함께 노력하고 있다.

불교가 다시 꿈틀거리는 인도 불교의 역사와 현황을 2006년부터 보드가야에 땅을 사고, ‘싸띠 국제 수행학교’를 설립하면서 인도 불교 복원을 위해 노력하는 한국스님 붓다빨라를 통해 보도한다. - 편집자 주 -

 

오늘날 인도는 용광로처럼 뜨거운 기운을 내뿜으며 꿈틀거리고 있다. 지난 수년간 경제성장률이 8%대를 넘나들고 있고, 2018년에는 세계 6위권의 영국 경제보다 규모가 커지는 인도를 계속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해 영국 내에서 논란이 일었다. 일본경제연구소는 2029년에는 인도 경제 규모가 일본을 추월해 세계 3위권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한다. 18세기만 해도 인도와 중국의 경제규모가 전 세계 70% 이상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중국과 인도를 합친 경제 규모는 머지않아 과거의 영광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천연자원과 평야지대의 식량자원도 풍부하고, 무엇보다 젊은 층의 인구가 많고 수학이나 물리 화학 등 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열기도 뜨거워 인적자원에 기반 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나라로 평가받는다.

인구는 이미 14억 정도로 추산하며 중국과 더불어 인구대국이다. 영어를 포함해서 14개 지방 어를 중요 국가 언어로 지정하고 있고 영어가 공용어로 통용되는 나라이다. 주류 언어인 힌디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30%를 넘지 않으며 모국어로 등록된 언어가 500여 개 이상이라고 한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차원의 문화와 종교로 어울려 혼돈 속에 아름다움을 창조하고 있다.

2010년 무렵 인도에서 발행되는 어느 주간지에서 신년특집으로 지난 5,000년 동안 인도가 창조하고 세계로 수출해서 세계 상품으로 성공한 품목 50개를 나열하는데, 그 품목들이 인상적이다. 흔히 Soft Wear 소프트웨어 등을 생각하기 쉽지만 그 품목들에는 Yoga, Curry 커리, 숫자 0, 설탕, 불교, 수행 등이 상위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까지 세계인들로부터 사랑받는 대부분의 아이템들이 인도가 창조하고 세계 상품에 성공한 것들이다.

그 가운데 불교와 수행은 인도가 만들고 수출해서 세계상품에 성공한 최대의 히트상품이다. 이후 세계인들은 이들 아이템을 소비하면서 자신의 삶의 질을 풍부하게 하는 자양분으로 삼는다.

 

보드가야

인도는 수행의 발상지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고 종교인과 수행자에 대한 존경심이 대단하다. 젊어서는 가정을 경영하고 나이 들어 은퇴해서는 출가수행자가 되어 가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수행하다 삶을 마감하는 전통이 남아있다. 지식인이나 사회지도층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출가수행이 꿈이고 희망인 사회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도에서의 불교와 수행은 잠재적이고 현실적인 강한 에너지를 가진 싱싱한 공동체 가운데 하나이다.

오늘날 전 지구 차원에서 불교 강국은 태국 미얀마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불교국가, 중국 한국 일본에 기반 둔 중국문화권의 불교, 그리고 미국과 유럽의 불교이다. 동남아 불교국가는 Theravāda(上座部)에 기반한 전통적 불교국가이고, 중국은 Mahāyāna(大乘)에 기초한 대승불교권이고, 미국과 유럽은 동남아 불교와 중국문화권의 불교 그리고 티베트 밀교권 등의 모든 불교 유형을 흡수해서 실용주의에 기초한 서양식 불교를 새롭게 창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미국 불교의 강점 가운데 하나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실용주의와 대학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 불교이다. 아마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불교강좌가 대학에서 열리고 있는 나라는 미국일 것이고,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명상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고, 교육이나 의료 현장에서 다차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곳도 미국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물량위주의 중국 불교와 실용주의의 미국불교가 양대 불교 강국으로 보인다. 동남아 불교국가도 전통불교를 맥을 이어며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불교와 수행을 창조한 인도 불교는 아직은 꿈과 희망만을 안고 다음 세대를 기다리며 오랜 잠에서 깨어날 때가 된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를 중심으로 한 Buddha 전통에 기초한 ‘싸띠 Sati(Vipassanā, 마음챙김, 알아차림)’ 수행과 중국문화권에서 발전시킨 禪수행은 전 세계인을 사로잡으며 불교를 넘고 종교를 초월해서 일반 민중에게 열렬히 환영받고 있고 그들의 삶의 방식까지 변화시키며 깨달음뿐만 아니라 치유와 휴식으로까지 확장하면서 실용주의에 기반한 신불교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그 모든 불교와 수행 유형의 오리지널은 인도이고 창시하고 완성한 사람이 Buddha라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인도에는 불교와 불교수행이 미미하거나 많이 부족하다.

보드가야 시장 모습

현재 인도에서의 순수 불교도는 대략 천만 명 정도로 추산한다. 인구 대비 1%를 넘지 않는 숫자이다. 힌두교와 불교를 함께 믿는 사람은 상당히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부분의 인도인은 Buddha를 힌두교에서 우주의 유지와 보존을 담당하는 신으로 추앙받는 Vishnu 비쉬누의 9번째 화신(化身, Avatar)으로 믿고 따르기 때문에 불교를 힌두교의 한 파로 보고 Buddha를 힌두 신의 하나로 본다. 이런 전통은 아마도 불교가 힌두교에 흡수 통합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현상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과거 한국사찰에서 칠성, 산신, 용왕신 등을 수렴해서 부처님과 함께 모셨듯이 오늘날 인도인들 또한 Buddha와 힌두 신을 하나로 보고 믿고 있는 사람도 많다. 그래서 그런지 불교와 수행에 대해서는 관용적인 편이다.

인도의 종교 분포는 대략 힌두교가 80%, 이슬람이 14%, 기독교가 2.5% 정도로 알려져 있다. 종교의 나라라고 알려진 인도답게 인구 대부분이 하나의 종교를 가지고 있다. 종교의 다양성만큼 포용성도 크지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종교를 강요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대규모 사회적 분쟁이 종교로부터 기인하거나 종교 갈등으로 포장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많다. 그리고 아주 격렬하며 희생도 많기 때문에 종교문제는 사회 전체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오늘날 불교와 수행을 창안하고 완성한 인도에서의 불교와 수행은 미미한 상태이고 혼돈 그 자체이다. 동시에 모든 가능성과 희망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인도에서의 불교 활동을 간략하게 몇 그룹으로 구분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당 불교

이론 불교를 지향하며 대학 강당에서 행해지는 불교 흐름이 있다. 인도에는 유명한 대학을 중심으로 불교학이 개설된 곳이 몇 군데 있다. 대표적인 곳이 델리대학교 대학원의 불교학과이다.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400여 명의 학생들이 불교를 연구하고 있다. 네루대, 나란다대, 고따마대, 뿌네대, 바라나시 힌두대, 마가다대 등에서도 불교학이나 pāli 어를 통해 불교를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수가 힌두교도이다. 힌두교도에게서 불교를 배우고 있다. 이런 사정은 서구 유명대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버드대나 옥스퍼드대에서 불교를 배우기도 하지만 그곳에서 불교를 가르치는 대부분의 교수들은 비불교도가 더 많다. 또한 대학 연구실에서의 불교학은 대부분 수행이 빠진 채 텍스트 분석에 기초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역사적 한계는 앞으로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고엔카

명상 불교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인도인도 명상에 관심이 많다. ‘고엔카-Satya Narayan Goenka(1924~2013)’가 지도하는 Vipassanā 수행이 많은 대중성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고엔카는 인도계 미얀마 인으로 미얀마에서 영국 출신 미얀마 관료인 ‘우바킹(Sayaji Upakin)’으로부터 『레디 사야도Leydi Sayadow(1846-1923)-우바킨Sayataji-Ubakin(1899~1971)』으로 이어지는 Vipassanā 수행을 전수받고 1969년 인도로 옮겨서 수행을 지도한다. 수행 지도자를 1300명 이상 양성하고 전 세계적으로 94개국에서 300개의 수행센터를 운영한다. 그들은 10일 코스를 기본과정으로 운영하고 지도자 양성과정을 별도로 두고 있다. 그들의 주된 활동무대는 이갓트뿌리Igatpuri를 중심으로 한 몸바이 지역이고 전인도에 걸쳐서 활동한다.

암베드까르 불교 활동이 일반 민중의 계급해방에 초점 둔 하층민 권리 찾기 운동에 초점 둔 것이라면 고엔카 수행 활동은 수행의 대중화에 기반 둔다. 자신의 출신 성분이 기업가 출신이다 보니 하층민보다는 지식인과 상류층을 대상으로 한 활동을 주목한다. 수행의 특성상 일반 민중보다는 오히려 지식인과 상류층이 이해하고 실천하기에 적합한 면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수행으로 Buddha를 이루기 위해 고차원적으로 수행하기보다 삶에서 직면하는 일상적인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초점 두고 좌념을 중시한다. 아라한 도과를 성취하고 고차원의 수행 지도자를 양성하고 출가수행자를 양성하는 데는 많은 한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헌신적인 노력은 인도를 넘어서 전지구 차원에서 불교수행을 대중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민중불교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Bhimrao Ramji Ambedkar(1891~1956)는 고엔카와는 달리 민중해방에 초점 두고 활동하며 불교철학을 민중해방의 핵심이론으로 삼는다.

암베드까르는 인도의 유명한 독립투사들과 함께 영국으로부터 인도 독립을 위해 강력하게 투쟁한다. 그는 자신의 출신성분에 걸맞게 인본주의에 기초하고,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Buddha 가르침에 의지해서 하층민 권리 찾기 운동으로 시작한 불교 활동은 필연적으로 정치활동에 기반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대규모 민중대회를 열고 불교로의 개종 활동을 하고 기득권층에 저항하며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한다. 오늘날 관공서에는 간디 사진보다 암베드까르 사진이 더 많이 걸려있고, 인도 민중으로부터 살아있는 Buddha라는 찬사를 듣는다.

자유, 평등, 평화에 기초한 민중해방에 초점 둔 활동은 큰 틀에서 Buddha 가르침과 일치하지만 전통적인 불교도가 지향하던 수행으로 삶의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느낌이다.

그는 1956년 10월 14일 Nagpur에서 50여만 명이 모여 대규모 불교 개종 행사를 연다. 이러한 대규모 개종 행사는 어느 정도 성과도 있지만 동시에 힌두 사회에서의 저항도 심한 편이다. 최근에는 계속 민중해방을 지향할지 정통적인 불교로 돌아갈지에 대해 심각히 고민하는 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암베드카르

담마팔라

불교 성지 회복운동

Buddha가 직접 활동한 4대 성지를 중심으로 한 불교 성지 회복 활동이 있다. 이 운동은 인도 이외의 불교국가에서 오는 불교도가 주도한다.

Buddha가 최초로 아라한 도과를 이룬 보드가야(Bodhagaya)는 불교 최대의 성지답게 세계 곳곳에서 많은 순례객이 모여들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인도 현지인의 순례로 인해 발 디딜 틈도 없이 붐비고 있다. Buddha가 5 비구들에게 최초로 수행 지도한 Migadāya(녹야원鹿野苑, Sarnath)도 많은 사찰과 순례객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힌두교도로부터 불교 4대 성지를 되찾기 위한 노력은 인도인이 아니라 스리랑카 불교도인 ‘아나가리카 달마팔라(Anagarika Dhammapāla,1864~1933)’로부터 시작한다. 인도 외부의 불교도는 불교 성지가 힌두교도가 장악하고 있거나 허물어진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어서 불교 성지를 불교도가 되찾아 관리하자는 운동을 먼저 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동시에 불교성지를 순례하기 위해 오는 자국의 불교도가 머물 수 있는 사찰을 성지 부근에 건립하기를 선호한다. 사찰이 만들어지자 당연히 출가수행자가 머물게 되고 인도 불교를 성지를 중심으로 서서히 출가수행자와 불교도가 자생적으로 생기는 계기를 마련한다.

현재 인도 불교는 불교 최대 성지인 Bodhgaya를 중심으로 출가수행자가 양성되고 있고 미약하게나마 불교 복원의 씨앗이 뿌려지고 있다. 이러한 외부인에 의해 전개되는 불교복원 사업은 필연적으로 해당 국가의 불교 전통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인도 이외에서 와서 사찰을 건립한 대부분의 불교도는 자국 불교를 이식하는데 관심이 있고 인도 불교의 복원불사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것도 사실이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태국 사찰에서 출가한 스님은 태국 스타일의 가사를 입고, 중국 사찰에서 출가한 스님은 중국식 가사를 입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리랑카나 미얀마 사찰에서 출가한 스님은 Theravāda에 기초한 불교를 배우고, 중국사찰에서 출가한 스님은 대승불교에 기초해서 교리와 수행을 배운다. 그 어디에도 인도인을 위한 오리지널 불교를 배울 수 있는 곳이 없다. 이것이 분명한 현실이다.

싸띠 국제출가 수행학교에서 붓다팔라 스님이 지도하고 있는 인도 사미승

망명 불교

‘달라이 라마 Dalai Rama(1931~)’는 티베트의 정치적으로는 왕이고 정신적인 스승으로 존경받고 있다. 1959년 중국 정부의 탄압을 피해 인도로 망명한 후 서북 인도 다람살라Dharamshala에 망명정부를 세우고 활동한다. 많은 티베트인이 이곳으로 망명해 와서 인도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열심히 활동한다. 오늘날 서구사회에 불교를 알리는 데는 여러 사람의 노력도 있었지만 달라이라마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불교도의 헌신적인 노력에 힘입은 점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인도 불교를 주목하기보다 오히려 티베트 불교를 중심으로 티베트 독립을 강조하는 편이다. 티베트인이 믿고 따르는 밀교는 9세기경에 인도 대륙에서 발생해서 1203년 인도불교가 이슬람에 의해 멸망할 때 티베트로 이주한 망명 불교의 성격이 강하다. 오늘날 티베트 불교는 중국 정부의 탄압으로 다시 인도 대륙으로 넘어와 활동하는 현실이다.

티베트 불교는 금강승 계통으로 반야중관학과 만트라 Mantra(呪力)와 관상수행 그리고 기도이다.

한국 절 조계종 분원 분황사 정문

아쌈 불교

히말라야 산맥 동남쪽 아쌈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불교는 인도 불교라기보다 오히려 미얀마나 라오스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불교이다. 그들은 인도 대륙에서 불교가 멸망할 때도 크게 영향받지 않고 계속 활동할 수 있었다.

오늘날은 방글라데시의 불교도가 현지 이슬람으로부터 가혹한 탄압을 받고 아쌈 지역으로 올라오고 있고, 아쌈 지역에서 활동하는 기독교의 강한 도전을 받고 있지만 그들만의 힘으로 외적 도전을 극복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불교도가 늘 그래 왔듯이 지혜롭게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인도 불교 복원불사

현재는 몰락하고 운동 상태에 있는 인도 불교를 Buddha가 처음 창시한 그대로 불교와 수행을 복원하자는 운동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Buddha가 처음 불교를 창안했을 때 정신으로 돌아가, Buddha가 불교와 수행을 처음 창시한 장소인 Bodhgaya에서, Buddha가 제자들에게 수행을 지도한 것을 기록해둔 오리지널 텍스트로, 수행에 기반해서 출가수행자를 양성하고, 수행 지도자를 교육시켜 그들이 인류의 자유와 진보에 기여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원담 주: 이 말은 한국 승려 붓다빨라 스님의 주장이며 신념이다. 그러나 그가 인도인 출가자에게 전수하여 학습시키고자 하는 불교가 오리지널 불교라고 주장하는 데는 어떤 근거가 있는가? 과연 오리지널한 불교란 무엇인가에 대해 전 세계 불교학자나 불교도 사이에 어떤 합의점이 있기나 한가? 이에 대한 불교학계의 논의에서 어떤 것도 결정된 바 없으며, 단지 다양한 불교의 종파와 학파간에 공통점만 찾아볼 수 있다는 관점 있을 뿐이다. 소위 '오리지널 불교'란 붓다빨라 스님이 자신이 주장하는 오리지널 불교일 뿐이다.]

위로는 부처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자는 이 운동은 한국불교가 주도하기 위해 300년 불사를 계획 한다. 그 첫 30년은 물적 토대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이제 2020년부터 두 번째 30년 불사를 시작 한다. 두 번째 39년 불사의 핵심은 인재를 양성하고, 수행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런 불사를 추진하기 위해 먼저 국제 출가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을 설립하고 인도 스님 양성 운동을 하고 있고 델리대학교와 협력해서 수행지도자 양성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심에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추진하고 인도 불교 복원불사를 추진하기 위한 중심도량으로 조계종에서 분황사를 세웠다.

붓다팔라 스님

필자: 붓다팔라 스님은 1975년 통도사로 출가하였고, 1985년 동국대학교 선학과에 입학하였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96년 불이상을 수상하였고, 이 해말 인도 보드가야를 방문하고 이어서 미얀마 마하시 선원과 김해 싸띠 아라마를 오가면서 수행하였다. 2002년부터 인도불교 복원불사 원력을 세운 후 보드가야에 ‘싸띠 국제출가수행학교International Sati School’를 설립하여 사미승을 양성하고 있다. 인도 델리대학교와 MOU를 체결하였다.

 

 

 

 

 

 

 

 

 

인도불교-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인도 불교-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불교 발상지 인도가 요즘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일방주의와 G-7 등 서구 세력에 대항하여 앞으로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