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삼개조(三個條) 품
Tika-vagga
탐욕 경(A6:107)
Rāg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가지 법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탐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부정[不淨]을 닦아야 한다.
성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자애를 닦아야 한다.
어리석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통찰지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나쁜 행위 경(A6:108)
Duccarit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 말로 짓는 나쁜 행위, 마음으로 짓는 나쁜 행위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비구들이여,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몸으로 짓는 좋은 행위를 닦아야 한다.
말로 짓는 나쁜 행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말로 짓는 좋은 행위를 닦아야 한다.
마음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마음으로 짓는 좋은 행위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사유 경(A6:109)
Vitakk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감각적 쾌락에 대한 사유, 성냄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에 대한 사유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감각적 쾌락에 대한 사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출리에 대한 사유를 닦아야 한다.
성냄에 대한 사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성냄 없음에 대한 사유를 닦아야 한다.
해코지에 대한 사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코지 않음에 대한 사유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인식 경(A6:110)
Saññā-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감각적 쾌락에 대한 인식, 성냄에 대한 인식, 해코지에 대한 인식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감각적 쾌락에 대한 인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출리에 대한 인식을 닦아야 한다.
성냄에 대한 인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성냄 없음에 대한 인식을 닦아야 한다.
해코지에 대한 인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코지 않음에 대한 인식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요소 경(A6:111)
Dhātu-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감각적 쾌락의 요소, 성냄의 요소, 해코지의 요소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감각적 쾌락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출리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
성냄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성냄 없음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
해코지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코지 않음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달콤함 경(A6:112)
Assād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달콤한 견해, 자아에 대한 견해, 삿된 견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달콤한 견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상의 인식을 닦아야 한다.
자아에 대한 견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아에 대한 인식을 닦아야 한다.
삿된 견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른 견해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지루함 경(A6:113)
Arati-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2. “지루함, 해코지, 법답지 못한 행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지루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더불어 기뻐함을 닦아야 한다.
해코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코지 않음을 닦아야 한다.
법답지 못한 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법다운 행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만족 경(A6:114)
Santuṭṭhitā-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만족하지 못함, 알아차리지 못함, 크나큰 욕구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만족하지 못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만족[知足]을 닦아야 한다.
알아차리지 못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알아차림[正知]을 닦아야 한다.
크나큰 욕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라는 것이 적음[少慾]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훈계를 받아들이지 않음 경(A6:115)
Dovacassatā-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훈계를 받아들이지 않음, 나쁜 친구와 어울림, 마음이 산란함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훈계를 받아들이지 않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훈계를 잘 받아들이도록 자신을 닦아야 한다.
나쁜 친구와 어울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좋은 친구와 어울리도록 자신을 닦아야 한다.
마음이 산란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 챙김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들뜸 경(A6:116)
Uddhacc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2. “들뜸, 단속하지 못함, 방일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셋인가?”
3. “들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마타를 닦아야 한다.
단속하지 못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속함을 닦아야 한다.
방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방일하지 않음[不放逸]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제11장 삼개조 품이 끝났다. 열한 번째 품에 포함된 경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① 탐욕 ② 나쁜 행위 ③ 사유 ④ 인식, 다섯 번째로 ⑤ 요소 ⑥ 달콤함 ⑦ 지루함 ⑧ 만족
⑨ 훈계를 받아들이지 않음 ⑩ 들뜸이다.
실론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gikoship/15780945 에서 복사한 글임을 밝힙니다.
'앙굿따라 니까야(증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섯의 모음 - 제13장 탐욕의 반복 품(A6:121-A6:124. Rāga-peyyāla) (0) | 2018.04.29 |
---|---|
여섯의 모음 - 제12장 일반 품(A6:117-A6:120. Sāmañña-vagga) (0) | 2018.04.29 |
여섯의 모음 - 제10장 이익 품(A6:96-A6:106. Ānisaṁsa-vagga) (0) | 2018.04.29 |
여섯의 모음 - 제9장 청량함 품(A6:85-6:95. Sīti-vagga) (0) | 2018.04.29 |
여섯의 모음 - 제8장 아라한 품(A6:75-A6:84. Arahatta-vagga) (0) | 201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