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원문/해설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 교화하되 교화한 바는 없다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 勿謂 如來作是念 我當度衆生 須菩提 莫作是念
수보리 어의운하 여등 물위 여래작시념 아당도중생 수보리 막작시념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너희들은 여래가 "나는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 라는 생각을 한다고 말하지 말라.
수보리여. 이런 생각도 하지 말아라.
何以故 實無有衆生如來度者.
하이고 실무유중생여래도자.
왜인고하니, 실제로 여래가 제도한 중생은 없느니라.
若有衆生如來度者 如來 卽有我人衆生壽者.
약유중생여래도자 여래 즉유아인중생수자.
만약 여래게 제도한 중생이 있다면,
여래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게 된다.
須菩提 如來說有我者 卽非有我 而凡夫之人 以爲有我.
수보리 여래설유아자 즉비유아 이범부지인 이위유아.
수보리여. 여래는 "나라는 것이 있다는 것은 곧 나가 있음이 아니다" 라고 설했느니라.
그러나 범부들은 내가 있다라고 하느니라.
須菩提 凡夫者如來說 卽非凡夫 是名凡夫
수보리 범부자여래설 즉비범부 시명범부
수보리여. 범부라는 것은 여래가 설하기를, 곧 범부가 아니요, 그 이름이 범부이니라.
# 해 설
우리는 항상 내가 있다라고 여기면서 삽니다.
여기에서 정말 벗어나기 힘들지요.
그래서 空을 체득해야 합니다.
몸이 내가 아님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이 생각하는 마음이 내가 아님을 알기는 어렵습니다.
이 생각의 흐름, 이 의식을 나라고 여깁니다.
여기에서 벗어나는 방법, 즉 본질을 깨우치는 방법이 수능엄경에 나와 있습니다.
마음의 통로는 6개입니다. 안이비설신의!
그러니 그 본질, 즉 공에 도달하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로 그 통로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 여섯가지 통로중에서 가장 쉬운데 바로 소리라는 것 입니다.
소리를 듣는 근원을 찾는게 바로 이근원통입니다.
텅 비어 있는게 소리를 듣습니다.
생각하는 것이 주체가 아닙니다.
텅 비어 있는 곳에 생각이 스며들어옵니다.
근데 우리는 그 생각을 "나"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생각은 손님이지요. 주인이 아닙니다.
이 의식은 손님입니다. 텅 비어 있는게 주인입니다. 말만 주인입니다.
이 의식은 손님은 손님인데, 수능엄경에서는 또 도적이라고 부처님께서 표현하셨습니다.
왜냐면, 이 놈이 윤회의 고통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금강경에는 이 도적놈을 항복시키는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왜 항복시키는가 하면, 수많은 중생에게 자비를 베풀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 도적놈을 나로 알고 도를 닦는 것은 모래로 밥을 짓는 것과 같다고 부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이 의식이라는 도적놈을 해탈시키려고 하면 안되겠지요. 실체가 없으니까요.
뭔가 모르게 내 속엔 뭐가 있는거 같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영혼같은 뭔가가 있는 것 같이 느끼면서...삽니다.
그리고 그걸 확신합니다.
그러니 이 몸과 마음을 나로 알고 삽니다.
특히 이 마음은 몸을 나로 알고 삽니다.
몸이 나가 아님을 아는 것도 필요하고, 또 거기서 더 나아가 마음도 내가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내가 아니기 때문에 마음을 항복받는 것 입니다.
그리고 마음이 내 맘대로 통제가 안됩니다. 그래서 상황이 닥치면 그냥 화가 터지지요.
수행할 때, 空을 터득했다 하더라도 수행할 때마다 계속 空에 대해서 명상해야 합니다.
안그러면 계속 상에 끄달리게 됩니다. 생각만 하면 상에 끄달리게 됩니다.
생각이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내 속에 뭔가가 있다고 여기고 아집에 빠집니다.
그러니 수행할 때마다 가장 처음에 이 空에 대해서 꼭 명상하는게 좋습니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런 상에서 빨리 벗어나는 또 하나의 방법 !
항상 남을 생각하는 것 입니다.
생각을 안하고는 살 수 없지요.
그러니 무조건 남을 먼저 생각하는 버릇을 새롭게 들여야 합니다.
나를 이롭게 하려는 생각에 빠지면 아집에 빠지고, 남을 이롭게 하려는 생각은 자비심입니다.
수행할 때는 남을 잘되게 해주기 위해서, 그 목표를 가지고 수행하는게 좋습니다.
생각에 촛점을 맞추지 말고, 이젠 항상 이 비어 있는 空에 촛점을 맞춰야 합니다.
생각을 하고나서는 바로 그 생각들을 버리고 空에 머뭅니다.
생각에 끌려다니지 말고,
마음을 항복시켜서 나를 생각하게 하지 말고 남을 먼저 생각하게 해야겠지요.
空에 머물다가, 생각이 피어나면 남을 먼저 생각하고... 다시 空에 머물고... 다시 또 남을 먼저 생각하고.....
이게 최상이 아닐까 싶네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 소멸되는게 아니다. (0) | 2017.10.29 |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법신은 상이 아니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4. 복지무비분[福知無比分] - 복의 양을 비교하여 알 수 없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3. 정심선행분[淨心行善分] 청정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라.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 얻을 수 있는 법은 없다.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