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재(觀自在) [보살님]께 배례(拜禮) 올립니다.
어떠한 사물 모두 가고 옴이 없음을 보고서도
중생의 이익을 위해 일념(一念)으로 정진하시는
존귀하신 스승님과 보호주(保護主) 관세음 [보살님]께
언제나 삼문(三門)*을 다 바쳐 배례(拜禮) 올립니다.
복락(福樂)의 근원이신 원만한 부처님들께서
정법(正法)을 성취하시고 나셨으니, 이에
당신들의 수행법을 알고 의지하여
보살의 수행법을 해설하고자 합니다.
1. 가만(暇滿)*의 얻기 힘든 큰 배를 얻은 이 때에
나와 남을 윤회의 바다에서 건지기 위해,
밤낮으로 게으르지 않으며
문사수(聞思修)**를 행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 친구를 향한 애착(愛着)은 물처럼 요동치고,
적을 향한 증오는 불처럼 타오르며,
취사(取捨)를 망각한 우매함은 캄캄한 어둠과 같으니,
고향을 떠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 환멸(幻滅)의 땅을 떠나면 번뇌는 점점 줄어들고
방만(放漫)하지 않으면 선행은 저절로 늘어나리니,
이지(理智)에 밝아 법에 대해 확연히 알고서
고요함을 가까이 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4. 오랫동안 가깝던 친구들과 헤어져
애써 일군 재물을 뒤로 한 채
몸이라는 숙소에서 의식의 손님이 떠나가니,
이 생을 [기꺼이] 희생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5. 누군가와 함께하면 삼독(三毒)*은 늘어가고
문사수(聞思修)를 행함은 점점 줄어드니,
자(慈: 사랑)와 비(悲: 연민)를 사라지게 하는
나쁜 친구**를 멀리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6. 누군가와 가까이 하면 잘못이 줄어들고
공덕이 상현(上弦) 달처럼 차오르니,
선지식(善知識)*을 자신의 몸보다 더
귀중히 여기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7. 자신도 윤회의 감옥에 갇혀 있는
세속의 신(神)이 누구를 보호하리까.
그러므로 그 곳에 의지하면 흔들리지 않는
삼보(三寶)에 귀의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8. 너무나 참기 힘든 악취(惡趣)*의
고통들은 악업(惡業)의 과보라고 석가모니**께서 말씀하셨네.
그러므로 목숨이 끊어져도 악업만은
결코 짓지 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9. 삼계(三界)의 안락은 풀잎의 이슬 같아서
한 순간에 사라지는 법이니,
결코 변치 않는, 수승한 해탈과(解脫果)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0. 무시이래 [언제나] 나에게 인자하시던
어머니들이 고통 받고 있는데, 나만이 즐거우면 무엇 하리까.
그러므로 가없는 유정을 제도하고자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1. 일체의 고통은 자신의 안락을 원하여 생겼고
원만하신 부처님은 이타심에서 나셨나니,
그러므로 나의 안락과 남의 고통을
참으로, 뒤바꾸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2. 누군가 큰 욕망의 힘으로 나의 재물을
모두 강탈하거나 강탈하려 한다 해도,
몸과 재산과 삼세(三世)의 모든 선(善)을
그들에게 회향(回向)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3. 나에게는 잘못이 조금도 없는 것 같은데
누군가 나의 목을 벤다 할지라도,
자비의 힘으로 그들의 죄업을
내가 [대신] 받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4. 누군가 나에게 갖가지 비방을 하고
삼천세계에 두루 퍼뜨려도,
자애로운 마음으로 다시 그의
공덕을 말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5. 많은 중생이 모여 있는 가운데서 누군가가
감춰진 잘못을 들추어내고 나쁜 말로 떠들어도,
그에게 선지식을 대하듯이
겸손하게 공경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6. 내 아들처럼 귀하게 돌보던 사람이
나를 원수처럼 바라본다 하더라도,
병으로 드러누운 자식을 위하는 어머니와 같이
더 더욱 사랑으로 대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7. 자신과 비슷하거나 부족한 사람이
아만(我慢)의 힘으로 무시한다 하더라도,
스승처럼 여기어 겸양(謙讓)으로 나의
정수리에 모시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8. 삶이 빈곤하여 언제나 사람들이 무시하고
힘겨운 병마로 드러눕는다 하더라도,
모든 중생의 죄업과 고통을 내가 짊어지고서
비굴하지 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19. 명성을 얻어 많은 중생이 공경하고
다문천왕(多聞天王)*의 재물만큼 쌓는다 하더라도,
윤회계의 번영이 허망함을 보고서
자만하지 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0. 자신의 분노라는 적을 다스리지 못하면
외부의 적을 조복(調伏)받는다 하더라도 [적은] 늘어만 가리니,
그러므로 자(慈:사랑)와 비(悲:연민)를 무기로
자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1. 원하던 맛은 소금물과 같아서
얼마를 즐기든지 갈증은 늘어만 가리니,
무언가 애착을 일으키는 대상(事物)들을
지금 바로 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2. 어떤 식으로 [대상이] 나타나든 이들은 자신의 마음일 [뿐],
마음의 성품은 처음부터 변희론(邊戱論)*을 떠난 것이니,
이것을 알고 나서 대상(所取)과 주체(能取)의 흔적들을
마음에 짓지 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3. 마음에 다가오는 경계(境界: 대상)와 만난다는 것은
여름날의 무지개와 같아서
아름답게 나타난다 하더라도 진실은 볼 수 없나니,
[이에] 애착을 버리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4. 갖가지 고통이란 꿈속에서 자식이 죽는 것과 같이
환영(幻影)을 진실로 여기는 것, 아 피곤하여라.
그러므로 악연(惡緣)을 만나게 될 때,
미혹하는 환영으로 보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5. 깨달음을 원하여 몸마저 버리는 것을
외부의 사물이야 무슨 말이 필요하리까,
그러므로 돌아올 과보를 바라지 않고
보시(布施)를 베푸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6. 지계(持戒)가 부족하여 자신도 이롭게 하지 못하면서
타인을 이롭게 하려는 소망은 웃음거리,
그러므로 윤회계를 갈망하지 않고,
계율을 지키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7. 선근복덕을 바라는 보살에게는
해롭게 하는 모든 것이 [공덕의] 보고(寶庫)와 같네.
그러므로 모든 것에 대한 원망과 미움 없이
인욕(忍辱)을 익히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8. 자신의 이익만을 이루려는 성문(聲聞)이나 연각(緣覺)도
[자신의] 머리에 불을 끄기 위해 애쓰는 것을 본다면,
모든 중생을 위하는 공덕의 근원인
정진(精進)을 시작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29. 지(止)을 잘 갖춘 관(觀)*으로
번뇌가 영멸(永滅)함을 알고서,
사무색계(四無色界)**도 확연히 뛰어 넘는
선정(禪定)을 익히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0. 지혜(智慧)가 없는 다섯 가지 바라밀로는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없나니,
방편을 갖추어, 삼륜(三輪)**을 분별하지 않는
지혜를 수행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1. 자신의 미혹을 스스로가 구별하지 못하면
수행자의 형상으로 비법(非法)*을 행할 수도 있나니,
그러므로 언제나 자신의 미혹함을
구별하여 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2. 번뇌의 힘으로 다른 보살*들의
허물을 말한다면 자신만 쇠락하리니,
대승의 [길에] 들어선 사람의
허물을 말하지 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3. 재물이나 명예를 얻기 위해 서로를 헐뜯으면
문사수를 행함이 쇠락하리니,
친척집과 시주 집들에 대한
탐착을 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4. 거친 말로 다른 이의 마음을 해롭게 하면
보살의 품행은 쇠락하리니,
그러므로 다른 이의 뜻에 맞지 않는
거친 말을 끊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5. 번뇌에 익숙해지면 대처(對處)하여 막아내기 힘드니
억념(憶念)*하는 사람은 대처(對處)의 검(劍)**을 쥐고서,
탐착 등의 번뇌가 처음 일어나자마자
들어내어 제거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6. 요약하면, 어디서 어떠한 행동을 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마음 상태가 어떠한지, 그렇게
언제나 억념(憶念)을 바르게 챙겨서
이타(利他)를 완성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37. 이와 같이 정진하여 성취한 선(善)은 모두
가없는 중생의 고통을 멸하기 위한 것이니,
삼륜(三輪)이 청정(淸淨)한 지혜로
깨달음을 회향하는 것이 보살의 수행입니다.
현교, 밀교, 논서 들에서 설하신 뜻을
선지식들께서 말씀하신 바에 따라서 [지은],
『승리자의 아들 수행법 37: 보살의 37 수행법』은
보살도를 배우려는 이들을 위한 안배입니다.
지성이 떨어지고 배움이 부족하여
학자가 좋아할 만한 문장은 아니지만,
경전과 선지식의 말씀에 의지하였기에
보살의 수행법을 미혹하진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살의 위대한 수행들은
우매한 나 같은 이가 헤아리기 어렵기에
상위(相違:모순)한 것과 무관(無關)한 것 등의 많은 허물을
선지식들께서는 인내하시기를 계청(啓請)하옵니다.
이로 인해 생긴 선(善)으로, 모든 중생이
승의(勝義:절대)와 세속(世俗:상대)의
수승한 보리심을 지니어,
윤회와 적멸(寂滅)의 끝자리에 머물지 않고
보호주(保護主) 관세음[보살]과 닮아가게 하소서.
'불교의 기본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58> 스님들의 칭호와 소임 (0) | 2017.12.03 |
---|---|
[스크랩] <248> 공양 중에는 법공양이 으뜸입니다 (0) | 2017.12.03 |
[스크랩] 삼독심(탐심.진심.치심) (0) | 2017.12.03 |
[스크랩] <11> 37 조도품(三十七 助道品) (0) | 2017.12.03 |
[스크랩] 충북불교대학생이 꼭 알아야 할 불교기초교리 50가지 (0) | 201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