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맺는 말
이상으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고 몇 가지 입장에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비교해보았다. 전체적으로 위빳사나의 입장을 조금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었는데 한국불교가 간화선 수행전통에 충실하므로 간화선에 대한 좋은 글들은 많이 소개 되었지만 위빳사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간화선은 남종 돈오선이 無事禪으로 오해되고 불립문자가 소위 말하는 불리문자가 되어버린 文字禪의 유행과 본자청정을 좌선으로 확인한다면서 적정처에 안주해버린 黙照禪의 병폐를 극복하고자 대혜선사가 주창한 수행법으로 화두를 간단없이 챙겨 마음으로 모색할 길이 끊어지고(心路絶)고 은산철벽 앞에 선 것과 같이 되어 무전제와 무아에 사무치게 하여 견성하는 수행법으로 지혜의 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위빳사나 역시 사마타 수행이 빠져있는 선정의 경지를 극복하기 위해서 물․심의 현상(법)이 무상․고․무아임을 간단없이 챙기고 수관하여 공하고 모든 자취가 없고(無相) 의도들이 없는(無願) 해탈을 성취하게 하는 수행법이다.
‘선정보다 지혜를 중시한다’는 한 구절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같은 점을 요약할 수 있다. 간화선이 경절문이요 견성을 중시하고 화두라는 참구대상을 설정하는 이유도 모두 선정의 고요함에 함몰하기 보다는 지혜로서 돈오견성할 것을 강조하기 때문이요 위빳사나가 해탈에 이르는 가장 빠른 수행법인 이유도 사마타의 적정처에 머무르지 않고 온갖 물․심의 현상이 무상․고․무아임를 통찰하여 해탈을 실현하는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간화선과 위빳사나 둘 다 선정을 중요시하기는 하지만 선정만으로는 견성이나 해탈을 할 수 없다고 가르치고 있다.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궁극적인 차이는 참구의 대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견성을 주창하는 간화선은 교학을 부정하고 대신에 인가를 중시하며 해탈을 주창하는 위빳사나는 아비담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중시하며 대신에 인가는 중시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각묵스님 [2001]『금강경 역해 - 금강경 산스끄리뜨 원전 분석 및 주해』<불광출판부>
――― [2002]「금강경 결제 발제문」(1-9) <실상사 홈페이지>
각묵스님/대림스님 [2002] 『아비담마 길라잡이』<초기불전연구원>
김방룡 [2002]「“간화선 참구의 실제”를 읽고」<보조사상 14차>
김영욱 [2002]「看話禪 참구의 실제 - 無子화두를 중심으로」<보조사상 14차>
김재성 [1997]「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 [2002a]「마하시 수행법과 대념처경」<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 [2002b]「위빠사나의 이론」<불교학 연구회>
김진무 [ ]「神會의 禪思想에 나타난 ‘般若’에 관한 고찰 ―語錄을 中心으로―」
――― [2002]「“간화선의 성립배경”을 읽고」<보조사상 14차>
김태완 [2000]「見性의 心性論的 解明 - 祖師禪의 見性論」 <韓國禪學 第1號>
김호귀 [ ]「金剛經과 선종의 公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 [2002]「看話禪의 성립 배경」 <보조사상 14차>
미산스님 [2002]「대념처경의 주석서에 대한 이해」<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서정형 [2002]「禪과 21세기」<현대불교신문 연재>
성본스님 [1991]『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민족사>
――― [2000]「看話禪 수행과 公案工夫의 문제」<간화선 대토론회>
성철스님 [1988]『敦煌本壇經』<장경각>
송인성 [ ]「唐宋 禪宗 語錄의 言語 硏究 現況과 課題」
원순스님 [2002]『禪스승의 편지 - 대혜종고 서장』<법공양>
원융스님 [1993]『간화선 - 禪宗 頓法思想의 바른 이해』<장경각>
이덕진 [2000]「看話禪의 ‘拘子無佛性’에 대한 一考察 - 大慧宗杲․普照知訥․眞覺慧諶을 중심으로」 <韓國禪學 第1號>
인경스님 [2000]「華嚴과 禪의 頓敎論爭」<韓國禪學 第1號>
――― [2002]「위빠싸나와 간화선」<보조사상 14차>
일중스님 [2002]「고엔카 수행법과 대념처경」<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종호스님 [2002]「종호스님의 참선강좌」<불교신문 연재>
최연식 [2000]「한국 간화선의 형성과 변화 과정」<불교평론 2000년 봄호>
한형조 [2000]「한국불교의 새 화두: 看話와 頓悟를 넘어」<간화선 대토론회>
혜업스님 [1977]『禪宗 永嘉集』<삼영출판사>
황미향 [ ]「남방불교의 선정수행 - 淸淨道論의 定(Samādhi)수행을 中心으로」
*자료를 내려받은 인터넷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보조사상연구원 http://www.bojosasang.org
불교학연구회 http://www.bulgyohak.org
실상사 홈페이지 http://www.silsang.net
위빠사나 까페 http://cafe.daum.net/vipassana
초기불전연구원 http://cafe.daum.net/chobul
한국선학회 http://www.seonstudy.or.kr
한국불교학회 http://www.hanbulhak.or.kr
이상으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고 몇 가지 입장에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비교해보았다. 전체적으로 위빳사나의 입장을 조금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었는데 한국불교가 간화선 수행전통에 충실하므로 간화선에 대한 좋은 글들은 많이 소개 되었지만 위빳사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간화선은 남종 돈오선이 無事禪으로 오해되고 불립문자가 소위 말하는 불리문자가 되어버린 文字禪의 유행과 본자청정을 좌선으로 확인한다면서 적정처에 안주해버린 黙照禪의 병폐를 극복하고자 대혜선사가 주창한 수행법으로 화두를 간단없이 챙겨 마음으로 모색할 길이 끊어지고(心路絶)고 은산철벽 앞에 선 것과 같이 되어 무전제와 무아에 사무치게 하여 견성하는 수행법으로 지혜의 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위빳사나 역시 사마타 수행이 빠져있는 선정의 경지를 극복하기 위해서 물․심의 현상(법)이 무상․고․무아임을 간단없이 챙기고 수관하여 공하고 모든 자취가 없고(無相) 의도들이 없는(無願) 해탈을 성취하게 하는 수행법이다.
‘선정보다 지혜를 중시한다’는 한 구절로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같은 점을 요약할 수 있다. 간화선이 경절문이요 견성을 중시하고 화두라는 참구대상을 설정하는 이유도 모두 선정의 고요함에 함몰하기 보다는 지혜로서 돈오견성할 것을 강조하기 때문이요 위빳사나가 해탈에 이르는 가장 빠른 수행법인 이유도 사마타의 적정처에 머무르지 않고 온갖 물․심의 현상이 무상․고․무아임를 통찰하여 해탈을 실현하는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간화선과 위빳사나 둘 다 선정을 중요시하기는 하지만 선정만으로는 견성이나 해탈을 할 수 없다고 가르치고 있다.
간화선과 위빳사나의 궁극적인 차이는 참구의 대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견성을 주창하는 간화선은 교학을 부정하고 대신에 인가를 중시하며 해탈을 주창하는 위빳사나는 아비담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중시하며 대신에 인가는 중시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각묵스님 [2001]『금강경 역해 - 금강경 산스끄리뜨 원전 분석 및 주해』<불광출판부>
――― [2002]「금강경 결제 발제문」(1-9) <실상사 홈페이지>
각묵스님/대림스님 [2002] 『아비담마 길라잡이』<초기불전연구원>
김방룡 [2002]「“간화선 참구의 실제”를 읽고」<보조사상 14차>
김영욱 [2002]「看話禪 참구의 실제 - 無子화두를 중심으로」<보조사상 14차>
김재성 [1997]「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 [2002a]「마하시 수행법과 대념처경」<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 [2002b]「위빠사나의 이론」<불교학 연구회>
김진무 [ ]「神會의 禪思想에 나타난 ‘般若’에 관한 고찰 ―語錄을 中心으로―」
――― [2002]「“간화선의 성립배경”을 읽고」<보조사상 14차>
김태완 [2000]「見性의 心性論的 解明 - 祖師禪의 見性論」 <韓國禪學 第1號>
김호귀 [ ]「金剛經과 선종의 公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 [2002]「看話禪의 성립 배경」 <보조사상 14차>
미산스님 [2002]「대념처경의 주석서에 대한 이해」<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서정형 [2002]「禪과 21세기」<현대불교신문 연재>
성본스님 [1991]『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민족사>
――― [2000]「看話禪 수행과 公案工夫의 문제」<간화선 대토론회>
성철스님 [1988]『敦煌本壇經』<장경각>
송인성 [ ]「唐宋 禪宗 語錄의 言語 硏究 現況과 課題」
원순스님 [2002]『禪스승의 편지 - 대혜종고 서장』<법공양>
원융스님 [1993]『간화선 - 禪宗 頓法思想의 바른 이해』<장경각>
이덕진 [2000]「看話禪의 ‘拘子無佛性’에 대한 一考察 - 大慧宗杲․普照知訥․眞覺慧諶을 중심으로」 <韓國禪學 第1號>
인경스님 [2000]「華嚴과 禪의 頓敎論爭」<韓國禪學 第1號>
――― [2002]「위빠싸나와 간화선」<보조사상 14차>
일중스님 [2002]「고엔카 수행법과 대념처경」<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실제>
종호스님 [2002]「종호스님의 참선강좌」<불교신문 연재>
최연식 [2000]「한국 간화선의 형성과 변화 과정」<불교평론 2000년 봄호>
한형조 [2000]「한국불교의 새 화두: 看話와 頓悟를 넘어」<간화선 대토론회>
혜업스님 [1977]『禪宗 永嘉集』<삼영출판사>
황미향 [ ]「남방불교의 선정수행 - 淸淨道論의 定(Samādhi)수행을 中心으로」
*자료를 내려받은 인터넷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보조사상연구원 http://www.bojosasang.org
불교학연구회 http://www.bulgyohak.org
실상사 홈페이지 http://www.silsang.net
위빠사나 까페 http://cafe.daum.net/vipassana
초기불전연구원 http://cafe.daum.net/chobul
한국선학회 http://www.seonstudy.or.kr
한국불교학회 http://www.hanbulhak.or.kr
출처 : 대한불교조계종 지장기도도량 오봉산 영선사
글쓴이 : 월공스님(천인) 원글보기
메모 :
'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란스런 마음을 아직 정하지도 못하고 방황하는 (0) | 2018.07.29 |
---|---|
[스크랩]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법의 차이점은-각묵- (0) | 2018.07.29 |
[스크랩] 간화선과 위빳사나, 무엇이 같고 다른가?"6. 한국 간화선에 대한 고언(苦言) "-각묵- (0) | 2018.07.29 |
[스크랩] 간화선과 위빳사나, 무엇이 같고 다른가?"5. 다른 점 "-각묵- (0) | 2018.07.29 |
[스크랩] 간화선과 위빳사나, 무엇이 같고 다른가?"4. 같은 점 "-각묵- (0) | 2018.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