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되새기기

[스크랩] 절약은 하되 인색해서는 안 된다

수선님 2018. 10. 14. 12:22

how to teach a kid to read


부처님이 사밧티의 기원정사에 있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파세나디왕이 부처님을 찾아왔는데 몰골이 말이 아니었다.


“대왕이여, 어디서 오는데 먼지를 뒤집어쓰고 피로한 모습입니까?”


“부처님, 이 나라의 유명한 부자였던 마하나마가 며칠 전 목숨을 마쳤습니다. 그에게는 아들이 없어 재산을 모두 조사해 국고에 넣었습니다. 며칠 동안 그 일을 하느라고 먼지를 뒤집어썼더니 행색이 이 꼴입니다.”


“그는 어느 정도로 큰 부자였습니까?”


“그는 창고에 백천 억의 순금을 쌓아둔 부자였습니다. 그는 재산을 모으기 위해 평생 싸라기밥과 썩은 시래기죽을 먹었으며 굵고 남루한 베옷만을 입었습니다. 그리하여 많은 재산을 모은 부자가 됐습니다. 하지만 그는 돈을 모으기만 했지 쓸 줄 몰랐습니다. 가난한 사람이나 불쌍한 사람이 찾아오면 문을 닫고 식사를 했습니다. 부모와 처자권속에게까지 인색했으니 수행자를 위해 보시하는 일은 더더욱 없었습니다. 말할 수 없는 구두쇠였습니다.”


왕의 얘기를 전해 들은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왕이여, 그는 결코 훌륭한 재산가가 아니오. 그는 자기의 재물을 널리 써서 큰 이익을 얻을 줄 모르는 바보요.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넓은 들판에 물을 가득 가두어 두었으나 그 물을 마시거나 목욕을 하지 않으면 말라서 사라지는 것과 같소. 그는 재산이 있으면서도 복을 짓지 못하고 말았소.


그러나 왕이여, 재산을 모아 먼저 부모를 공양하고 처자권속을 돌보며 가난한 이웃과 친구들에게 나누어줄 줄 아는 사람은 현명한 부자라 할 것이오. 이는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마을 부근에 연못을 만들고 나무를 심어 사람들이 찾아와 쉬게 해주는 것과 같소. 그는 사람들의 칭찬을 받을 것이며 그 공덕으로 천상에 태어날 것이오. 돈은 이렇게 쓰려고 아끼고 모으는 것이오.”


잡아함 46권 1232경 《간경》

   

이 경은 여기서 끝나고 있다. 그러나 뒤에 나오는 1233경 《명종경(命終經)》에 따르면 구두쇠 마하나마는 그렇게 아끼던 돈을 써보지도 못하고 죽었는데 지옥에 떨어졌다고 한다.


꼭 필요한 곳에 의미있게 쓰여지면 가치가 배로 늘어나는 게 돈이다. 반대로 잘못 쓰면 돈 값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그래서 돈이란 어떻게 모으느냐 못지않게 어떻게 잘 쓰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한 끼에 몇십만 원 하는 식사를 했다고 자랑하는 사람이 있다. 진귀한 음식을 먹었으니 자랑할 만도 하다. 하지만 세상에는 아직도 한 끼 식사를 해결하지 못해 허리띠 구멍이 줄어드는 사람이 있다. 한 끼 식사 값을 줄이고 이들에게 조금만 후원을 한다면 돈 값은 백 배로 늘어날 수 있다. 이것이 돈을 제대로 쓰는 것이다.


미국의 강철왕 카네기에게 이런 일화가 전한다.


어느 날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이 카네기에게 기부를 요청하러 왔다. 마침 카네기는 서재에서 촛불을 켜놓고 책을 읽고 있었는데 방문객이 들어오자 촛불 한 개를 끄면서 손님을 맞았다. 교장선생님은 이 모습을 보고 카네기에게 기부금을 받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카네기는 예상 밖으로 선선히 교사신축 기부금을 내놓았다.


교장선생님이 궁금해서 물었다.


“어째서 내가 들어오자 촛불 한 개를 꺼버렸습니까?”


“책을 읽을 때는 두 개가 필요하지만 얘기할 때는 촛불 한 개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습니까?”


돈을 제대로 잘 쓰지 못하는 사람에는 대체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아무데나 흥청망청 쓰는 낭비형이고, 다른 하나는 무조건 움켜쥐고 내놓지 않는 자린고비형이다. 부처님은 재가 불자가 낭비를 줄이고 근검절약하는 것을 칭찬했지만 쓸 돈마저 아끼는 자린고비는 욕심을 버리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홍사성/불교방송 상무



출처 : 淨土를 그리며...
글쓴이 : 느린 걸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