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능대사
혜능대사는 중국 당나라 때의 사람으로 속성(俗姓)은 노(盧)가였으며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땔나무를 팔아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하루는 시장에 나무를 팔러 나갔다가 한 손님이 금강경 외우는 소리를 듣고 홀연히 마음이 밝아졌다.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혜능은 어머니를 하직하고 손님이 일러주는 데로 황매산의 홍인대사를 찾아뵙고 예배드렸다.
“너는 어디에서 왔으며 나에게 무엇을 구하려고 하느냐?”
저는 영남 신주사람인데 오직 부처되는 법을 구하고자 할 뿐입니다. “
“영남사람은 오랑캐인데 어떻게 부처가 될 수 있단 말이냐?”
“사람에게는 비록 남과 북이 있으나 불성에는 남과 북이 없습니다. 오랑캐인 저와 스님은 다르지만 부처의 성품에 무슨 차별이 있겠습니까?”
홍인대사는 법기(法器)임을 곧 알아보았지만 대중을 따라 일하게 하였다. 노 행자로 불린 혜능은 후원에서 장작을 패고 힘이 부족하여 돌을 짊어지고 방아를 찧었다.
여덟달이 지난 어느 날 홍인대사는 자신의 의발(衣鉢)을 전할 사람을 찾기 위하여 제자들에게 각자 깨달은 진리를 게송으로 지어내라고 하였다.
그때에 대중들로 부터 인정을 받고 있던 신수는 고심 끝에 게송을 지어 대중이 잘 다니는 곳의 벽에 이름을 밝히지 않고 붙여 놓았다.
身是菩提樹(신시보리수) 몸은 깨달음의 나무요
心如明鏡臺(심여명경대)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네.
時時勤拂拭(시시근불식) 부지런히 털고 닦아
勿使惹塵埃(물사약진애) 티끌이 없도록 하리.
홍인대사는 신수가 지은 것임을 바로 알아보고, 그에게 아직 깨달음에 이르지 못했으니 더욱 수행에 힘쓰라고 하였다.
방아를 찧던 혜능은 한 사미승이 이 게송 외우는 소리를 듣고 나서 자기가 부르는 것을 그 게송 옆에 써 달라고 부탁하였다.
菩提本無樹(보리본무수) 깨달음에는 본래 나무가 없고
明鏡亦非臺(명경역비대) 거울 또한 받침대가 없네
本來一無物(본래일무물) 본래 한 물건도 없거늘
何處惹塵埃(하처야진애) 어느 곳에 티끌이 일어나리요.
신수보다 탁월한 게송을 보고 대중들은 감탄하였다.
홍인대사가 이를 보고는 주변의 해(害)가 있을까 두려워 신발로 문질러 지워버렸다. “이것 또한 아직 깨닫지 못한 글이니 모두들 돌아가거라.”
그리고는 은밀히 방앗간으로 혜능을 찾아가서 말하였다.
“쌀은 다 찧었느냐?”(공부는 다 되었는가 하는 뜻)
“이미 찧은 지는 오래 되었으나 키질을 못하였습니다.”(공부는 다 되었으나 아직 인가를 못 받았다는 뜻)
홍인대사는 지팡이로 방아를 세 번 치고는 말없이 돌아갔다.
혜능이 그 뜻을 알아차리고 그날 밤 삼경에 스승을 찾아뵈었다. 오조홍인대사는 병풍으로 가려놓고 금강경을 설법하신 후, 달마대사로부터 받은 가사(袈裟)와 발우(鉢盂)를 전하며 제 육조로 인가하였다.
그리하여 육조 혜능대사는 중국에 선종(禪宗)을 크게 일으키며 76세로 입적할 때까지 조계산을 중심으로 교화활동을 하였다.
출처> 구인사
행자실 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dis834/1666 에서 복사한글임을 밝힙니다.
'지혜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바른믿음 바른수행 (0) | 2019.02.03 |
---|---|
[스크랩] 중생으로 밝은 불빛은 불자로 지혜로워 지는 것 (0) | 2019.02.03 |
[스크랩] 도림선사와 백낙천(나무위에 자리를 깔고) - 구인사 (0) | 2019.01.27 |
[스크랩] 존재의 실상 (0) | 2019.01.27 |
[스크랩] 마음의 네가지원인..인연..소연연..등무간연..증상연.. (0) |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