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가지 청정[七淸淨]과 삼학(三學)
『청정도론(淸淨道論)』은 일곱 가지 청정을 내용으로 하여 계정혜(戒定慧)의 삼학을 밝힌 남방상좌불교의 고전적인 논서이다. 일곱 가지 청정과 삼학의 관계와 『청청도론』의 해당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청정도론(淸淨道論)』은 일곱 가지 청정을 내용으로 하여 계정혜(戒定慧)의 삼학을 밝힌 남방상좌불교의 고전적인 논서이다. 일곱 가지 청정과 삼학의 관계와 『청청도론』의 해당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七淸淨 『淸淨道論』 三學
①戒淸淨 1-2章 ── 戒學
②心淸淨 3-13章 ── 定學
③見淸淨 18章 ─┐
④度疑淸淨 19章 │ 慧學(14-23章)중에
⑤道非道智見淸淨 20章 ├─ 慧體(18-22章)에 해당
⑥行道智見淸淨 21章 │
⑦智見淸淨 22章 ─┘
①戒淸淨 1-2章 ── 戒學
②心淸淨 3-13章 ── 定學
③見淸淨 18章 ─┐
④度疑淸淨 19章 │ 慧學(14-23章)중에
⑤道非道智見淸淨 20章 ├─ 慧體(18-22章)에 해당
⑥行道智見淸淨 21章 │
⑦智見淸淨 22章 ─┘
『청정도론』의 선정 수행의 주제 - 四十業處
(1)十遍; 地·水·火·風·靑·黃·赤·白·光明·限定虛空 (4-5章)
(2)十不淨; 膨張想·靑瘀想·膿爛想·斷壞想·食殘想·散亂想·斬斫離散想·血塗想·蟲聚想·骸骨想. (6章)
(3)十隨念; 佛隨念·法隨念·僧隨念·戒隨念·捨隨念·天隨念·死隨念·身至念·出入息念·寂止隨念. (7-8章)
(4)四梵住; 慈梵住·悲梵住·喜梵住·捨梵住. (9章)
(5)四無色定; 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 (10章)
(6)一想; 食厭想. (11章)
(7)一差別; 四界差別. (11章)
(1)十遍; 地·水·火·風·靑·黃·赤·白·光明·限定虛空 (4-5章)
(2)十不淨; 膨張想·靑瘀想·膿爛想·斷壞想·食殘想·散亂想·斬斫離散想·血塗想·蟲聚想·骸骨想. (6章)
(3)十隨念; 佛隨念·法隨念·僧隨念·戒隨念·捨隨念·天隨念·死隨念·身至念·出入息念·寂止隨念. (7-8章)
(4)四梵住; 慈梵住·悲梵住·喜梵住·捨梵住. (9章)
(5)四無色定; 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 (10章)
(6)一想; 食厭想. (11章)
(7)一差別; 四界差別. (11章)
일곱 가지 청정[七淸淨]과 지혜의 향상
7 청정 지혜의 향상
(1)戒淸淨
(2)心淸淨 - (40 가지 수행의 주제; 四十業處)
(3)見淸淨 - 1.마음의 현상과 육체의 현상을 구별하는 앎
名色區別知; n ma-r pa-pariccheda- a
(4)度疑淸淨 - 2.조건을 파악하는 앎
緣把握知; paccaya-pariggaha- a
(5)道非道智見淸淨 - 3. 현상들의 무상·고·무아에 대한 사유에 의한 앎 [思惟知]
sammasana- a
4-1. 발생과 소멸에 대한 앎
生滅隨觀知; udayabbay nupassan a,-초기 단계
(이 단계에서 1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동반되는 번뇌[十觀隨染]가 생김)
(6) 行道智見淸淨 - 4-2. 발생과 소멸에 대한 앎 [生滅隨觀智] -
본격적인 단계.,
5. 소멸에 대한 앎 壞隨觀智
bha g nupassan - a,
6. 두려움에 대한 앎 怖畏隨觀智
bhayatupa h na- a,
7. 허물에 대한 앎 過患隨觀智
d nav nupassan - a,
8. 싫어해 멀리하는 앎 厭離隨觀智
nibbhed nupassan - a,
9 벗어나고자 하는 앎 脫欲智
muccitukamyat - a,
10. 되돌아 살펴보는 앎 省察隨觀智
pa ssa ah nupassan - a
11. 모든 현상들에 대해서 초연한 앎 行捨智
sa kh rupekkh - a
(7) 智見淸淨 12-16.네 가지 도(道)와 네 가지 과(果)에 대한 앎.
(1)戒淸淨
(2)心淸淨 - (40 가지 수행의 주제; 四十業處)
(3)見淸淨 - 1.마음의 현상과 육체의 현상을 구별하는 앎
名色區別知; n ma-r pa-pariccheda- a
(4)度疑淸淨 - 2.조건을 파악하는 앎
緣把握知; paccaya-pariggaha- a
(5)道非道智見淸淨 - 3. 현상들의 무상·고·무아에 대한 사유에 의한 앎 [思惟知]
sammasana- a
4-1. 발생과 소멸에 대한 앎
生滅隨觀知; udayabbay nupassan a,-초기 단계
(이 단계에서 10 가지 위빠사나 수행에 동반되는 번뇌[十觀隨染]가 생김)
(6) 行道智見淸淨 - 4-2. 발생과 소멸에 대한 앎 [生滅隨觀智] -
본격적인 단계.,
5. 소멸에 대한 앎 壞隨觀智
bha g nupassan - a,
6. 두려움에 대한 앎 怖畏隨觀智
bhayatupa h na- a,
7. 허물에 대한 앎 過患隨觀智
d nav nupassan - a,
8. 싫어해 멀리하는 앎 厭離隨觀智
nibbhed nupassan - a,
9 벗어나고자 하는 앎 脫欲智
muccitukamyat - a,
10. 되돌아 살펴보는 앎 省察隨觀智
pa ssa ah nupassan - a
11. 모든 현상들에 대해서 초연한 앎 行捨智
sa kh rupekkh - a
(7) 智見淸淨 12-16.네 가지 도(道)와 네 가지 과(果)에 대한 앎.
서른 일곱 가지 깨달음을 도와주는 법[三十七助道品]
(bodhipakkhiy dhamm )
(bodhipakkhiy dhamm )
(1)사념처(四念處) catt ro satipa h n , 네 가지 마음챙김
① 몸에 대한 마음챙김[身念處]
②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
③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心念處]
④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
① 몸에 대한 마음챙김[身念處]
②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
③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心念處]
④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
(2)사정근(四正勤), 사정단(四正斷) catt ro sammappadh n 네 가지 노력.
①아직 생겨나지 않은 악하고 온전치 못한 법은 생겨나지 않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策勵)하고 노력함 [未生惡令不生]
②이미 생겨난 악하고 온전치 못한 법은 없애려고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 [已生惡令永斷]
③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온전한) 법은 생겨나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未生善令生]
④이미 생겨난 선한(온전한) 법은 유지시키고, 잃지 않도록 하며, 증장시키고, 많아지도록 하며, 계발하고, 완성시키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 [已生善令增長].
①아직 생겨나지 않은 악하고 온전치 못한 법은 생겨나지 않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策勵)하고 노력함 [未生惡令不生]
②이미 생겨난 악하고 온전치 못한 법은 없애려고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 [已生惡令永斷]
③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온전한) 법은 생겨나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未生善令生]
④이미 생겨난 선한(온전한) 법은 유지시키고, 잃지 않도록 하며, 증장시키고, 많아지도록 하며, 계발하고, 완성시키도록 의욕을 일으키고, 애쓰고, 정진하고, 마음을 책려하고 노력함. [已生善令增長].
(3)사신족(四神足) catt ro iddhip d , 네 가지 신통의 기반.
①욕신족(欲神足) 또는 욕여의족(欲如意足) : (신통을 얻으려고 하는) 의욕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足].
②정진신족(精進神足) : 정진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③심신족(心神足) : 마음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④사유신족(思惟神足) : 사유[관찰]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4)오근(五根) pa ca-indriy ni,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
①믿음의 기능 [信根, saddh -indriya] :
붓다의 깨달음[tath gatassa bodhi ]에 대한 믿음. 불·법·승 삼보와 계에 대한 네 가지 불괴(不壞)의 정신(淨信)[aveccappas da].
②노력의 기능 [精進根,viriya-indriya] : 사정근(四正勤)
③마음챙김의 기능 [念根 sati-indriya] : 사념처(四念處)
④마음집중의 기능 [定根sam dhi-indriya] : 사선(四禪)
⑤지혜의 기능 [慧根pa -indriya] : 사성제(四聖諦)에 대한 앎.
성스러운 통찰에 의해 올바르게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생멸하는 현상에 대한 지혜의 성취.
①욕신족(欲神足) 또는 욕여의족(欲如意足) : (신통을 얻으려고 하는) 의욕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足].
②정진신족(精進神足) : 정진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③심신족(心神足) : 마음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④사유신족(思惟神足) : 사유[관찰]에 의해 생겨난 선정(禪定)과 노력의 힘을 갖춘 신통의 기반.
(4)오근(五根) pa ca-indriy ni,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
①믿음의 기능 [信根, saddh -indriya] :
붓다의 깨달음[tath gatassa bodhi ]에 대한 믿음. 불·법·승 삼보와 계에 대한 네 가지 불괴(不壞)의 정신(淨信)[aveccappas da].
②노력의 기능 [精進根,viriya-indriya] : 사정근(四正勤)
③마음챙김의 기능 [念根 sati-indriya] : 사념처(四念處)
④마음집중의 기능 [定根sam dhi-indriya] : 사선(四禪)
⑤지혜의 기능 [慧根pa -indriya] : 사성제(四聖諦)에 대한 앎.
성스러운 통찰에 의해 올바르게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생멸하는 현상에 대한 지혜의 성취.
(5)오력(五力) pa ca bal ni, 다섯 가지 마음의 힘.
①믿음의 힘 [信力, saddh -bala]
②정진의 힘 [精進力, viriya-bala]
③마음챙김의 힘 [念力, sati-bala]
④마음집중의 힘 [定力, sam dhi-bala]
⑤지혜의 힘 [慧力, pa -bala]
①믿음의 힘 [信力, saddh -bala]
②정진의 힘 [精進力, viriya-bala]
③마음챙김의 힘 [念力, sati-bala]
④마음집중의 힘 [定力, sam dhi-bala]
⑤지혜의 힘 [慧力, pa -bala]
(6)칠각지(七覺支) satta bojjha g
①마음챙김의 깨달음의 요소[念覺支; sati-sambojjha ga]
②법에 대한 고찰의 깨달음의 요소[擇法覺支; dhamma-vicaya-s°]
③정진의 깨달음의 요소[精進覺支; viriya-s°]
④기쁨의 깨달음의 요소[喜覺支; p ti-s°]
⑤(심신의) 평안의 깨달음의 요소[輕安覺支; passaddhi- s°]
⑥마음집중의 깨달음의 요소[定覺支; sam dhi-s°]
⑦평온의 깨달음의 요소[捨覺支; upekkh -s°].
①마음챙김의 깨달음의 요소[念覺支; sati-sambojjha ga]
②법에 대한 고찰의 깨달음의 요소[擇法覺支; dhamma-vicaya-s°]
③정진의 깨달음의 요소[精進覺支; viriya-s°]
④기쁨의 깨달음의 요소[喜覺支; p ti-s°]
⑤(심신의) 평안의 깨달음의 요소[輕安覺支; passaddhi- s°]
⑥마음집중의 깨달음의 요소[定覺支; sam dhi-s°]
⑦평온의 깨달음의 요소[捨覺支; upekkh -s°].
(7)팔지성도(八支聖道), 팔정도(八正道)ariyo a ha giko maggo
①바른 이해[正見] ---+ 지혜[慧]
②바른 사유[正思惟] ---+ (pa )
②바른 사유[正思惟] ---+ (pa )
③바른 언어[正語] ---+ 윤리[戒]
④바른 행위[正業] | (s la)
⑤바른 생계[正命] ---+
④바른 행위[正業] | (s la)
⑤바른 생계[正命] ---+
⑥바른 노력[正精進] ---+ 마음집중[定]
⑦바른 마음챙김[正念] | (sam dhi)
⑧바른 마음집중[正定] ---+
⑦바른 마음챙김[正念] | (sam dhi)
⑧바른 마음집중[正定] ---+
『대념처경』의 팔정도 설명. (DN II, 312-3)
①바른 이해 - 四聖諦에 대한 앎.
'괴로움'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발생'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소멸'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②바른 사유
감각적인 욕망이 없는 마음가짐[出離], 나쁜 의도[惡意]가 없는 마음가짐, 남을 해치려는 의도가 없는 마음가짐.
③바른 언어[正語]
거짓말[妄語], 이간질하는 말[兩舌], 거친 말[惡口], 쓸모 없는 말[綺語]을 삼가함.
④바른 행위[正業]
살생을 하지 않음[不殺生], 주지 않은 것을 가지지 않음[不偸盜], 삿된 성행위를 하지 않음[不邪淫].
⑤바른 생계[正命]
잘못된 생계를 버리고 바른 생계에 의해서 생활하는 것.
⑥바른 노력[正精進] - 네 가지 노력[四正勤]
⑦바른 마음챙김[正念] -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
⑧바른 마음집중[正定] -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①바른 이해 - 四聖諦에 대한 앎.
'괴로움'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발생'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소멸'에 대해서 아는 것,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②바른 사유
감각적인 욕망이 없는 마음가짐[出離], 나쁜 의도[惡意]가 없는 마음가짐, 남을 해치려는 의도가 없는 마음가짐.
③바른 언어[正語]
거짓말[妄語], 이간질하는 말[兩舌], 거친 말[惡口], 쓸모 없는 말[綺語]을 삼가함.
④바른 행위[正業]
살생을 하지 않음[不殺生], 주지 않은 것을 가지지 않음[不偸盜], 삿된 성행위를 하지 않음[不邪淫].
⑤바른 생계[正命]
잘못된 생계를 버리고 바른 생계에 의해서 생활하는 것.
⑥바른 노력[正精進] - 네 가지 노력[四正勤]
⑦바른 마음챙김[正念] -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
⑧바른 마음집중[正定] -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동채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eastandsouth/5306329 에서 복사한 글임을 밝힙니다.
'위빠사나.5온.12처.18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위빠사나. 다섯가지 덮개와 대치법 (0) | 2019.04.07 |
---|---|
4. 위빠사나. 초선~4선 설명. 오개.오선지.심법에 대한 고찰과향상 7가지 (0) | 2019.04.07 |
2. 마음챙김의 네가지 대상..사념처 .육체적인 현상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9.04.07 |
1. 마음챙김에 의거한 위빠사나 수행 (0) | 2019.04.07 |
[스크랩] 사마타 수행 - 아리야난다(Ven. Ariyananda Thera) 스님 (0) | 201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