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엄사상(華嚴思想) >
1. 화엄사상이란 무엇인가?
인도에서 흥기한 대승불교가 중국에 들어와서는 종파불교로 발전하였습니다. 폴 윌리엄스(Paul Williams)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인도나 티베트 불교와 대조되는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특정 경전들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종파들이 발전했다는 점입니다.
각 종파는 자신들의 소의경전을 붓다의 가르침의 결정체이자 최고의 교설 혹은 마지막 교설로 인식했으며, 다른 종파의 경전은 그 지고한 교설에 이르기 위한 과정이라고 보았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중국적 불교철학이 탄생한 것은 화엄종(華嚴宗)이나 천태종(天台宗)과 같은 종파를 통해서였습니다. 경전에 대한 이러한 중국적 태도는 티베트와는 대조적입니다. [폴 윌리엄스,『서양학자가 본 대승불교』, 조환기 옮김(서울: 시공사, 2000), p.153]
이를테면 중국의 종파들은 자신들의 철학 체계를 경전에서 찾아냈지만, 티베트에서는 인도 학파들의 철학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경전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중국에서 경전과 그 주석을 강조했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최초로 교조가 남긴 가르침과 그 의미에 대한 주석을 연구하는 전통적인 유교(儒敎) 연구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폴 윌리엄스, 위의 책, p.153]
화엄사상은『화엄경(華嚴經)』을 토대로 성립된 것입니다. 화엄경의 모태가 되었던「십지경(十地經)」과「입법계품(入法界品)」은 인도에서 편찬된 독립적인 경전이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하나의『화엄경』으로 편찬되어 중국에 전해졌습니다. 중국인들은 이『화엄경』을 바탕으로 화엄종이라는 종파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적 불교철학으로 체계화시켰습니다.
중국에서는 화엄종에 앞서 지론종(地論宗)이 먼저 성립되었습니다. 지론종은『십지경』에 대한 와수반두(Vasubandhu, 世親)의 주석에 근거하여 설립된 종파였지만, 나중에는 화엄종에 흡수되어 버렸습니다.
‘꽃의 장식’을 뜻하는 화엄(華嚴)은 화관이나 화환을 의미하는 산스끄리뜨어 아와땀사까(Avata?saka)를 번역한 말입니다. 그것은 대비로자나불(大毘盧遮那佛)의 신비적 교의를 세세하게 묘사한 경전의 명칭입니다.
붓다는 깨달음을 이룬 직후 이 경전을 설했는데, 듣는 사람들은 마치 귀머거리나 벙어리처럼 그 내용을 한 마디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붓다는 쉬운 네 가지 아함(阿含)과 다른 교의들을 새로 설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며,『화엄경』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일 뿐입니다.
사실 이 경전은 독립적으로 유통되던 경전들을 모아 편찬한 이질적인 경전입니다. 따라서 어떤 부분들은 그 독립된 경전들 간에 보이는 명백한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이 경전을 편집하던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산스끄리뜨 본으로 현존하는 부분은 두 개의 품(品)인데, 이 둘은 의심할 여지없이 독립적인 경전이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보살도를 10단계로 서술한「십지경」이고, 다른 하나는『화엄경』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는「입법계품」입니다. 3세기에「십지경」혹은「십지품」이 먼저 한역되었습니다.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 Buddhabhadra)가 418-20년에『화엄경』을 처음 완역하였고, 실차난타(實叉難陀)가 695-699년에 다시 한역했습니다. 실차난타의 한역은 불타발타라의 한역본보다 약 10분의 1 가량이 더 많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대승경전들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교정과 증광, 축약을 거듭했음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폴 윌리엄스, 앞의 책, p.158]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존하는 방대한 분량의『화엄경』으로 편찬되었던 것입니다.
흔히 화엄사상은 대승불교의 꽃이라고 말합니다. 대승불교의 교학으로는 마지막 단계에서 배우는 심오한 사상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런데 화엄경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논함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교판(敎判) 입니다. 교판이란 교상판석(敎相判釋)의 준말입니다.
예로부터 오시(五時)의 교판은 화엄경의 특색을 이해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시란 붓다의 일대시교를 각 경전에서 말하는 시기에 따라서 배열한 것입니다. 즉 화엄경은 붓다의 성도 2-7일(제2주째)의 설법이라고 합니다. 이 교판에 따르면 베나레스 녹야원에서 행해진 초전법륜에서의 사성제와 팔정도의 교리를 주축으로 한『아함경』보다 앞선 것이 됩니다. 그래서 성도 10년에『방등경』, 16년에『반야경』, 그리고 만년에 이르러『법화경』을 설하고 최후의 입멸에 이르러『열반경』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법화경』과『열반경』은 제5시의 가르침으로서 천태종에서는 이것으로써『법화경』의 특수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다카사키 지키도 외,『화엄사상』(강좌 대승불교3), 정순일 옮김(서울: 경서원, 1988), p.16]
이러한 교상판석은 중국에서 대승불교가 종파불교로 발전하면서 자신들의 종파에서 신봉하는 경전이 더 수승하고 붓다의 진의, 즉 참뜻을 담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나온 불교 경전의 분류 방법이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교상판석은 중국인들이 불교 경전의 우열을 가리기 위해 채택했던 연구 방법론이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교상판석은 역사적 사실이 아님은 말할 나위없습니다. 다만 화엄종에서 오시교판을 강조하는 까닭은 화엄경이야말로 붓다의 자내증(自內證)의 세계, 즉 깨달음의 경지를 그대로 묘사한 경전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요컨대 화엄사상이란 화엄경의 전역(傳譯)에서 비롯하여 화엄종의 성립과 발전에 이르기까지의 흐름과, 그것에 일관된 사고방식 및 교리체계를 말합니다. 종래의 ‘화엄교학’이란 말은 주로 화엄종의 교학을 말하는 것입니다.[다카사키 지키도 외, 위의 책, p.21]
따라서 화엄사상은 ‘화엄교학’과 구별되며,『화엄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사상 전체를 의미합니다. [한국유학생인도학불교학연구회 편,『일본의 인도철학 · 불교학 연구 - 그 역사와 현황』(서울: 아세아문화사, 1996), pp.611- 612] 이를테면 중국에서 전통 화엄종 계보에는 속하지 않지만,『화엄경』을 중심으로 연구한 이통현(李通玄, 635-730) 장자(長者)의 사상도 화엄사상에 포함됩니다.
2.『화엄경』의 개요
『화엄경』은『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줄인 이름입니다. ‘대(大)’는 ‘절대적인 대, 상대가 끊어진 극대(極大)’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초월한 절대의 대(大)’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광(方廣)’이란 ‘공간적으로 넓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대방광(大方廣)’이란 크고 넓다는 뜻으로 붓다를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결국 ‘대방광불(大方廣佛)’이란 한량없이 크고 넓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절대적인 붓다를 말하며, 화엄경에서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라고 합니다. [불교교재편찬위원회 편,『불교사상의 이해』(서울: 불교시대사, 1997), p.215- 216; 이철헌,『대승불교의 가르침』(서울: 문중, 2008), p.229]
비로자나불이란 산스끄리뜨 와이로짜나(vairocana)를 소리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광명이 두루 비춘다(光明遍照)’라는 뜻입니다. ‘화엄(華嚴)’이란 잡화엄식(雜華嚴飾)에서 나온 말로 ‘가지가지의 꽃을 가지고 장엄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대방광불화엄경』은 ‘광명을 두루 비추며 우주에 계시는 붓다의 덕성과 가지가지의 꽃으로 장엄된 진리의 세계를 설하고 있는 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교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pp.216-217; 이철헌, 위의 책, pp.229-230]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으로『법화경』과『화엄경』을 들 수 있는데, 법화경』이 법(法)을 설하는 경전이라면,『화엄경』은 불(佛)을 설하는 경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佛)을 설한다는 뜻은 무엇이겠습니까?
그것은 첫째, 전지전능하며 무소부주(無所不住)한 붓다, 즉 비로자나불의 불가사의한 힘[不思議神力]과, 불가사의한 세계[不思議世界]와, 불가사의한 작용[不思議用]과, 불가사의한 공덕[不思議功德] 등을 설하는 경이라는 뜻입니다.
둘째, 불가사의한 신력과 세계와 작용과 공덕을 갖춘 비로자나불이 되는 길[道]에 대해 설한 경이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무명에 덮여 한 치 앞도 보지 못하는 중생이 한 걸음 한 걸음 닦아 나가 52단계를 거쳐 마침내 부처가 되는 과정, 즉 보살의 길[菩薩道]을 설명하는 경이라는 뜻입니다.[불교교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pp.216-217]
현존하는 한역의『화엄경』은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는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359-429)가 번역한 60권본입니다. 이것은 번역한 권수가 60권이기 때문에『60화엄』이라 하고, 번역된 시기가 동진(東晋)이므로『진경(晉經)』혹은『진역(晋譯)』이라 부릅니다.
둘째는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가 번역한 80권본입니다. 이것은 번역한 권수가 80권이기 때문에『80화엄』이라 하고, 당나라 때의 번역이기 때문에『당경(唐經)』혹은『당역(唐譯)』이라고 부릅니다.
전자의『60권본』이 먼저 번역되었기 때문에 구역(舊譯)이라 하고,『80권본』은 나중에 번역되었기 때문에 신역(新譯)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두 판본에 대한 산스끄리뜨의 원전은 전해지지 않습니다.
셋째는 반야(般若)가『입법계품(入法界品)』만 번역한 40권본입니다. 이것을『40화엄』혹은『정원경(貞元經)』이라고 부릅니다. 40권본에 대한 원전을『간다뷰하』라고 합니다. 중국 화엄종에서 소의로 삼는 것은 60권 화엄입니다.
3. 화엄교학의 역사
『화엄경』의 성립연대에 대하여 오늘날 학계에서는 그 대경(大經)의 성립이 4세기 중엽 이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입법계품’과 ‘십지품’은 나가르주나(龍樹, 150-250)가 알고 있었다는 것이 확실하며, 3세기 중엽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카사키 지키도 외, 위의 책, p.30] ‘입법계품’에 의하면 그 무대는 남인도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학자들은 중앙아시아의 코탄(Khotan)에서『화엄경』이 편찬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 추정의 근거는 ‘42자의 글’(알파벳) 중에 Ysa(也娑, 夷娑)라는 자모가 있는데 이것이 인도 고유의 범어 자모에는 없다는 점입니다. 그것은 중앙아시아의 코탄에서 기원한 음이 서기 1세기 말엽까지 서북인도에 전해졌다는 것입니다. [다카사키 지키도 외, 위의 책, p.31]
또 다른 근거는 화엄경의 최초 번역자가 꾸샤나(貴霜, 중국에서는 大月氏로 알려져 있음) 왕조, 즉 월지국(月支國)의 지루가참(支婁迦讖)이며, 그 후에도 지겸(支謙)이나『60화엄』을 중국으로 가져온 지법령(支法領)도 월지국 사람이며, 축법호(竺法護)도 또한 월지국 사람이었습니다. 또한『80화엄』의 역자 실차난타(實叉難陀)도 코탄 출신이었다는 것입니다. 화엄종의 대성자인 법장(法藏)도『화엄경문의강목(華嚴經文義綱目)』에서 동진시대의 지법령이 코탄에서『화엄경』을 중국으로 가지고 왔다고 했습니다. 이와 같이 현존하는『화엄경』은 코탄에서 편찬되었으며, 그것이 중국으로 전해져 화엄종을 성립시키게 되었던 것입니다.
중국의 화엄종은 두순(杜順, 557-640)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제자인 지엄(智儼, 602-688)을 거쳐 법장(法藏, 643-712)에 이르러 완성되었습니다. 고래로 화엄종의 조통설(祖統說)은 제1조를 두순, 제2조를 지엄, 제3조를 법장으로 하는 종밀(宗密)의 3조설에서 시작된 후, 제4조에 징관(澄觀), 제5조에 종밀을 덧붙인 5조설과 그 외에 두순 앞에 인도의 마명과 용수를 놓는 7조설이 있습니다. 일본의 불교학자 기무라 기요타카(木村淸孝)는 이 가운데 7조설에서 맨 앞의 2조는 오히려 신앙적 입장에서 종문(宗門)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그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세운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다카사키 지키도 외, 위의 책, p.280]
일반적으로 인도에서의 화엄교가로 나가르주나(龍樹)와 와수반두(世親)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나가르주나는 붓다가 열반한지 600-700여 년 후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화엄사상 뿐만 아니라 대승불교사상의 전반에 걸쳐서 괄목할 만한 연구 업적으로 남겼기 때문에 후대에 팔종(八宗)의 조사로 존경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화엄과 관계되는 그의 저술로는『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1권이 있습니다. 또한 와수반두는『십지경론(十地經論)』을 지었는데, 이 책은 중국에 전래되어 지론종(地論宗)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그에게는『십지경론』 이외에『정토론(淨土論)』도 있습니다. 여기서 와수반두는 화엄의 연화장세계와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는 둘이 아니며, 화엄경의 비로자나불과 극락세계의 아미타불은 서로 다르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불교교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p.224]
중국 화엄종의 개창자로 불리고 있는 두순은 학문적인 이론가나 저술가라기보다는 실천을 중요시한 두타행자(頭陀行者)나 보현행자(普賢行者)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은『법계관문(法界觀門)』입니다. 두순의 제자인 지엄은 화엄경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화엄교가였습니다. 그의 저술로는『화엄경공목장(華嚴經孔目章)』4권,『오십요문답(五十要問答)』2권,『일승십현문(一乘十玄門)』1권,『육상장(六相章)』1권,『화엄경수현기(華嚴經搜玄記)』9권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수현기(搜玄記)』는『60화엄경』에 대한 최초의 주석서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습니다. [불교교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p.225]
한편 지엄의 제자 중 의상(義相, 625-702)은 한국의 신라 출신으로서 668년에 귀국하자, 한국의 화엄종을 최초로 설립하였습니다. 그러나 제3조인 법장(法藏, 643-712)이 화엄종의 실질적인 창시자였습니다. 이 학파의 철학을 최종적으로 체계화한 것은 그의 공로이기 때문입니다. 그의 활동은 저술에서 뿐만 아니라 번역과 강의에서도 두드러졌습니다. [다카쿠스 준지로, 앞의 책, p.149]
법장 문하에 있었던 신라의 심상(審詳)이 74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서 처음으로 화엄사상에 대해서 강의하였습니다. 또 다른 제자 징관(澄觀, 760-820)은 법장의 다른 제자인 혜원(慧苑)의 이론(異論)을 반박하는 데 전념하여 스승의 교의를 본래의 순수한 상태로 회복하였으므로, 화엄종의 제4조로 추앙되었습니다. [다카쿠스 준지로, 위의 책, p.150]
4. 화엄교학의 중심사상
『화엄경』에는 불신(佛身) · 보살(菩薩) · 유심(唯心) · 연기(緣起) · 정토(淨土) 등 여러 사상들이 설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특히 성기사상(性起思想)과 법계연기(法界緣起)는 화엄사상의 특징을 극명하게 드러낸 것입니다.
십현연기(十玄緣起)와 육상원융(六相圓融)은 법계연기의 구체적인 모습입니다. 법계연기는 네 가지 법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째, 사법계(事法界)는 모든 현상적이고 차별적인 세계를 말합니다. 둘째, 이법계(理法界)는 사법계를 성립시키는 본체계이고 평등한 세계를 가리킵니다. 셋째, 이사무애 법계(理事無碍法界)는 이와 사, 즉 본체와 현상이 둘이 아닌 것임을 설명합니다. 마치 파도와 물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넷째, 사사무애(事事無碍)는 현상계가 그대로 절대적인 진리의 세계라는 것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편,『불교의 이해와 신행』(서울: 조계종출판사, 2004), p.136]
즉 중중무진(重重無盡)한 연기의 세계는 현상적으로 보면 개개의 사물들이 서로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개체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가 상관관계에 놓여 있다는 설명입니다. 마치 바다의 섬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바다 밑으로 보면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도 같다는 뜻입니다. 이것을 인다라망(因陀羅網)에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하는데, 이른바 일즉다 다즉일(一卽多多卽一)이라고 표현되는 사상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름 모를 풀 한 포기에서 우주 전체의 모습을 보고 그 풀잎에 맺혀있는 한 방울의 이슬에서 온 중생의 아픔을 느끼는 원리인 것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편, 위의 책, pp.136-137]
- 이상은 <법회와 설법> 통권 제182호, 2010년 07월호, pp.10-12 -
가져온 곳 : 블로그 >팔리문헌연구소/ 글쓴이 : 마성 -
<화엄사상(華嚴思想)>
<화엄경>은 화엄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준말이며, 범어로는 Mahavaiplya-buddha-ganda-vyuha-sutra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대(大)는 소(小)에 대한 상대적인 입장이 아니라 절대적인 대(大), 상대가 끊어진 극대를 말한다.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초월한 절대의 대(大)라고 할 수 있다. 방광(方廣)이란 넓다는 뜻인데 특히 공간적으로 넓다는 뜻이다. 따라서 ‘대방광(大方廣)’이란 크고 넓다는 뜻으로 붓다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다.
그러므로 대방광불이란 한량없이 크고 넓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절대적인 붓다를 말한다. 그 붓다를 <화엄경>에서는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화엄(華嚴)이란 잡화엄식(雜華嚴飾)에서 나온 말이다. 화엄을 범어로는 Ganda-vyuha라고 하는데 Ganda란 잡화(雜華)라는 뜻이고, vyuha란 엄식(嚴飾)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화엄이란 잡화엄식이라는 말 그대로 갖가지의 꽃을 가지고 장엄한다는 뜻이다. 요약해서 말하면 <대방광불화엄경>은 광대무변하게 우주에 편만해 계시는 붓다의 만덕(萬德)과 갖가지 꽃으로 장엄된 진리의 세계를 설하고 있는 경이라고 할 수 있다.
화엄부 경전 자체 내에서도 설처(說處)가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보리도량이며, 설한 시기도 성도 직후로 되어 있다. <팔십화엄>에는 시성정걱(始成正覺)이라 하고, <육십화엄>에도 시성정각이며 세친이 지은 <십지경론>의 저본이 된 <십지경>에는 제이칠일(第二七日)이라고 하였다. 또 천태교판에서도 <화엄경>을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후 최초 삼칠일 즉 21일 동안 말씀하신 경이라고 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경전의 한역본으로는 60권, 80권, 40권으로 된 <육십화엄>, <팔십화엄>, <사십화엄> 등 3부 <화엄경>이 있다. <육십화엄>은 동진시대에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에 의해 418에서 420년에 번역되었고 교정을 거쳐 421년에 역출되었다. 이를 진본(晋本)이라 하고 또는 화엄대경 중 먼저 번역되었다고 하여 구경(舊經)이라고도 부른다. <팔십화엄>은 대주(大周)시대 실차난타(實叉難陀)에 의해 역출되었으며 이를 주본(周本) 또는 신경(新經)이라 한다. <사십화엄>은 당의 반야(般若)가 798년에 역출하였으며 입법계품의 별역으로 <입불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可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이 본래의 이름이다.
그러나 <육십화엄>이나 <팔십화엄>은 처음부터 대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화엄경>을 구성하고 있는 각 품이 별행경으로 먼저 성립되어 있었으며, 그 지분경을 모아 어떤 의도하에 조직적으로 구성한 것이 웅대한 화엄대경인 것이다.
<법계연기(法界緣起)>
중국 화엄종에서는 화엄을 별교일승원교(別敎一乘圓敎)이며 원명구덕종(圓明具德宗)으로 보고 있으며, 그 화엄세계는 법계연기의 세계라고 보고 있다. <화엄경>의 불보살세계를 ‘인과연기 이실법계(因果緣起 理實法界)’의 법계연기로 나타낸 것이 화엄종의 종취라고 화엄종의 대성자인 법장은 밝히고 있다. 이러한 법계연기설은 청량을 거쳐 규봉종밀대에 와서 사종법계설로 확정된다.
종밀은 <주법계관문>에서 청량징관의 <화엄경소>를 인용하면서 사종법계의 의의를 설파하고 있는 것이다. <주법계관문>은 두순이 지었다고 하는 <법계관문>을 종밀이 주석한 것이다.
<법계관문>에서는 진공관, 이사무애관, 주변함용관의 법계삼관을 설하고 있다. 먼저 진공관(眞空觀)은 모든 법은 실성이 없어 유(有)와 공(空)의 두 가지 집착을 떠난 진공인 줄을 관함이다. 다음 이사무애관(理事無碍觀)은 차별있는 사법(事法)과 평등한 이법(理法)은 분명하게 존재하면서도 서로 융합하는 것임을 관함이다. 끝으로 주변함용관(周遍含容觀)은 우주간의 온갖 사물이 서로서로 일체를 함용하는 것으로 관함이다.
지엄은 법계연기를 보리정분의 정문(淨門)연기와 범부염법의 염문(染門)연기로 나누고 있다. 법장은 <오교장>에서 법계연기를 과분불가설(果分不可說)과 인분불가설(因分不可說)로 나누고 그것이 십불자경계(十佛自境界)와 보현경계(普賢境界)라고 하고 있다. 종밀에 이르러서는 사종법계설로 발전하게 된다. 여기서 법계란 Dharma-dhatu의 번역어로 연기 현전하는 우주만유이다. 이 법계의 체는 일심(一心)인데 원명구덕의 일심이며, 총해만유(總該萬有)의 일심이다. 따라서 법계란 일심체상에 연기하는 만유이다. 그래서 우주만유의 낱낱 법이 자성을 가지고 각자의 영역을 지켜 조화를 이루어가는 것을 법계라 한다. 이 법계를 설명하는데 사(事)와 이(理)의 구별을 세워 논한 것이 사종법계설인 것이다.
사종법계는 사(事)법계, 이(理)법계, 이사무애(理事無碍)법계, 사사무애(事事無碍)법계이다. 이 네 가지 법계설은 모든 우주는 일심에 통괄되고 있으며, 이 통괄되는 것을 현상과 본체의 양면으로 관찰하면 네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이 중에서 화엄의 무진법계는 사사무애 법계를 말한다. 사(事)법계는 모든 차별있는 세계를 가리킨다. 사(事)란 현상, 사물, 사건 등을 계(界)란 분(分)을 뜻한다. 낱낱 사물은 인연에 의해 화합된 것이므로 제각기의 한계를 가지고 구별되는 것이다. 개체와 개체는 공통성이 없이 차별적인 면만을 본 것이다. 이(理)법계는 우주의 본체로서 평등한 세계를 말한다. 이(理)는 원리, 본체, 법칙, 보편적 진리 등을, 계(界)란 성(性)을 가리킨다. 궁극적 이(理)는 총체적 일심진여이며, 공(空)이며 여여(如如)이다. 우주의 사물은 그 본체가 모두 진여라는 것으로 개체와 개체의 동일성, 공통성을 본 것이다. 이사무애(理事無碍) 법계는 이와 사, 즉 본체계와 현상계가 둘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걸림없는 상호관계 속에 있음을 말한다.
법장은 <금사자장>에서 금사자의 비유를 들어 이를 설명하고 있다.
금이라는 금속은 이(理)의 미분화된 본체를 상징하며, 사자라는 가공품은 분화된 사(事) 혹은 현상인데, 사자가 금에 의존하여 표상되고 있음이 바로 이사무애의 경계라는 것이다.
사사무애(事事無碍) 법계는 개체와 개체가 자재 융섭하여 현상계 그 자체가 절대적인 진리의 세계라는 뜻이다. 제법은 서로서로 용납하여 받아들이고 하나가 되어 원융무애한 무진연기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곧 화엄의 법계연기이다. 이 사사무애(事事無碍)의 세계는 이사무애(理事無碍)를 바탕으로 하여 의지의 전환이 있어야 가능한 직접적인 깨달음의 세계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체험과 실천행을 통해 현현하는 세계이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 늘 그렇게 있는 세계이나 이해나 검증의 문제가 아니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 현실화해야 하는 세계이다.
<십현연기(十玄緣起)>
사사무애(事事無碍)의 법계연기를 체계적으로 관찰한 구체적 설명이 십현연기와 육상원융(六相圓融)이다.
십현연기는 십현문(十玄門)이라고도 한다. 십(十)은 원만구족의 만수(滿數)이고, 현(玄)은 현묘, 문은 사사무애법문이다. 10가지 심오한 신비의 무애세계라는 의미를 지닌 말이다. 십현문이 설해지고 있는 중국 화엄전적으로는 지엄의 <화엄일승십현문>, <수현기>와 법장의 <화엄오교장>, <화엄경문의강목>, <금사자장>, <탐현기>와 징관의 <화엄경소>, <현담>, <화엄약책> 그리고 종밀의 <원각경대소> 등이 대표적이다.
법장은 <화엄오교장>에서는 스승인 지엄의 십현문설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나 <탐현기>에서는 그것을 약간 수정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래서 <탐현기> 이후에 보이는 십현설을 신십현(新十玄)이라 하고 그 이전의 십현설을 고십현(古十玄)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신십현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신십현은 ① 동시구족상응문, ② 광협자재무애문, ③ 일다상용부동문, ④제법상즉자재문, ⑤ 은밀현료구성문, ⑥ 미세상용안립문, ⑦ 인다라망경계문, ⑧ 탁사현법상해문, ⑨ 십세격법이성문, ⑩ 주반원명구덕문이다. 이 가운데 광협자재무애문과 주반원명구덕문은 고십현에서의 제장순잡구덕문과 유심회전선성문을 고친 것이며, 은밀현료구성문은 고십현의 비밀은현구성문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① 동시구족상응문(同時具足相應門)은 십현연기의 총설이다. 동시는 선후가 없음을 밝히는 것이고, 구족은 모두 섭수하여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일체 제법이 열 가지 뜻을 동시에 구족해서 상응하여 원만히 조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열 가지 뜻이란 교의(敎義), 이사(理事), 경지(境地), 행위(行爲), 인과(因果), 의정(依正), 체용(體用), 인법(人法), 역순(逆順), 감응(感應)이다.
② 광협자재무애문(廣狹自在無碍門)은 연기 제법에 각각 광협이 있으면서도 무애하다는 것이다. 이는 간격이 멀든 가깝든 간에 모든 존재들이 아무런 장애가 없다는 뜻이다. 광(廣)은 밖이 없다는 무외(無外)의 뜻으로 넓음이란 한계를 갖고 있지 않아 밖이 없는 것이다. 협(狹)은 안이 없다는 무내(無內)의 뜻으로 가장 좁음이란 그 자체 안에 공간을 갖고 있지 않아 안이 없다는 것이다. 큰 것과 작은 것에 자성이 없기 때문에 큰 것과 좁은 것이 서로가 서로를 포섭하는 것이다. 좁은 것과 넓은 것은 하나와 전체로 말할 수 있으므로 서로 자유롭게 구애됨이 없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이는 고십현에서 제장순잡구덕문(諸藏純雜具德門)이다. 순수한 것과 잡된 것이 본분위를 보존하면서 동시에 일념에 구족하여 원융무애하다는 의미이다. 순수한 것과 잡된 것이 섞여 있으니 순수한 것은 순수한 대로 잡된 것은 잡된 대로 제자리에 있다는 말이다.
③ 일다상용부동문(一多相容不同門)은 하나와 전체가 서로 용납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는 전체에 들고 전체는 하나에 녹아 있어 무애자재하다. 그래서 하나 가운데 전체이고 전체 속의 하나이다. 그러면서도 각기 나름대로의 개성으로 본래의 면목을 보유하고 있다. 하나와 전체가 혼란되지 않는 상입(相入)을 말한다. 상입이란 이것과 저것이 서로 용납하고 받아들여 걸림없이 융합하는 것이다. 하나란 하나라는 자성을 가진 확정적인 하나가 아니라 연기한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나 가운데 전체이고 전체 속의 하나이지만, 하나는 하나로서 전체가 아니고 전체는 전체로서 하나가 아니다. 하나는 전체가 아니고 전체도 하나가 아니다. 각각 제 나름대로의 개성으로 본래의 면목을 보유하고 있다.
④ 제법상즉자재문(諸法相卽自在門)은 모든 요소들이 서로 동일시되는 것을 말한다. 궁극적인 차별로부터의 자유이며 자신을 부정하고 스스로를 타자와 동일시함으로써 종합적인 동일화가 이루어진다. 서로 비춰보고 서로 동일시한 결과 함께 조화하여 움직인다. 상입(相入)이 이것과 저것이 서로 걸림없이 융합하는 묘용(妙用)의 측면이라면, 상즉(相卽)은 서로 자기를 폐(廢)하여 다른 것과 같아지는 체(體)의 측면이다. 두 가지가 하나로 융합하는 즉(卽)은 물과 물결처럼 한 물건의 체 그대로가 다른 물건인 뜻으로 말하는 ‘즉’이다.
⑤ 은밀현료구성문(隱密顯了俱成門)은 고십현에서 비밀은현구성문(秘密隱顯俱成門)이다. ‘비밀은’과 ‘현’으로 된 것을 ‘은밀’과 ‘현료’로 정리한 것이다. 비밀 즉 숨은 것과 현료 즉 드러난 것이 함께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금사자장>에서는 우리가 금사자를 접할 때 사자로서 사자를 볼 때는 사자 뿐이고 금은 없으며, 금을 볼 때는 단지 금뿐이고 사자는 없으나 금사자는 금과 사자를 합하여 성립된 것이라고 한다.
<화엄현담>에서는 반달의 예를 들고 있다. 반달은 반은 빛나고 반은 어둡다. 그러나 감춰진 반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달을 지구에서 보면 큰 공만하게 보이지만 실제로 작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달 자체가 늘어났다 줄어들지 않는다. 그 반달은 밝음과 어둠이 함께 할 뿐만 아니라 밞음 아래에 어둠이 있고 어둠 아래에 밝음이 있다. 하나로 많은 것을 섭수하면 하나는 드러나고 많은 것은 가리워진다. 많은 것이 하나를 거두어 들이면 많은 것은 드러나나 하나는 가리워진다. 한 터럭이 법계를 섭수하면 곧 나머지 터럭의 법계는 모두 가리워지고 나머지 낱낱 터럭의 가리워지고 드러남도 또한 그러하다. 한 편은 보이고 한 편은 보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둘다 갖추어져 있어서 하나가 성립되면 다른 쪽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⑥ 미세상용안립문(微細相容安立門)은 미세한 것의 신비를 말하는 것이다. 미세란 인간의 이해가 닿는 곳을 넘어서 고도로 작고 정밀하다는 의미이다. 하나가 능히 많은 것을 함용하므로 상용(相容)이라고 하고, 하나와 많은 것이 섞이지 않으므로 안립(安立)이라고 한다. 무한세계가 작은 먼지나 티끌 속에 존재하며, 이들 세계의 일체 먼지 속에 또다시 무한세계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일념 중에 모든 것을 구족하여 가지런히 나타나 명료하지 않음이 없음을 겨자씨를 담은 병에 비유하기도 하고 화살이 빽빽히 꽂친 화살통에 비유하기도 한다.
⑦ 인다라망경계문(因陀羅網境界門)은 인다라망의 비유에 의해 상호 반영의 이론을 말하는 것이다. 제석천 궁전에 걸린 보배망의 각 보배구슬마다 서로 다른 일체 구슬이 비쳐 무진한 것처럼 법계의 일체도 중중무진(重重無盡)하게 연기상유(緣起相由)하여 무애자재하다.
⑧ 탁사현법생해문(託事顯法生解門)은 모든 연기된 존재가 그대로 법계법문임을 말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는 그 당체가 그대로 연기 현전한 것이므로 두두물물이 다 비로자나 진법신 아님이 없다는 것이다. 비유는 곧바로 법의 상징이고, 법이 비유이고 비유가 곧 법이다.
⑨ 십세격법이성문(十世隔法異成門)은 십세가 시간에 체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즉, 상입하여 하나의 총합을 이루지만, 그러나 전후 장단의 구별이 뚜렷하여 질서가 정연한 것을 말한다.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三世)에 각각 삼세가 있어 구세(九世)가 되고 그 구세는 한 생각 일념에 포섭되므로 십세(十世)이다. 또 일념을 열면 구세가 되므로 합하여 십세가 된다. 그래서 일념이 십세무량겁이고 무량겁이 일념이지만 십세는 낱낱이 서로 혼잡함이 없이 완연히 구별되어 있는 것이다.
⑩ 주반원명구덕문(主伴圓明具德門)은 주체와 객체가 조화롭게 함께함을 말하는 것이다. 그 어떤 존재도 홀로 생겨나는 것은 없다. 우주법계에는 어느 한 사물도 홀로 생겨나 존재하는 것이 없으며 서로 주인이 되고 객이 되어 모든 덕을 원만히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고십현의 유심회전선성문(唯心廻轉善成門)을 바꾼 것이다.
<육상원융(六相圓融)>
십현연기와 더불어 육상원융 또한 화엄무진연기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또 다른 측면으로 중시되고 있다. 육상이란 총상(總相), 별상(別相), 동상(同相), 이상(異相), 성상(成相), 괴상(壞相)을 말한다. 이는 총별, 동이, 성괴라는 세 쌍의 대립되는 개념이나 모습이 서로 원융무애한 관계에 놓여 있어 하나가 다른 다섯을 포함하면서도 또한 여섯이 그 나름의 모습을 잃지 않음으로써 법계연기가 성립한다는 설이다.
모든 존재는 다 총상, 별상, 동상, 이상, 괴상, 성상의 육상을 갖추고 있다고 본다. 이 육상은 서로 다른 상을 방해하지 않고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이 일체가 되어 원만하게 융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연기로써 이루어진 모든 존재는 반드시 여러 가지 연(緣)이 모여 성립된다. 그러므로 거기에 성립된 총상(總相)은 부분을 총괄하여 전체를 만들고 있다. 또 별상(別相)은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과 부분을 말하는데 이것이 총상에 의지하여 원만하고 완전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총상이 없으면 별상이 없고 따라서 총상 밖에 별상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동상(同相)이란 별상의 하나하나가 서로 조화되어 모순되지 않고 성립되는 힘을 균등하게 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상(異相)이란 별상이 서로 혼동되지 않고 있으면서 제각기 상을 잃지 않고 조화되어 있는 모양이다. 성상(成相)이란 별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총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것을 부분이 다만 집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모여서 하나의 전체를 성립시키고 있는 것이다. 괴상(壞相)은 별상이 총상을 성립시키면서도 별상 제각기의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총상의 모양으로 혼융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법장은 <오교장>에서 육상을 집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가령 총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등을 총괄하고 있는 것을 말하고, 별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그 자체를 이른다. 동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등이 서로 힘을 합쳐 집을 조립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 이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등은 각각 가로와 세로로 되어 있어 다른 유형이 되고 있음을 말한다. 또 성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등이 각각 인연이 되어 집을 완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 괴상은 기둥, 석가래, 대들보 등이 집을 조립하여 성립시키고 있으면서도 각각 자기의 본 모양을 그대로 지키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육상의 관계를 체상용(體相用)의 관계로 나누어 보면 총상과 별상은 연기의 체(體)라고 보고, 동상과 이상은 연기의 상(相)이라고 하고, 성상과 괴상은 연기의 용(用)이라고 할 수 있다.
임기영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dlpul1010/2356 에서 복사한글임을 밝힙니다.
'화엄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방광불화엄경 (0) | 2020.06.14 |
---|---|
80화엄경의 구성(7처 9회 39품) / 60화엄경의구성 / 80화엄과 60화엄의비교 (0) | 2020.05.03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0) | 2020.02.23 |
화엄경(입법계품)53선지식 (0) | 2020.02.23 |
화엄경십지품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