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승불교와 대승불교〕중에서.
선(禪)의 공안 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여기에서 선의 공안을 인용하는 것은 이야기를 매우 비약시키는 감이 있지만 아라한이 무엇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인용해 보기로 한다. ‘파자분암’의 공안은 다음과 같다.
청정한 수행승이 있었다. 그의 생활은 바로 성자 그 자체였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청정한 수행승에게 한 노파가 홀연히 찾아왔다. 그녀는 수행승에게 그 후로 20년 동안 공양을 했다. 수행승은 공양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었다.
20년이 지난 다음 노파는 “이제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노파는 아리따운 처녀를 수행승이 있는 곳으로 보내 그녀로 하여금 수행승을 유혹하라고 시켰다.
“저를 안아 주세요···”라고 처녀는 수행승을 유혹했다. 그러나 수행승은 과연 청정했다. 그는 처녀에게 답했다.
“고목한암(枯木寒巖)하여 삼동(三冬)에는 온기가 없다.” 즉 절벽에 서 있는 고목나무는 겨울 3개월 동안 온기가 없는 것처럼 나의 마음은 깨달음을 얻어 차갑고, 청정하다고 수행승은 말했다. 흡사 고고하다고 박수갈채를 보내기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싶게···.
그러나 처녀에게 이야기를 전해 들은 노파는 몹시 화를 냈다.
“아이구 맙소사, 겨우 그 정도인 것을···. 20년 동안 그런 속물에게 공양을 했다니.”
화가 난 노파는 수행승을 암자에서 쫓아내 버리고, 그 암자에 불을 질러 버렸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주지한 대로 이것은 선의 공안이다. 공안이란 쉽게 말해 시험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처녀의 유혹을 받았을 때 어떻게 응해야 했을까? 선은 우리들에게 해답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차려 놓은 밥상도 먹지 못하는 것은 남자의 수치라 하여 그 유혹에 넘어갔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속인이기 때문에 가능하지, 수행승이 그런 행동을 했다면 파계승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한다. 수행승으로서 마땅히 ‘고목한암’이라고 대답했음에도 불구하고 암자에서 쫓겨났을 뿐만 아니라 노파에게 ‘이 속물!’이라는 경멸을 당해야만 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역시 우리와 같은 속인들은 대답이 궁해진다. 이 선의 공안에 대답한다는 것은 선을 하지 않은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는 무리이다.
그러나 딱 하나, 우리 같은 속인도 말할 수 있는 것은 역시 그 수행승에 대한 불만이다. 참을 수 없는 일을 억지로라도 참았다. 아무리 청정한 승이라 해도 어차피 당신 역시 인간이 아니겠는가?! 당신의 그 얼굴가죽을 벗겨 버리고 싶다···. 나는 그 청정한 수행승에게 이런 불만을 느꼈다.
사실 후대에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는 대승불교는 소승불교의 이러한 점에 대해 서슴없이 모멸감을 드러낸다. 석존의 광대한 가르침을 전승했다는 제자들이 겨우 아라한이라는 저차원의 목표에 급급해 하고 있는 모습에 대해 후세의 대승불교도들은 불만과 경멸감을 느꼈다. 석존의 가르침은 한층 더 무애한 것이 아니었을까?! 그런 대승불교도의 마음이 지금 서술한 ‘파자분암’의 공안에 잘 표현되어 있다.
아라한은 인간의 내면에 있는 모든 번뇌를 눌러 없앤 성자이다. 차가운 성자! 대승불교도들은 바로 이러한 아라한을 경멸했다.
그러나 석존의 직계제자들은 아라한을 이상적인 성자로 여겼으며 아라한을 궁극의 목표로 하여 끊임없이 수행했다.
(히로사치야 저, 강기희 번역,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민족사, 1994)에서 인용.)
여진무애현오상수 성상구가 적었음.
[출처]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중에서|작성자 철인
'지혜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무난 유혐간택(至道無難 唯嫌揀擇)> (0) | 2020.06.28 |
---|---|
승조 - 반야무지론 (0) | 2020.06.14 |
말과 침묵, 그리고 이심전심의 소통 / 윤종갑 (0) | 2020.05.17 |
연회국사,허응당 보우,서산 휴정,사명 유정,벽암 각성,남호 영기,청호,한암 중원,운허 용하,금오 태전,청담 순호,서운,임성,석주 정일,금하 광덕 (0) | 2020.05.17 |
불취외상 자심반조(不取外相 自心返照) (0) | 202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