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성제(滅聖諦)는 고의 원인인 번뇌가 소멸된 경지 곧 열반을 뜻하는 말이다. 소멸되어 없어졌다는 뜻이다. 보통 열반을 범어의 음대로 니르바나(Nirvana)로 읽는 수가 있는데 이 어원이 가지고 있는 뜻은 ‘불어서 껐다’는 뜻이다. 불이 붙고 있는 상태에서 그 불꽃을 불어서 꺼버렸다는 말로 번뇌 또는 욕망을 불꽃에 비유하여 그것을 꺼버렸다는 것이다. 때로는 적멸(寂滅), 원적(圓寂) 등으로 의역하기도 하는데 고요해진 상태로 번뇌에서 벗어나 영원하고 무한한 고요한 경지에 들어간 것을 말한다. 이것이 열반에 들어가는 것이다. 말하자면 니르바나(Nirvana)는 불교에서 제시하는 이상향(Utopia)이다. 이 열반에 들어갔을 때 이 세상의 모든 고통은 없어지고 운명의 굴레도 벗어난다는 것이다.
불교는 중생들을 나고 죽는 생사의 운명에 갇혀 있는 존재, 곧 감옥에 갇혀 있는 상태와 같다고 비유하여 말한다. 대승경전인 『법화경(法華經)』에서도 중생의 생사를 거듭하는 세계,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 세계는 편안하지 못한 고통의 세상이라고 한다. 마치 불이 붙는 집 안에 갇혀 타 죽을 신세가 되어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삼계무안유여화택(三界無安猶如火宅)’이라는 경전의 구절이 이 뜻을 말하고 있다. 때문에 불교의 근본사상은 해탈과 열반을 얻자는 것으로, 스스로의 운명의 한계를 벗어난다고 하느냐고 의문스러워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러나 수도의 길, 성불의 길은 분명히 부처님 세계를 향하여 이 세상의 운명에서 초월하는 것이다. 육체 생활이 인생의 전부인 줄 알아버릴 때는 육신이 남(生)과 죽음(死)으로써 인생은 운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중국 당나라 때 도림(道林) 선사와 백낙천(白樂天) 사이에 있었던 일화가 하나 있다. 한때 도림 선사가 깊은 산 속의 나뭇가지 위에 올라앉아 공부를 한 적이 있었다. 나뭇가지 위에 앉아 좌선을 하고 있으면 그 모습이 마치 까치집처럼 보인다 하여 작소(鵲巢) 스님이란 별호를 얻기도 하였다. 이 스님에 대한 소문이 사방에 퍼져 마을 사람들의 칭찬과 경탄이 자자하였다. 큰도인인 스님이 나뭇가지 위에 앉아 도를 닦는데 그 모습이 참으로 비범하고 신기하다는 것이었다.
마침 당대의 문장가요 대시인이었던 백낙천이 이 소문을 듣고 우정 도림 선사를 찾아가게 되었다. 그가 산 속의 나무 밑을 찾아갔을 때 듣던 대로 도림 선사는 나뭇가지 위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 좌선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때마침 바람이 불어 나뭇가지가 흔들렸다. 이 광경을 본 백낙천이 혹시 사람이 떨어져 다칠까 걱정이 되어 위험하다고 외치면서 빨리 내려오기를 권했다. 그러나 도림 선사는 묵묵부답하며 내려오지 않았다. 걱정이 된 백낙천이 거듭 위험함을 알리며 내려오기를 권했더니, 나뭇가지 위에서 도림 선사가 하는 말이 “위험한 건 내가 아니고 바로 그대일세.”라고 하는 것이었다. “아니 나는 땅 위에 있어 떨어질 염려가 없거니와 흔들리는 가지에 앉아 있는 스님이 위험하지 왜 날더러 위험하다 하시오?”
“나는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하여 위험을 느끼지 않거니와 흔들리는 가지에 마음이 흔들리어 위험을 느끼는 쪽은 그대가 아닌가?” 이 말을 들은 백낙천이 할 말을 잊고 잠시 멍해져 버렸다는 고사가 있다.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은 ‘번뇌가 쉬었다. 혹은 없어졌다’는 뜻이다. 번뇌가 없어지면 이 세상에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 될 것이다. 그래서 열반을 적멸(寂滅)이라 번역한다. 고요하여 아무 것도 없다는 뜻이다.
마지막 도성제(道聖諦)는 멸성제(滅聖諦) 곧 열반에 이르는 길을 밝혀 놓은 것이다. 어떻게 하면 고의 원인을 없애고 열반을 얻을 수 있는가. 그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한 것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하는 평범한 윤리적인 방법과 특수한 선정을 닦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것을 팔정도(八正道, Aryastnga-marga)라고 하는데 여덟 가지 바른 길을 닦아 가면 멸성제(滅聖諦)를 이룬다는 것이다.
먼저 정견(正見)을 가지는 일이다. 정견(正見)이란 올바른 견해를 가지고 진리를 바로 믿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의 정법대로 인생과 세상을 바로 보는 것이다. 이 정견을 항상 바르게 생각하여 망각하지 않는 생활을 하면 바른 생활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정념(正念)과 정명(正命)이다. 명(命)이란 생활을 뜻하는 말이다. 바른 생활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지극히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차원에서 선을 행하는 것을 두고 말하고 있다. 정업(正業)과 정어(正語)와 정사유(正思惟)가 정명(正命)을 이루게 하는 구체적인 것으로, 몸으로 하는 행위인 죽임[殺生]과 도둑질[偸盜]과 사음(邪淫)의 나쁜 행위를 일체 금하는 것이다. 말을 할 적에 거짓말[妄語], 이간질하는 말[兩語], 비단같이 번지르르하게 아첨을 하거나 남을 꾀는 말[綺語], 상스런 욕설[惡語] 따위를 금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사유(正思惟)는 마음속의 생각에 욕심[貪], 성냄[瞋], 어리석음[癡]을 없애는 것이다. 이것은 신(身)·구(口)·의(意) 삼업(三業)에서 나쁜 악업을 짓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특별한 방법으로 선정을 닦아 마음을 항상 고요히 집중·통일되게 가지는 것이다. 이 팔정도(八正道)는 불교의 기본 생활규범으로 내면적이고 자율적인 선의지(善意志)의 발로(發露)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악업(惡業)을 멀리하고 선업(善業)을 행해야 수행의 공덕이 성취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서 정각을 얻게 된다는 말이다.
불교의 수행은 먼저 윤리정신에 입각한 계행(戒行)과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을 정화시키는 선정(禪定)의 수행과 거기에서 얻어내는 맑은 지혜로 설명된다. 이것을 계(戒)·정(定)·혜(慧) 삼학(三學)이라 하는데 팔정도에서 이 삼학의 수련을 말하고 있다. 이 삼학은 현대적인 개념으로 달리 표현하자면 윤리와 신앙과 철학의 3가지 면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거듭 말하자면 불교라 하는 종교가 어떤 종교인가면 수행을 요구하는 종교인데 거기에 윤리와 신앙과 철학이 삼위일체(三位一體)로 갖추어졌다고 말할 수 있겠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3년 3월 (제28호)
[출처] 초기경전 (중아함경)|작성자 알아차림
'위없는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 (0) | 2021.01.03 |
---|---|
열반(涅槃) (0) | 2020.12.06 |
공(空) 의미의 세 차원 (0) | 2020.11.08 |
붓다의 핵심 가르침 셋 ; 삼법인(三法印) (0) | 2020.10.25 |
불교와 환경_ 불교의 가르침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