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불교 Early Buddhism

Re:초기불교 경전 목록(빠알리 삼장 목록)

수선님 2022. 7. 17. 12:26

불교 공부에 마음을 내신 이드 법우님께 찬탄 올립니다.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요. 대단한 마음을 내셨습니다.

 

먼저 이 글이 법우님을 더 혼란스럽게 할 것이 분명하여 주저하게 됩니다.

간단명료하게 정리된 목록이나 자료는 저 역시 제시해드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몇 가지 내용과 자료를 덧붙이기로 하였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지시면 중간에라도 읽기를 중단하셔도 좋습니다.

부담 없이 읽어주십시오.

 

불교 경전부터 읽고 싶은데 불교 경전은 어떤 것이 있고, 그중 어떤 경전을 먼저 읽어야 할지 초심자로서는 알기 어렵지요.

 

우선 기독교/천주교에는 성경, 이슬람교에는 코란이라는 공인된 경전이 있지만

불교라는 이름으로는 그런 종류의 경전을 찾기 어렵습니다.

(굳이 불교에 그런 경전이 있다면 아마도 니까야와 아함일 것입니다.)

 

불교의 종류를 대체적으로,

초기불교, 아비담마/아비달마(부파불교), 반야중관, 유식(유가행파), 여래장, 정토, 밀교, 선불교 등으로 분류하고들 있습니다.

왜 이렇게 분류하는지는 불교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대략적인 불교 역사는 아래 자료에 나와 있습니다.

이 자료에는 각 불교의 기본 경전들도 함께 소개되어 있습니다.

 

 

불교의 역사(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A%B5%90%EC%9D%98_%EC%97%AD%EC%82%AC

 

위 자료에도 나타나듯이 초기불교는 초기불교대로, 반야중관은 반야중관대로 그 근거로 삼는 경전이 동일하지가 않습니다.

 

니까야와 아함은 초기불교와 아비담마불교(부파불교),

금강경, 반야심경 등은 반야중관 불교에,

승만경, 혜심밀경, 능가경 등은 유식 불교에,

법화경, 화엄경 등은 여래장 불교에,

정토삼부경(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 등은 정토 불교에,

대일경, 금강정경 등은 밀교에 속하는 경전들입니다.

 

불교 역사부터 대략적으로 이해하셔야 혼란이 없을 듯합니다.

<인도불교의 역사>(/)(히라카와 아키라 저)라는 책을 보면 인도 불교 역사를 조망해보실 수 있습니다.

 

초기불전연구원에 대한 소개,

초기불전연구원에서 번역 출간한 책과 앞으로 번역할 책들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초기불전연구원 출판도서 안내] 불교의 뿌리 초기불전, 초기불전연구원이 옮깁니다

 

초기불전연구원은 빠알리 삼장의 한글 완역을 근본 설립 취지로 하고 있습니다.

빠알리 삼장이 무엇인지는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팔리 문헌의 조직(마성 스님)

 율장(律藏)(마성 스님)

 

'빠알리'와 '팔리'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 동일한 말입니다.

  

위 두 글을 비교해보시면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어느 것은 번역을 완료했고 어느 것은 아직 번역하지 않았는지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주석서류를 제외하고 빠알리 삼장에 대해서만 표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삼장(三藏, Ti-Piṭaka) 1. 율장(律藏, Vinaya-Piṭaka) 위나야(Vinaya, ) (1) 두 가지 위방가(Sutta-vibhaṅga, 경의 분석, 經分別)
1) 비구 위방가(Bhikkhu-vibhaṅga, 비구 계목).(비구 227)
2) 비구니 위방가(Bhikkhunī-vibhaṅga, 비구니 계목).(비구니 311)
아비위나야(Abhivinaya, 對律) (2) 칸다까(Khandhaka, 犍度, )
1) 마하왁가(Mahāvagga, 大品)
2) 쭐라왁가(Cullavagga, 小品)
(3)빠리와라(Parivāra, 補遺, 附錄)
2. 경장(經藏, Sutta Piṭaka) 담마(Dhamma, ) * 5부 니까야
(1)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長部)
(2)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中部)
(3) 상윳따 니까야(Saṁyutta Nikāya, 相應部)
(4) 앙굿따라 니까야(Aṅguttara Nikāya, 增支部)
(5) 쿳다까 니까야(Khuddaka Nikāya, 小部)
1) 쿳다까빠타(Khuddaka-pāṭha, 小誦經)
2) 담마빠다(Dhammapada, 法句經)
3) 우다나(Udāna, 自說經)
4) 이띠웃따까(Itivuttaka, 如是語經)
5) 숫따니빠따(Suttanipāta, 經集)
6) 위마나왓투(Vimānavatthu, 天宮事經)
7) 뻬따왓투(Petavatthu, 餓鬼事經)
8) 테라가타(Theragāthā, 長老偈經)
9) 테리가타(Therīgāthā, 長老尼偈經)
10) 자따까(Jātaka, 本生經)
11) 닛데사(Niddesa, 義釋)
 마하닛데사(Mahā-Niddesa, 大義釋)
 쭐라닛데사(Culla-Niddesa, 小義釋)
12) 빠띠삼비다막가(Paṭisambhidamagga, 無碍解道)
13) 아빠다나(Apadāna, 譬喩經)
14) 붇다왐사(Buddhavaṃsa, 佛種姓經)
15) 짜리야삐따까(Cariyāpiṭaka, 所行藏經)
16) 넷띱빠까라나(Nettippakaraṇa, 指導論)
17) 뻬따꼬빠데사(Peṭakopadesa, 藏釋論)
18) 밀린다빤하(Milindapañhā, 彌蘭陀王問經)
 마지막 3(지도론, 장석론, 밀린다빤하)는 논서의 성격을 가진 것인데 미얀마에서는 굿다까 니까야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판본에 따라 장외(藏外)로 분류하는 곳도 있다.
3. 논장(論藏, Abhidhamma-Piṭaka) 아비담마(Abhidhamma, 對法, 勝法) * 아비담마 칠론(七論)
(1)담마상가니(Dhammasaṅgaṇī, 法集論, 法聚論)
(2)위방가(Vibhaṅga, 分別論)
(3)다뚜까타(Dhātukathā, 界論, 界說論)
(4)뿟갈라빤냐띠Puggalapaññatti, 人施說論)
(5)까타왓투(Kathāvatthu, 論事, 論事論)
(6)야마까(Yamaka, 雙論, 雙對論)
(7)빳타나(Paṭṭhāna, 發趣論)
 7론을 제외한 나머지 논서들은 삼장의 앗타까타(aṭṭhakathā, 주석서)로 취급되며, 삼장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경전만 놓고 보면

초기불교의 기본 준거는 니까야(남방)와 아함(북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니까야는 5부로 되어 있는데, 현재 4부 니까야(디가 니까야, 맛지마 니까야, 상윳따 니까야, 앙굿따라 니까야)는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우리말로 완역을 하였습니다.

쿳다까 니까야’(북방의 소부)는 아직 번역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함은 동국역경원 등에서 우리말로 완역을 해놓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아함 이외에 법구경, 경집 등 소부의 경전들도 완역이 되었을 것입니다.

니까야와 아함에 대한 도표를 아래 덧붙입니다.

  

경장(經藏, Sutta Piṭaka)
5부 니까야(4+쿳다까) 약어 한글번역본(초불연) 남전대장경(일본) 전승 담당 대응 아함
 디가 니까야
(Dīgha Nikāya)
D. 길게 설하신 경 長部 아난다 존자의 제자들 장아함
長阿含
 맛지마 니까야
(Majjhima Nikāya)
M. 중간 길이로 설하신 경 中部 사리뿟따 존자의 제자들 중아함
中阿含
 상윳따 니까야
(Saṁyutta Nikāya)
S. 주제별로 모은 경 相應部 마하깟사빠 존자의 제자들 잡아함
雜阿含
 앙굿따라 니까야
(Aṅguttara Nikāya)
A. 숫자별로 모은 경 增支部 아누룻다 존자의 제자들 증일아함
增壹阿含
 쿳다까 니까야
(Khuddaka Nikāya)
K. (아직 번역 안 됨) 小部   法句經, 經集 등 부분적으로 번역됨

 

-------------------------------------------

 

구분 니까야 (Nikāya, ‘모은 가르침’) 아함 (阿含, agama, ‘전승된 가르침’)
전승 주체 남방 상좌부 북방 여러 부파(설일체유부, 법장부 등)
주석서 주석서 있음(청정도론이 기본 주석서 역할) 주석서 없음(아비달마 구사론등 논서 있음)
전승 언어 빠알리 어(원어) 한문(번역어) (빠알리어)산스끄리뜨어한문
내용  디가 니까야 34 64바나와라  장아함 (22 4 30, 法藏部 소속, 后秦佛陀耶舍·竺佛念 共譯 (AD. 412 ~ 413)
 맛지마 니까야 152 80바나와라  중아함 (60 5 221, 說一切有部 소속, 東晋瞿曇僧迦提姿 譯 (AD. 397 ~ 398)
 상윳따 니까야 7,762 100바나와라  잡아함 (50 1,362, 說一切有部 소속, 宋求那跋陀羅 譯 (AD. 435 ~ 443)
 앙굿따라 니까야 9,557 120바나와라  증일아함 (51권 약500, 大衆部 소속, 東晋瞿曇僧迦提姿 譯 (AD. 412 ~ 413)
 증일아함 (471, 소속부파 不明, 384 )
합계 17,505 364바나와라  

 삼장은 모두 2547개에 해당하는 바나와라를 가진다.

 

 

 

 

그 밖에 초기불교 이외의 불전들(예컨대 금강경, 화엄경 등 이른바 대승불교 경전 등)에 대해서는

초기불전연구원에서 번역한 것이 없습니다.

다만, 각묵 스님께서 금강경 역해’(불광출판사)라고 해서 금강경에 대해 번역하신 것은 있습니다.

초기불교 또는 빠알리 삼장 이외의 자료나 그 번역물에 대해서는

여기 초기불전연구원의 일차적인 관심사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른바 대승불교 경전 등에 대해서는 다른 곳에서 정리된 자료나 목록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초기불교를 공부하시려면 <초기불교 이해> <초기불교 입문>부터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둘 다 각묵 스님께서 쓰신 책입니다.

 

부족하나마 이렇게 답글을 대신하겠습니다.

유장한 마음으로 초기불교를 공부하셔서

금생에 해탈 열반의 튼튼한 토대를 만드시기 바랄게요.

반갑습니다.

 

자나난다 합장 올립니다

_()_ _()_ _()_

 

 

 

 

 

 

 

 

 

 

 

Re:초기불교 경전 목록(빠알리 삼장 목록)

불교 공부에 마음을 내신 이드 법우님께 찬탄 올립니다.시작이 반이라고 하지요. 대단한 마음을 내셨습니다. 먼저 이 글이 법우님을 더 혼란스럽게 할 것이 분명하여 주저하게 됩니다.간단명료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