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리기 쉬운 불교 한자용어]
---------◈-----------◈------------◈-----------
伽藍
읽기) 가람[ㅇ] 가감[x]
내용) 절의 다른 이름
迦葉
읽기) 가섭[ㅇ] 가엽[x]
내용)1. 과거 7불(七佛)중의 한 분
2. 마하가섭 마하가섭은 청정한 불도 수행인 두타행(頭陀行)의 제일.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분
참조) 葉은 나뭇잎 엽, 땅이름 섭, 책 접 등의 발음이 가능함.
甘露茶
읽기) 감로 다[ㅇ] 감로차[x]
내용) 부처님께 올리는 다수(茶水)
建幢
읽기) 건:당[ㅇ] 건동[x]
내용) 스님의 수행과 구도(求道)가 원만(圓滿)해지면 당(幢)을 세우고 법호(法號)를 주던 일.
참조) 幢: 깃발 당
乾屍厥
읽기) 간시궐[ㅇ] 건시궐[x]
내용) 화두(話頭)중의 하나
어떤 스님이 운문(雲門)스님에게 물었다.
"스님 무엇이 부처입니까?"
운문스님이 대답했다.
"간시궐이니라"
간시궐이란 똥막대기라는 뜻.
참조) 乾: 마를 건, 말릴 간, 하늘 건
揀擇心
읽기) 간택심(ㅇ) 연택심(x)
내용) 이것이다 저것이다를 분별하는 마음. 간택심이 심병(心病)의 원인이다.
開遮
읽기) 개차(ㅇ) 개서(x) 개:서(x)
내용) 열거나 닫음이라고 번역할 수 있으나,내용상으로는 계율을 지킴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허락하고 경우에 따라 금지함을 말함.
祇樹給孤獨園
읽기) 기수 급고독원(ㅇ) 지수급고독원(x) 기수급 고독원(x)
내용) 중인도(中印度)에 있는 성지(聖地) 이 땅은 처음 기타(祈陀)라는 태자의 소유였으나 급고독이란 장자가 사서 부처님께 바쳤다. 그로부터 기타 태자의 숲을 약하여 기수(祈樹)라 하여 급고독장자의 이름을 함께 넣어 기수급고독원이라고 했음.
참조) 祈:토지신 기, 조사 지
鳩摩羅什
읽기) 구마:라습(ㅇ) 구마라십(x)
내용) 인도의 학승(學僧).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인도변방을 칠 때 장안(長安)으로 잡혀와 많은 불교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함(344-413).
참조) 什은 십이라고 읽지 않고 습이라고 읽는데 주의할 것.
龜趺
읽기) 귀부(ㅇ) 귀실(x)
내용)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
南泉
읽기) 남전(ㅇ) 남천(x)
내용) 중국의 스님 (748-834)
참조) 泉:천이 아니고 전임에 특별히 주의할 것.
摩訶
읽기) 마하(ㅇ) 마가(x)
내용) 범어 Maha를 음역한 것. 번역하면 큰 대(大), 많을 다(多) 등의 의미.
내용) 1. 부처님이 성도(成道)한 장소
2. 불도를 닦는 곳
3. 일반적인 의미의 사찰
道場
읽기) 도:량(ㅇ) 도장(x) 도량(x)
도는 길게 읽어야 함. 수행이 으뜸인 분.
摩訶迦葉
읽기) 마하 가섭(ㅇ) 마가가엽(x)
내용) 부처님 10대 제자 중 청정
摩訶般若
읽기) 마하 반야(ㅇ) 마하 반약(x) 마가반약 (x)
내용) 크고 오묘한 지혜, 깨달음의 지혜
참조) 若: 같을 약, 건초 야, 땅이름 야
반야를 반약으로 읽지 말 것.
摩訶薩
읽기) 마하살(ㅇ) 마하 살(x) 마기살(x)
내용) 보살을 마하살이라고 함
摩伽陀國
읽기) 마가다 국(ㅇ) 마가타국(x)
내용) 갠지즈 강 유역에 있던 나라
석가모니 부처님이 불교를 일으킨 나라
摩瑙
읽기) 마노(ㅇ) 마뇌(x)
내용) 칠보의 하나
참조) 瑙(노)를 腦(뇌)와 혼동하지 말 것.
摩三斤
읽기) 마 삼근[ㅇ] 마삼근[x]
내용) 화두의 하나
어떤 스님이 동산[洞山] 스님에게 물었다. "무엇이 부처입니까?" "삼 서근일세"라고 한 데서 유래.
참조) 斤:근, 斥:척
妙幢三昧
읽기) 묘:당 삼매[ㅇ] 묘당삼매[x]
내용) 법화경 16삼매의 한 삼매. 이 삼매를 얻으면 군대 중에 장군의 깃발이 으뜸이듯 으뜸의 삼매를 이름.
참조) 幢 :기밧 당, 드리워진 모양 동
木鐸
읽기) 목탁[ㅇ] 목택[x]
내용) 예불, 불공 때 치는 도구
無價馱婆
읽기] 무가 타바[ㅇ] 무가태파[x]
내용] 무보수로 하는 타바. 타바란 "일을 해주고 품삯을 받는 奴[노]"의 뜻. 따라서 품삯을 받지 않는 종이란 뜻.
馱: 본래의 음은 '타'지만 '짐을 싣다'의 경우는 '태'임
無生四諦
읽기] 무생 사제[ㅇ] 무생 사체[x]
내용] 인연으로 생긴 것들의 본체
[本體]는 공[空]하여 나고[生] 죽음[滅]이 없다는 이론.
無間奈落
읽기] 무간 나락[ㅇ] 무간내락[x]
내용] 무간지옥
참조] 奈:어찌 내, 나락 나
無上正遍道
읽기] 무상 정변도[ㅇ] 무상정편도[x]
내용]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의 깨달음은 그를 능가할 것이 없고 진실함.
婆伽婆
읽기] 바가바[ㅇ] 파가파[x]
내용] 부처님 호칭의 하나
無諍
읽기] 무쟁[ㅇ] 무정[x]
내용] 탐욕과 노여움 등의 번뇌가 일지 않음.
諍[쟁]은 다툰다의 뜻이지만 여기서는 다툼으로 생기는 번뇌.
婆羅蜜
읽기] 바라밀[ㅇ] 파라밀[x]
내용] 미혹의 언덕에서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감. 보통은 보살의 수행을 말함.
참조] 蜜자가 꿀 밀자이지 비밀이란 密자가 아님에 주의 할 것.
無庶會
읽기] 무차회[ㅇ] 무서회[x]
내용] 귀천 상하가 없이 참여하여 보시. 일종의 자선바자.
婆羅荑
읽기] 바라이[ㅇ] 파라이[x]
내용] 계율 중에서 가장 엄한 계율로 4바라이가 있음. 이 계를 어기면 승단에서 축출됨.
般若
읽기] 반야[ㅇ] 반약[x]
내용] 사물의 도리를 정확히 파악하는 지혜
婆羅門
읽기] 바라문[ㅇ] 파라문[x]
내용] 인도 사성의 하나.최고의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계급.
布施
읽기] 보:시[ㅇ] 포시[x]
내용] 남에게 줌
拂子
읽기] 불자[짜][ㅇ] 비자[x]
내용] 짐승의 털,삼[痲]등으로 만든 일종의 쳉. 벌레를 쫓을 때 씀.
선[禪]에서는 마음의 잡념을 쓸어낸다는 상징물.
不垢不淨 不增不減
읽기] 불구 부정 부증 불감[ㅇ] 불구불정 불증불감[x]
내용] 반야심경의 한귀절. 더러운. 깨끗함. 증가. 감소 등의 대칭적 개념이 초월된 공[空]을 말함. 참조] 1. 不은 ㄷ과 ㅈ앞에서는"부"로 발음 됨. "一日不作[일일부작]이면一日不食[일일불식]".
娑婆
읽기] 사바[ㅇ] 사파[x]
내용] 번뇌가 많은 이 세상
復次
읽기] 부:차[ㅇ] 북차[x]
내용] 다시 더, 다시 한번의 뜻
芳啣錄
읽기] 방함록[ㅇ] 방어록[x]
내용] 방명록과 같은 뜻
안거[安居]할 때 스님들의 법명, 본적, 소속, 사찰 등을 기록한 책.
棒喝
읽기] 방:할[ㅇ] 방갈[x]
내용] 선사[嬋師]가 학인[學人]을 지도하기 위해 매질을 하고 소리를 침. 棒은 몽둥이.
참조] 喝:꾸짓을 '갈', 목이 맬 '애'이지만 선방에서 소리치는 소리는 '할'이라고 함에 특별히 주의할 것.
菩提
읽기] 보리[ㅇ] 보제[x] 보:리[x] 보데[x]
내용] 불교 최고의 지혜 죽 부처님이 깨달은 지혜
毘奈耶
읽기] 비나야[ㅇ] 비내야[x] 곤내야[x]
내용] 계율
참조] 毘와 昆을 혼동하지 말 것. 田 아래 比는 밝을 비, 日아래
比는 하늘 곤, 毗과 毘는 같은 글자임.
毘盧庶那佛
읽기] 비로자나-불[ㅇ] 곤로서나불x
내용] 화엄경의 주존불, 부처님의 법신[法身]
참조] 盧자를 때로 蘆로 쓰는 경우도 있으나 盧가 보편적임.
斯陀含
읽기] 사다함[ㅇ] 사타함[x]
내용] 소승의 수행으로 얻을 수 있는 네 결과의 하나.
다시 한 번 환생하여 깨닫는다는 과위 [果位].
寺刹
읽기] 사찰[ㅇ] 사살[x]
내용] 절
四聖諦
읽기] 사:-성:제[ㅇ] 사성체[x]
내용] 고[苦]. 집[集]. 멸[滅]. 도[道].
참조] 諦:살필 체이나 불교의 교리의 관련된 경우'제'로 읽는다. 예를 들어 諦觀은 '체관'으로 읽으면 고려시대 스님의 이름이다.
四諍
읽기] 사:쟁[ㅇ] 사정[x]
내용] 네 가지의 다툼
1. 언쟁[言爭]:교리의 옭고 그름을 따짐.
2. 멱쟁[覓諍]:동료들의 허물과 약점을 들춰내려는 논쟁.
3. 범쟁[犯諍]:동료들의 범죄 행위를 들쳐냄.
4.사쟁[事諍]:행자절차에 관한 의견 차이로 생기는 논쟁.
數習
읽기] 삭습[ㅇ] 수습[x]
내용] 여러 번 되풀이 해 읽힘
참조] 數:셀 수, 자주 삭, 촘촘 할 촉
三迦葉
읽기] 삼-가습[ㅇ] 삼가엽[x]
내용] 가섭 삼형제. 우루빈라가섭, 나제가섭, 가야가섭
三諦
읽기] 삼제[ㅇ] 삼체[x]
내용] 공[空]. 가[假]. 중[中]의 세 가지 진실한 진리.
三祈百劫
읽기] 삼기 백 겁[ㅇ] 삼지백겁[x]
내용]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삼아승기동안 수행하고 다시 자신의 성불을 위해 백 겁을 수행한다는 내용.
禪膚栗
읽기] 선 부속[ㅇ] 선부율[x]
내용] 부속은 추을 때 나타나는 피부의 소름같은 것.
참선하는 사람의 엄숙한 모습.
須菩提
읽기] 수보리[ㅇ] 수보제[x]
내용] 부처님 10대 제자 한 분
須臾
참조] 順:착할 순, 須:터럭 수
읽기] 수유[ㅇ] 순유[x]
내용] 잠시 동안
十王
읽기] 시왕[ㅇ] 십왕[x]
내용] 죽음 다음의 세계에서 죄의 경중[輕重]을 판결하는 열 명의 왕.
樂說
읽기] 요설[ㅇ] 락설[x]
내용] 중생이 원하는 바를 파악하여 적절히 설법함을 좋아함.
참조] 樂:즐거울 락, 즐길 요
十方
읽기] 시방[ㅇ] 십방[x]
내용] 동.서.남.북 그리고 그 사이의, 방위에 상과하를 더한 열 방향
生盲闡提
읽기] 생맹천제[ㅇ] 생망단제[x]
내용] 나면서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은 빛을 보지 못하는 것처럼 불법을 비방한 과보로 영원히 성불할 수 없는 사람이 된 것. 일천제란 영원히 성불을 하지 못할 생명.
灑灑落落
읽기] 쇄쇄 낙낙[ㅇ] 여여낙낙[x]
내용] 사물에 구속되지 않는 모습
須陀洹
읽기] 수다원[ㅇ] 수타원[x] 수타환[x]
참조] 洹:강 이름 원, 세차게 흐를 환
내용] 소승 성문의 네 가지 수행과
[修行果]중의 하나. 무루의 도에 처음 들어간 계위.
塑像
읽기] 소:상[ㅇ] 삭상[x]
내용] 흙으로 만든 불상
樂定
읽기] 요정[ㅇ] 락정[x]
내용] 선정[禪定]에 들기를 좋아함
圍繞
읽기] 위요[ㅇ] 위효[x]
내용] 보살이 좌우 앞뒤에서 둘러싸고 서 있음.
참조] 繞:얽힐 요, 돌릴 요, 曉:새벽 효
牛車
읽기] 우거[ㅇ] 우차[x]
내용] 소가 끄는 수레
대승[大乘] 보살승[菩薩乘]에 비유함
참조] 車:원동력이 있을 경우 '차', 원동력이 없을 경우 '거'.
優婆離
읽기] 우바리[ㅇ] 우파리[x]
내용] 부처님 10대 제자 중 계율을 가장 잘 지킨 분. 밀행제일.
依着
읽기] 의착[ㅇ] 의저[x]
내용] 집착함
참조] 着: 볼일 착, 드러날 저
自恣
읽기] 자자[ㅇ] 자차[x]
내용] 여름 안거의 마지막 날 함께 공부하던 스님들이 모여 안거기간의 잘잘못을 고백하고 평가하는 행사. [음력 7월 16일]
引磬
읽기] 인:경[ㅇ] 인성[x]
내용] 대중의 주의를 끌기 위해 치는 악기의 이름
咨嗟
읽기] 자차[ㅇ] 차차[x]
내용] 안타까운 탄식을 함.
참조] 咨:물을 자, 嗟:탄식할 차
一棒
읽기] 일방[ㅇ] 일봉[x]
내용] 몽둥이로 때려 선객의 졸음과 잘못된 태도를 쫒음.
作磨生
읽기] 자마생[ㅇ] 작마생[x]
내용] 자마[作磨]란 중국어로 '무엇' '어떻게'의 의문말 어조사.
자마생은 '어찌 하려는가?'의 선문답.
참조] 作:지을 작, 만들 자, 원망할 주
狀若
읽기] 장약[ㅇ] 상약[x]
내용] 서로 같음
참조] 狀:형상 상, 문서 장
長齋
읽기] 장:재[ㅇ] 장제[x]
내용] 오랫동안 계율을 굳게 지킴
참조] 齋:재계할 제
薺:건널 제
湛然
읽기] 잠연[ㅇ] 담연[x] 감연[x] 심연[x]
내용] 중국 당나라 때 스님의 이름[711-782]
齋戒
읽기] 재계[ㅇ] 제계[X
내용] 마음을 가지런히 하고 삼감
참조] 齋:재계할 재
齊:건널 제
赤梢鱗
읽기] 적소린[ㅇ] 적초린[X]
내용] 영리한 납승[納僧]을 말함.
참조] 梢:배의 키 끝 소
鱗:잉어 린
중국 우문[禹問]이라는 곳에 삼급랑[三級浪]이란 강이 있다. 봄에 복숭아 꽃이 필 무렵 잉어가 삼급랑을 뛰어올라 하늘로 솟으면 용이 된다고 한다. 잉어가 솟아 올라 용으로 변할 때 번개와 천둥이 치면서 잉어의 지느러미를 태운다고 한다
齋日
읽기] 재일[ㅇ] 제일[X]
내용] 좋은 일을 하는 날
한달 중 8일, 14일, 15일, 23일, 29일, 30일을 육재일이라고 함.
奠茶
읽기] 전:다[ㅇ] 존다[X] 존차[X]
내용] 차를 불전에 공양함.
참조] 奠:제사 지낼 전, 尊:존경할 존
茶:차 다, 茶:씀바구 도
切要
읽기] 절요[ㅇ] 채요[X]
내용] 극히 중요한 사항. 책의 내용을 간추려 요약한 부분.
참조] 切:끊을 절, 모두 체
一切 :'일절'.사물을 금지하거나 부인할 때, 일절하지 말 것.
一切 :'일체'.온갖 사물이라는 뜻. 일체 중생, 내게 일체를 준다 등.
轉眄
읽기] 전:면[ㅇ] 전목[X]
내용] 잠깐 사이
참조] 眄:애꾸눈 면
塼塔
읽기] 전탑[ㅇ] 부탑[X]
내용] 벽돌로 쌓아 세운 탑
淨齋所
읽기] 정:재소[ㅇ] 정제소[X]
내용] 절의 부엌
諦觀
읽기] 제관[ㅇ] 체관[X]
내용] 고려 시대의 스님
正遍知
읽기] 정:변-지[ㅇ] 정편지[X]
내용] 부처님 10대 명호 중의 하나
참조] 세상 일을 두루 모르는 것이 없다는 뜻
遍:두루 편, 두루 변. 불교용어의 경우 '변'으로 읽는 때가 많다.
肇論
읽기] 조론[ㅇ] 필론[X]
내용] 후진[後秦]의 승조[僧肇]가
照牌
읽기] 조:패[ㅇ] 조비[x]
내용] 대중 가운데서 자기가 앉을 자리를 표시한 패.
참조] 牌:방붙일 패, 방패 패
碑:비석 비
籌室
읽기] 주:실[ㅇ] 수실[x]
내용] 주실의 다른 이름
인도의 스님 우파굽다 존자가 한 명을 제도할 때마다 산대 한 가지씩을 모았는데 그 숫자 가 큰 방에 가득찼다고 한다. 이때부터 수행인을 지도하는 큰 스님을 주실이라고 했다.
繒蓋
읽기] 증개[ㅇ] 회개[x]
내용] 불상을 덮는 우산
참조] 繒:비단 증, 繒:그림 회
眞諦
읽기] 진제[ㅇ] 진체[x]
내용] 인도의 스님이름[499-569]
澄觀
읽기] 징관[ㅇ] 등관[x]
내용] 중국 당나라 승려[738-839], 화엄종의 제 4조.호는 청량[淸凉]
參雜
읽기] 참잡[ㅇ] 삼잡[x]
내용] 여러 가지가 섞임
참조] 參:석 삼, 참여할 참
車匿
읽기] 차닉[ㅇ] 차약[x] 거약[x]
내용] 싯달타 태자가 출가할 때 따라 나섰던 마부
참조] 匿:숨을 닉, 술 담그는 그릇 닉
단어 앞으로 갈 때는"익"으로 발음
예]匿名[익명] 이름을 밝히지 않음
懺悔
읽기] 참회[ㅇ] 섬회[x]
내용] 과거에 지은 잘못을 후회하고 악업을 벗기 위해 고행함.
참조] 纖:가늘 섬, 懺:뉘우칠 참
天台
읽기] 천태[ㅇ] 천대[X] 천이[X]
내용] 천태 대사, 천태종
참조] 台:별이름 태, 나[我]이
臺:[대]의 일본식 약자인 台와 혼동하지 말 것.
貼秤
읽기] 첩칭[ㅇ] 첨평[X]
내용] 부족한 것을 보충함
참조] 貼:붙힐 첩, 秤:저울 칭
僉押
읽기] 첨압[ㅇ] 험갑[X]
내용] 연명으로 서명 날인함.문서 뒤에 여러 명이 이름을 쓰고 손가락을 눌러 날인함.
참조] 僉:여럿 첨 押:누를 압, 단속할 갑
剃度
읽기] 체도[ㅇ] 제도[X]
내용] 머리를 깎고 득도함
참조] 剃:머리깎을 체
榻本
읽기] 탑본[ㅇ] 탁본[X]
내용] 탁본과 같음
囑累
읽기] 촉루[ㅇ] 속루[X] 독루[X]
내용] 뒷일을 맡김
참조] 囑:부탁할 촉
樞機
읽기] 추기[ㅇ] 구기[X]
내용] 중요한 사물 또는 중추 기관
참조] 樞:문지도리 추, 느릅나무 이
忽講師
읽기] 총강사[ㅇ] 홀강사[X]
내용] 법회 등에서 경전을 강의하는 최고 책임자
참조] 忽:바쁠 총, 깜짝할 홀
忍:참을 인
抽脫
읽기] 추탈[ㅇ] 유탈[X] 압탈[X]
내용] 가사를 잠시 벗는다의 뜻. 이 말이 변질돼 대소변을 보다로 혼용됨.
참조] 抽:뺄 추, 거둘 추
沖鑑
읽기] 충감[ㅇ] 중감[X]
내용] 고려시대의 스님[1274-1338]
참조] 沖:빌 충
緇白
읽기] 치백[ㅇ] 소백[X]
내용] 승려와 속인
참조] 緇:먹물 옷 치[스님의 옷]
白:흰 옷이란 속가의 사람이 입는 옷.
忠湛
읽기] 충담[ㅇ] 충잠[X] 충침[X]
내용] 신라 말의 스님[869-940]
참조] 湛:즐길 담, 아득히 찰 잠, 잠길 침
託鉢
읽기] 탁발[ㅇ] 탁본[x]
내용] 스님이 속가를 돌아다니며 쌀이나 금전을 시주받음
拓本
읽기] 탁본[ㅇ] 척본[x]
내용] 돌이나 금속에 새겨져 있는 글씨나 그림을 그대로 박아냄 또는 그 박은 종이.
참조] 拓:물리칠 탁, 헤칠 탁, 주을 척 예] 開拓:개척
波婆
읽기] 파바[ㅇ] 파파[x]
내용] 범어Pava의 음역. 부처님이 마지막으로 순타純陀로부터 음식공양을 받은 장소
偸盜
읽기] 투도[ㅇ] 유도[x]
내용] 남이 주지 않은 것을 가짐. 도둑질
참조] 偸:훔칠 투
八日
읽기] 파:일[ㅇ] 팔일[x]
내용] 부처님 탄생하신 날. 음력 4월 8일
八不正見
읽기] 팔 부정:견[ㅇ] 팔불정견[x]
내용] 여덟 가지의 잘못된 견해
참조] 不正見은 한 단어임. 不불이 다음 글자의 자음"ㅈ"과 만났으므로 "부"로 변했음.
1. 아견 我見 2. 중생견 衆生見 3. 수명견 壽命見
4. 사부견 士夫見 5. 상견 常見 6. 단견 斷見 7. 유견 有見
8. 무견 無見을 팔 부정견이라고 함.
八不中道
읽기] 팔불 중도[ㅇ] 팔 부중도[x]
내용] 불생不生, 불멸不滅, 불거不去, 불래不來, 불일不一, 불이不二, 불단不斷, 불상不常의 여덟 가지 중도.
下棒
읽기] 하:방[ㅇ] 하봉[x]
내용] 주장자로 때림. 선방에서 제자를 깨우치게 하기 위해 함.
緘言
읽기] 함언[ㅇ] 감언[x] 함:언[x]
내용] 입다물고 말을 하지 않음.
辦圖
읽기] 판도[ㅇ] 변도[x]
내용] 도道를 전력으로 닦음.
참조] 辦:힘들일 판, 辦:힘들일 별
閑絡索
읽기] 한락삭[ㅇ] 한락색[x]
내용] 별 볼일 없는 것. 아무 쓸 데도 없는 자질구레한 이야기.
참조] 絡:둘러싸서 묶을 락
喝食
읽기] 할식[ㅇ] 갈식[x]
내용] 절에서 크게 소리쳐 식사 시간을 알림.
참조] 喝:꾸짓을 갈, 목메일 갈, 목쉰 소리가 날 애, 본래의 음은"할"이었던 것이 "갈"로 변했음.
喝火
읽기] 할화[ㅇ] 갈화[x]
내용] 절에서 밤에 잠자기 전 불조심을 소리쳐 조심시킴
참조] 할식 항을 참조.
降魔
읽기] 항마[ㅇ] 항:마[x] 강마[x]
내용] 악마를 항복시킴
참조] 降:항복할 항, 내리 강[상강霜降]
강:탄 降誕:부처님이 이 세상에 태어나심.
行履
읽기] 행리[ㅇ] 행복[x]
내용] 일상생활의 모든 것.
행주좌와 行住坐臥, 어목동정 語黙動靜의 모든 것.
참조] 履:밟을 리, 짚신 리
降化
읽기] 항화[ㅇ] 강화[x]
내용] 악한 마음을 항복시켜 교화함.
行狀
읽기] 행:장[ㅇ] 행상[x]
내용] 행적을 적은 글. 行狀을 짧게 행장으로 읽으면 조선시대에 실시됐던 여행 증명서가 됨.
行籌
읽기] 행주[ㅇ] 행수[x]
내용] 의견이 서로 엇갈렸을 때 다수결로 정하기 위해인원수를 셈.
渾淪呑棗
읽기] 혼:륜[홀륜]탄조[ㅇ] 군륜탄속[x]
내용] 엉겁결에 대추를 삼킨다는 말로 부처님과 조사들의 말씀을 제대로 음미하지 못하고 수박 겉핥기처럼 공부함.
革蔥
읽기] 혁총[ㅇ] 혁홀[x]
내용] 부추의 다른 이름.오신채(五辛菜)의 하나.
참조] 蔥:파 총, 忽:갑작스럴 홀
廓然無聖
읽기] 확연 무성[ㅇ] 곽연 무성[x]
내용] 넓고 텅 비어 성제[聖諦]라는 것마저도 없다.
화두의 일종. 양나라 무제가 달마 대사에게 "어떤 것이 성제[聖諦]입니까?"라고 물었을 때
달마 대사는 "확연무성입니다"라고 대답했음. 성제란 깨달음의 진리.
참조] 廓:둘레 곽, 클 확
예] 廓然:넓고 텅 빈 모양
香盒
읽기] 향합[ㅇ] 향함[x]
내용] 향을 담는 그릇
假觀
읽기] 가:관
내용] 삼관[三觀]의 하나. 모든 사물은 공[空]한 것이지만 가[假]라는 모양을 실어 표출된다는 설.
架娑와 假死
읽기] 가사[架娑], 가:사[架死]
내용] 가사로 짧게 읽으면 스님들이 입는 법복이고, 가:사로 길게 읽으면 인사불성이 돼 호흡이 잠시 중단된 상태.
假諦
읽기] 가:제
내용] 삼라만상은 모두 실체가 없이 인연에 따라 변화하는 것임을 말한 진리.
오류] 諦를 체로 읽는 잘못을 범하지 말 것.
加護
읽기] 가호[짧게 읽음], 가:호 [x]
내용] 부처님이 잘 보살펴 줌.
覺皇殿石璧華嚴經
읽기] 각황전 석벽 화엄경
내용] 전남 구례 화엄사 돌벽에 새겨진 화엄경. 신라 경덕왕 때의 것.
刊經都監
읽기] 간경 도감
내용] 세조 때 세운 유교와 불교의 경전을 출판하던 기관.
看話決疑論
읽기] 간화 결의론
내용] 고려 지눌국사가 지음. 선[禪]과 교[敎]가 다르지 않음을 강조한 책.
喝地獄
읽기] 갈 지옥
내용] 지옥의 한 곳.
옥졸이 죄인의 입과 빨갛게 단 쇠 탄환을 넣으면 그 탄환이 입과 목을 태우고 뱃속까지 내려가는 고통을 받음.
甘露王
읽기] 감로-왕
내용] 밀교의 금강계 다섯 부처님 중에서 서방 아미타불에 해당되는 부처님.
降誕會
읽기] 강:탄 회
내용] 부처님 오신 날인 4월8일을 축하하는 법회.
開甘露門
읽기] 개 감로문
내용] 감로의 문을 열어 아귀의 갈증을 덜어줌.
오류] 개감 로문, 개감로문
開權顯實
읽기] 개권 현실
내용] 방편을 치우고 진실한 교리를 나타내 보임.
開山
읽기] 개산 짧게 읽을 것
내용] 절을 창건함
開元釋敎錄
읽기] 개원 석교록
내용] 당나라 개원 18년 서기 730년에 지승[智昇]이 편찬한 책.
대승 소승의 전적 목록을 수집 정리함.
居士
읽기] 거사 [짧게 읽음}.
거:사로 읽으면 큰일을 일으킴의 뜻이 됨.
내용] 집에서 불교를 믿는 남자.
結跏趺坐
읽기] 결 가부좌
내용] 가부좌로 앉음
오류] 결가 부좌, 결가부 좌
景德傳登錄
읽기] 경덕 전등록
내용] 송나라 도원 [道源]이 지은 책. 역대의 선종[禪宗]종사[宗師]들의 행장기를 수록했다.
戒壇과 階段
읽기] 계:단[戒壇], 계단[階段]
내용] 계단을 길게 읽으면 계[戒]를 받는 단[壇]이고, 짧게 읽으면 오르내리는 층계길이 된다.
戒名과 階名
읽기] 계:명[戒名], 계명[階名]
내용] 계:명은 계를 받을 때 얻은 이름이고, 계명은 직위와 직급의 명칭이다.
戒婆羅蜜
읽기] 계:바라밀
내용] 계는 장음이고 계와 바라밀은 떨어진다. 육바라밀[六婆羅蜜]중 지계[持戒]바라밀을 줄인 단어.
誡初心學人文
읽기] 계 초심학원 문
내용] 처음으로 발심해서 스님이 된 분을 경계하기 위한글.
고려시대 목우자[目于子] 보조국사[普照國師] 가 씀.
苦苦와 고고[go go]
읽기] 고고[苦苦], 고:고[go go]
내용] 고고를 짧게 읽으면 춥고, 굶주리고, 매맞고, 힘든 일을 하는 등의 괴로움을 말한다.
고:고로 길게 읽으면 go go춤을 나타내므로 주의.
苦空無常無我
읽기] 고 공 무상 무아
내용] 고[苦]는 공[空]하고 무상[無常]하며 무아[無我]하다는 뜻.
古今譯經圖紀
읽기] 고금 역경 도기
내용] 당나라 정매[靖邁:청만이라고 읽지 말것]가 쓴책. 중국에서 번역한 경전의 목록을 기록함.
高僧
읽기] 고승[짧게 읽음]. 고:승으로 길게 읽으면 안 됨.
내용] 덕이 높은 스님. 지위가 높은 스님.
功德法身
읽기] 공덕 법신
내용] 부처님은 여러 가지의 수행을 닦음으로써 그 공덕으로 법신을 얻었다는 의미. 법신[法身]이란 진리의 본체로서의 부처님.
孔目章記
읽기] 공목장 기
내용] 고려시대 균여[均如]스님이 쓴 책. 공목장[孔目章]이란 책을 다시 주기한 것. 공목장은 당나라 지엄[智嚴]스님이 화엄경의 내용을 해석 주석한 책임.
觀音懺法
읽기] 관음 참법
내용] 관세음보살을 대상으로 참회를 하는 법회.
敎誡示導
읽기] 교:계 시도
내용] 보살이 지옥에서 고생하는 중생을 보고 자비심을 일으켜 이들을 위해 설법해 보임.
敎相判釋
읽기] 교:상 판석
내용] 부처님이 일대에 설하신 말씀을 시기별 내용별 로 판별함.
敎外別傳
읽기] 교:외 별전
내용] 불교의 요체가 되는 내용을 말이나 문자를 쓰지 않고 전함.
俱舍論
읽기] 구사 론
내용] 세친보살이 지은 책
鳩摩羅什
읽기] 구마라습. 구마라즙이라고도 읽는다.
내용] 인도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활동한 스님(344-413)
俱生神
읽기] 구생 신
내용] 사람의 어깨에 앉아서 선행과 악행을 기록하는 신. 오른쪽 어깨에 앉은 신은 동명[同名]이라는 신으로 착한 일을 기록하고, 왼쪽에 앉은 신은 동생[同生]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으며 나쁜일을 기록함 이들 두 신은 주인공이 죽은 다음 염마천의 왕에게 그들이 기록한 내용을 보고한다고 함.
九遠劫
읽기] 구원 겁
내용] 아득한 옛날. 길고 긴 세월
九世間
읽기] 구 세:간
내용] 아홉 가지의 세간.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성문.연각.보살.
九遠實成
읽기] 구원 실성
내용] 멀고 먼 옛날에 실은 성불했다는 말로, 부처님은 사실 구원실성했으나 방편으로 금생에 성불한 것처럼 나타났을 뿐이라는 것.
口忍
읽기] 구:인
내용] 남에게 욕을 듣더라도 참고 대항해서 욕하지 않음.
오류] 구인이라고 하면 求人[구인]처럼 사람을 구하는 의미가 됨.
九住心
읽기] 구 주심
내용] 마음을 주심하는 아홉 가지 방법. 주심[住心]이란 마음을 한 군데에 집중하여 번뇌가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權實
읽기] 권 실
내용] 권[權]은 임시로 하는 방편이고 실[實]은 진실. 방편과 진실.
權智
읽기] 권지 권:지로 읽지 말 것
내용] 부처님이나 보살들이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지혜.
叫喚地獄
읽기] 규환 지옥
내용] 끓는 물속에 들어가 벌을 받고 뜨거운 쇠가마니 속에서 벌을 받는 지옥.
根本說一切有部
읽기] 근본설 일체유 부
내용] 부처님 돌아가신 뒤 300년 뒤에 생긴 분파.
金剛經五家解
읽기] 금강경 오:가해
내용] 금강경에 다섯 명의 대가들이 주석을 붙인 책.
金剛般若婆羅蜜經
읽기] 금강 반야 바라밀 경
내용] 금강경의 원이름
吉祥天
읽기] 길쌍 천
내용] 중생에게 복을 준다는 여신. 길상천녀의 준말.
金光明最勝王經
읽기] 금광명 최:승왕 경
내용]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하늘의 신들과 신장들이 불법을 수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준 경전. 예로 부터 나라를 수호하는 경전으로 널리 읽혀졌다.
祈園精舍
읽기] 기원 정사
내용] 중인도 사위성에서 남쪽으로 1마일 있는 절. 급고독장자가 부처님께 기증함.
那羅延金剛
읽기] 나라연 금강
내용] 인왕존[仁王尊]의 다른 이름.
南無佛]
읽기] 나무 불
내용] 부처님께 귀의함.
南無三寶
읽기] 나무 삼보
내용] 불.법.승에 귀의함.
那先比丘經
읽기] 나선비구 경
내용] 미린다 팡하 경. 나선비구와 미린다 왕과의 대담을 옮긴 경.
落慶供養
읽기] 낙경 공:양
내용] 불사[佛事]를 낙성하고 올리는 공양
落波羅蜜
읽기] 낙 바라밀
내용] 열반 4덕인 상.락.아.정[常樂我淨]중 낙덕[樂德]을 수행함.
落髮染衣
읽기] 낙발 염:의
내용] 머리깎고 옷을 물들여 중이 됨.
樂邦文類
읽기] 낙방 문류
내용] 낙방이란 극락세계.극락왕생에 관한 글의 모음집
남송[南宋]의 종효[宗曉]가 지음.
難易二道
읽기] 난 이 이:도
내용] 난행도 [難行道]와 이행도[易行道]
南頓北漸
읽기] 남돈 북점
내용] 중국의 남쪽 선풍[禪風]은 돈오쪽이고, 북종의 선풍은 점수[漸修]쪽이 강하다.
難化三機
읽기] 난화 삼기
내용] 1. 대승을 훼방하는 사람 2. 오역죄를 저지른 사람
3. 일천제의 무리
南山三觀
읽기] 남산 삼관
내용] 중국의 도선[道宣] 율사[律師]가 세운 세 가지 수행관.
도선 스님이 남산에 머물렀으므로 남산이라고 했음.
南條目錄
읽기] 남조 목록
내용] 일본의 남조문웅 [南條文雄]이 지은 책.
南中三敎
읽기] 남중 삼교
내용] 중국 제[薺]나라 이후에 강남에서 행해진 돈교, 점교.
부정교[不定敎]의 삼교.
南天鐵塔
읽기] 남천 철탑
내용] 옛날 남인도에 있었다는 쇠탑.
內道場
읽기] 내:도량 내도장[x]
내용] 왕실에서 부처님께 공양도 하고 수행도 하는 장소.
內凡位
읽기] 내:범위
내용] 내범[內凡]의 위계 곧,불교교리 안의 범부[凡夫]의 위계.
內佛堂
읽기] 내:불-땅
내용] 세종이 경북궁에 만든 절
內著煩惱
읽기] 내:착 번뇌
내용] 자기에게 집착하여 발생하는 번뇌.
冷湫湫地
읽기] 냉:추추 지
내용] 추추란 습기가 많은 곳. 차고 습기가 많은 장소를 강조한 말.
蘆葉達磨
읽기] 노엽 달마
내용] 달마조사가 양무제를 떠나 양자강을 거슬러 올라갈 때 갈대를 꺾어 배를 만들어 타고 갔다는데서 유래한 별명.
露地念佛
읽기] 노:지 염:불
내용]장례식 때 상주의 집에서 장례장으로 갈 때 외는 염불.
漏永盡無所畏
읽기] 누 영:진 무소외
내용] 부처님은 번뇌가 영원히 끊어져 있음으로 모든 면에서 두려워할 바가 없다.
能緣斷
읽기] 능연 단
내용] 능연의 혹[或]을 끊음. 능연이란 객관 대상과 마음의 작용을 함
多羅尊觀音
읽기] 다라존 관음
내용] 33관음의 한분 구름 위에 서 있는 관음
多聞天王
읽기] 다문천 왕
내용] 다문천의 왕, 사천왕의 하나
多寶如來
읽기] 다보 여래
내용]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 나타나 석가모니 부처님의 설법이 진실이라고 증명한 여래.
斷德
읽기] 단:덕
내용] 모든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덕
斷見外道
읽기] 단:견 외도
내용] 사람이 죽으면 단멸[斷滅]해서 다시 뒷세상이 없다는 견해를 가진 외도.
斷末魔
읽기] 단:말마 단말 마[X]
내용] 말마를 자름, 목숨을 자름 말마는 몸 가운데 국소
斷常二見
읽기] 단:상 이견 단상 이견 [X]
내용] 단견과 상견의 두 견해
단견 : 사람이 죽으면 그로써 모든 것이 없다는 견해.
상견 : 사람이 목숨은 끊어져도 영원히 지금의 상태를 유지한다는 견해.
斷舌才
읽기] 단:설-재
내용] 타인의 혀를 멈추게 하는 놀라운 말솜씨.
斷俗寺
읽기] 단:속-사
내용] 경남 산청에 있는 절
斷或
읽기] 단:혹
내용] 미계[迷界]의 원인인 혹[或]을 끊는 것.
斷或證理
읽기] 단:혹 증리 단혹 중:리 [x]
내용] 미혹을 끊고 진리를 증득함.
大迦葉
읽기] 대:가섭 대가엽[x]
내용]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분
達磨多羅禪經
읽기] 달마다라 선 경
내용] 달마다라가 쓴 책. 부처님과 조사가 서로 전한 불법을 모음.
達磨阿蘭若
읽기] 달마 아란야 달마 아란약 [x]
내용] 보리[菩提]가 충만한 도량[道場]. 아란야는 조용한 수행장소. 아란약으로 읽지 말것.
當來導師
읽기] 당래 도:사
내용] 미륵보살. 다음 세상에 오셔서 세상을 제도하는 보살.
大覺國師文集
읽기] 대:각 국사 문집
내용] 대각국사 의천[義天]의 문집.
對告衆
읽기] 대:고:중
내용] 부처님 설법장에 있던 청중
對機設法
읽기] 대: 기 설뻡
내용] 병에 따라 약을 주듯 근기에 따라 가르침을 줌.
大陀羅尼
읽기] 대:다라니 대타라니 [X]
내용] 긴 다라니, 신묘장구 대:다라니
大明三藏法數
읽기] 대:명 삼장 법쑤
내용] 명나라 일여 [一如]가 쓴 책
對唐西域求法高僧傳
읽기] 대:당 서역 구법 고승전
내용] 중국인으로서 인도에 가서 불교를 구해 온 인물들의 전기. 의정[義淨]이 씀.
大般涅槃經
읽기] 대:반 열반경
내용] 석존께서 임멸하실 때의 설법을 기록한 경.
大般若波羅蜜多經
읽기] 대: 반야 바라밀다 경
내용] 6백 권 반야경
大般舟三昧經
읽기] 대: 반주 삼매경
내용] 경전의 이름
大方廣佛華嚴經
읽기] 대:방광불 화엄경 대방 광불 화엄경 [X]
내용] 화엄경의 원명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읽기] 대:방광 원각 수다라 요:의경
내용] 원각경 [圓覺經]의 원명
大法鼓經
읽기] 대:법고경
내용] 법화경이 궁자비유 화성비유 등이 실려 있어서 주목됨.
大辯才天
읽기] 대:변:재천
내용] 노래와 음악을 맡은 여신. 하늘이 아님.
大寶積經
읽기] 대:-보:적경
내용] 대승의 법보를 쌓는다는 경전
大悲觀音
읽기] 대:비 관음
내용] 관세음보살의 총칭
大毘盧遮那
읽기] 대:비로자나 대비 로자나 [X] 대비 로차나 [X]
내용] 대일여래
大毘婆沙論
읽기] 대:비바사-론 비파사론 [X]
내용] 불멸 후 4백 년경에 결집한 책
大悲呪
읽기] 대:비-주 대 비주 [x]
내용] 천수 다라니
大悲懺
읽기] 대:비 참 대 비참 [x]
내용] 천수경에 의거해 참회함
大三災
읽기] 대: 삼재
내용] 세계가 괴멸하기 직전에 일어나는 수재,화재,풍재.
大勢至菩薩
읽기] 대:세 지 보살 대세지 보살 [x]
내용] 아미타불의 보처보살
大乘經
읽기] 대:승-경
내용] 대승 경전의 총칭
大乘起信論
읽기] 대:승 기신론
내용] 마명 [馬鳴] 보살이 쓴 책 이름.
大乘妙經
읽기] 대:승 묘:경
내용] 법화경이 대승경전 중에서 가장 묘한 진리를 지녔다고 해서 붙인 이름.
大乘無作大戒
읽기] 대:승 무작 대:계
내용] 대승의 사람이 받을 계. 대계란 대승기란 뜻이고, 무작이란 마음 속에 '한다' "지킨다"라는 의지 작용마저 벗어났다 는 뜻.
大乘方等經典
읽기] 대:승 방등 경전
내용] 화엄.법화 등의 대경승전. 방등이란 방정 [方正] 평등 [平等]의 준말.
大圓鏡智
읽기] 대:원경 지
내용] 둥근 거울에 만물이 비치듯 세상 모든 진리가 비치는 지혜.
大定智悲
읽기] 대:정지비
내용] 부처님의 3덕. 대정 [大定] 대지 [大智] 대비 [大悲]
大周刊定衆目錄
읽기] 대:주 간정 중:경 목록
내용] 측천무후의 명을 받고 많은 경전의 제목을 기록한 책.
道行般若經
읽기] 도:행 반야경
내용] 대승 중도공 [中道空] 뜻을 밝힌 경전.
頓漸二敎
읽기] 돈:점 이:교
내용] 돈교와 점교
毒天二鼓
읽기] 독 천 이:고
내용] 독고와 천고.
독고는 여러 가지 독을 바른 북으로 이 소리를 들어면 모두가 죽는다. 천고는 도리천에 있는 북으로 이 소리를 들어면 악을 경계하고 선을 좋아하는 마음이 난다고 함. 교법 [敎法] 이 순.역 [順逆] 으로 받아들여짐을 비유함.
頭面禮足
읽기] 두면 예족
내용] 무릎을 꿇고 앉아 손으로 상대의 발을 감싸고 이마를 대는 절.
摩登伽阿蘭若
읽기] 마등가 아란야
내용] 옛 인도의 비구들이 수행하던 곳.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개와 닭소리가 들리지 않는 장소, 또는 공동묘지 같은 곳을 말함.
아란야 [阿蘭若]를 아난약으로 읽을 우려가 있음. 아란야는 비구가 수행하는 조용한 장소.
아란야에 셋이 있다.
1.달마 아란야 : 모든 법[法]이 본래 공적[空寂]해서 비구가 머무를만할 곳.
2.마등가 아란야 :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무덤이 많은 공동묘지와 같은 곳.
3.단타가 아란야 : 모래.자갈이 많이 쌓인 곳.
馬朗婦觀音
읽기] 마랑부 관음
내용] 관세음보살의 화신[化身]으로서 여자의 모양을 함.
摩旨
읽기] 마지 (짧게)
내용] 부처님 또는 보살에게 올리는 밥
魔波旬
읽기] 마 파순
내용] 천마[天魔] 波旬] 부처님의 성도를 방해했던 마군
摩訶迦葉
읽기] 마하 가섭(가엽이 아님)
내용] 마하는 "크다"라는 인도어이고, 가습은 부처님 제자의 이름. 대가섭.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읽기] 마하 반야 바라밀다 심경
내용]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경전. 구마라습을 구마라십으로 읽지 말 것.
摩訶般若羅蜜經釋論
읽기] 마하 반야 바라밀 경 석론
내용] 마하반야바라밀경을 주석한 논서[論書]. 대: 지도론[大智度論]
摩訶毘盧庶那
읽기] 마하 비로자나
내용] 대일여래 [大日如來]의 인도말 음역 [音譯]
摩訶僧祈律
읽기] 마하 승기율
내용]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계속해서 읽음]가 번역한 율[律]에 관한 책.
摩訶衍
읽기] 마하연
내용] 마하야나[Mahayana]의 준말. 번역하면 대승[大乘]
摩訶衍經
읽기] 마하연 경
내용] 마하연 [대승] 사상을 담은 경전들.
摩訶止觀
읽기] 마하 지관
내용] 천태종의 지의가 지은 책.
摩訶止觀輔行傳弘決
읽기] 마하지관 보행 전 홍결
내용] 마하지관을 강의한 대본. 줄여서 보행[輔行] 또는 홍결[弘決]이라고 함.
末那識
읽기] 말나 식
내용] 제 7 식의 이름
末後一句
읽기] 말후 일구
내용] 임종하기 직전의 한 마디 말. 줄여서 말후구[末後句]라고 함.
妄語十罪
읽기] 망어 십죄
내용] 거짓말로 생기는 10 가지 죄.
盲龜遇木
읽기] 맹위 우목 맹구를 줄여서 "맹귀" 로 읽었다.
내용] 목숨이 긴 눈먼 거북이가 1백 년에 한번씩 물위로 떠오르는데 이때 구멍이 뚫린 나무가 표류하다가 거북이 머리 위에 정확히 구멍이 맞음으로써 나무 위에 오를 수 있게 되는 것. 열반경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기 힘듦을 비유한 이야기.
滅盡定
읽기] 멸진 정 멸 진정으로 읽지 말 것
내용] 모든 심상[心想]을 모두 멸진하고 고요한 상태에 들기 위해 닦는 선정[禪定].
名聞利養
읽기] 명문 리양
내용] 명리[名利]를 말함
明高僧傳
읽기] 명 고승전
내용] 명고 승전으로 읽을 경우 밝고 높은 고승의 전기가 됨으로 주의 할 것. (명 고승전}은 명[明]나라 여성[如惺]이 지은 대명고승전[大明高僧傳]을 말함.
名別義通
읽기] 명별 의통
내용] 명[名]은 별교[別敎]이고 의[義]는 통교[通敎]라는 뜻.
鳴鍾佛事
읽기] 명종 불사
내용] 종을 새로 조성한 뒤 처음으로 올려 공양하는 불사.
冥顯兩界
읽기] 명 현 양계
내용] 명계[冥界]와 현계[顯界]의 두 세계. 명계는 죽은 다음의 세계, 현계는 현재 사는 사바세계
名號不思議
읽기] 명호 부사의 (불사의가 아님)
내용] 아미타 부처님의 명호에는 불가사의한 힘이 있어서 "아미타불" 염불을 하면 그 공덕이 헤아릴 수 없다는 말.
참고] 不思議: 부사의, 不可思議: 불가사의
牧牛子修心決
읽기] 목우자 수심결
내용] 보조 지눌[知訥] 국사가 쓴 (수심결) 목우자는 지눌 스님의 별호 [別號]
木患者
읽기] 목환자 짧은 음으로 계속해서 읽음 목과 환자를 띄어 읽으면 병의 이름이 됨.
내용] 모감주 남. 목환자 열매로 염주를 만듬.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읽기] 몽산화상 법어 약록 언해
내용] 원나라 몽산 화상의 법어를 간단히 기록한 것을 한글로 옮긴 책. 조선조 세조 때 간행함.
妙觀察智
읽기] 묘 관찰 지
내용] 묘[妙]는 불가사의한 힘.
관찰은 모든 법을 두루 살핌. 모든 것을 다 알고 중생의 근기를 알아서 제도 해주는 지혜력.
妙吉祥寺
읽기] 묘 길상 사
내용] 강원도 벽산에 있는 절.
妙法蓮華經
읽기] 묘법 연화경
내용] 법화경을 말함
妙音菩薩
읽기] 묘음 보살
내용] 보살의 이름
無間道
읽기] 무간 도 무 간도라고 읽지 말 것.
내용] 번뇌가 없는 자리. 번뇌가 진리를 이간시키지 못하는 자리.
無間三昧
읽기] 무간 삼매
내용] 불생[不生] 불멸[不滅] 의 이치를 관찰해 간단[間斷] 되지 않는 삼매.
無功用智
읽기] 무 공용 지
내용]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진리에 계합되는 지혜.
無救地獄
읽기] 무구 지옥
내용] 구제할 수 없는 지옥
無垢稱經
읽기] 무구칭 경
내용] 유마경의 다른 이름
無記往生
읽기] 무기 왕생
내용] 평생 아미타불을 염불하던 사람은 임종 후 반드시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말.
無得正觀
읽기] 무득 정관
무 득정관이라고 읽으면 득정관이 없다는 어뚱한 내용이 됨.
내용] 무소득의 정관
無等等
읽기] 무 등등
내용] 무유등등 [無有等等], 즉 버금할 만한 것이 없다. 부처님 존호 [尊號]
無量光明土
읽기] 무량 광명 토
내용] 아미타 부처님이 계시는 극락세계.
無量光天
읽기] 무량광 천
내용] 18천[天]의 하나 이 하늘에 나면 몸으로 한량없는 광명을 비춘다
無量壽經
읽기] 무량수 경
내용] 정토경전 중의 하나
無問自說
읽기] 무문 자설
내용] 묻는 사람도 없었는데 부처님이 스스로 말씀하신 경전.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
읽기] 무량수 경 우바제사 원생게
내용] 인도의 천친[天親]보살이 지은 책 이름. 왕생론[往生論]이라고도 함
無明見
읽기] 무명 견 무 명견 [x]
내용] 본질[理] 과 현상[事]을 모르는 그릇된 견해 무 명견으로 읽으면 명석한 견해가 없다는 엉뚱한 말이 됨.
無方釋義
읽기] 무방 석의
내용] 무방[無方]은 부정[不定]의 뜻
일정한 방법에 따르지 않고 자유로이 해석함
無法空
읽기] 무법 공 무 법공[X]
내용] 무법이란 과거와 미래의 법. 무법은 공[空]하여 없다는 이론.
무 법공이라고 하면 법공[法空]이 없다는 전혀 다른 내용으로 변함
無法有法空
읽기] 무법 유법 공
내용] 무법[과거.미래의 존재]과 유법[현재의 존재]이 모두 공하다는 것.
無分別智
읽기] 무분별 지 무 분별지[X]
내용] 불법의 최고 지혜인 진여지혜[眞如智慧]는 언어나 문자로써 분별하고 헤아려질 성질의 지혜가 아니므로 무분별의 지혜라고 했음. 무 분별지라고 읽으면 분별할 지혜력이 없다는 뜻이 됨.
無師智
읽기] 무사 지
내용] 스승 없이 혼자 얻은 지혜.
無上涅槃
읽기] 무상 열반
내용] 열반은 무상하다는 뜻. 무상으로서의 열반
無常堂
읽기] 무상 당
내용] 화장장, 다비장
無上道
읽기] 무상 도
내용] 위없는 보리[菩提]
無上上
읽기] 무 상:상
내용] 무상 무상[無上無上]으 뜻. 부처님은 더할 나위 없는 분이란 뜻. 부처님의 덕호[德號]
無常印
읽기] 무상 인
내용] 제행무상[諸行無常] 의 이론
無上正等覺
읽기] 무상 정 등:각
내용] 부처님의 깨달음은 무상[無上]하고 바르고 [正] 평등[等]한 깨달음[覺]이란 의미.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의 준말, 아 다라 삼먁삼보리를 번역한 말
無生無滅
읽기] 무생 무멸
내용] 생멸이 없음
無生法引
읽기] 무생 법인
내용]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진여[眞如]를 알고그곳에 머무르는 것.
無數劫
읽기] 무수 겁
내용] 한량없는 겁
無我觀
읽기] 무아 관
내용] 무아[無我],즉 모든 존재는 고정된 주관이 없다고 보는 수행법.
無我相
읽기] 무 아상
내용] 아상[我相], 즉 '나다, 주관이다'라는 개념이 없음.
無碍光如來
읽기] 무애광 여래
내용]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無緣佛
읽기] 무연 불
내용] 자기와 인연이 없는 부처님.
無畏施
읽기] 무외 시
내용] 두러워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보시
無碍光如來
읽기] 무애광 여래
내용]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無緣佛
읽기] 무연 불
내용] 자기와 인연이 없는 부처님.
無畏施
읽기] 무외 시
내용] 두러워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보시
無有等等
읽기] 무유 등:등
내용] 등[等]하게 등[等]할 수 없다.앞의 등은 버금한다. 뒤의 등은 오른다. 더 없이 많음.
無因無果
읽기] 무인 무과
내용] 인도 없고 과도 없다고 보는 외도의 견해.
無一物
읽기] 무 일물
내용] 하나의 물건도 없는 적정[寂精]한 경지
無自性
읽기] 무 자성
내용] 자성[自性]이 없음. 오직 인연의 화홥으로 생기고 없으짐.
無諍念王
읽기] 무쟁념 왕
내용] 아미타불이 수행하던 시절의 왕으로 태어났을 때의 이름.
無住處涅槃
읽기] 무주처 열반
내용] 생사와 열반에 머물지 않는 열반
無盡法界
읽기] 무진 법계
내용] 다함 없는 법계의 연기
無盡意菩薩
읽기] 무진의 보살
내용] 보살의 이름
無稱不
읽기] 무칭 불
내용] 아미타부처님의 다른 이름
無學道
읽기] 무학 도
내용] 모든 번뇌를 끊고 다시 더 배울 것이 없는 경지.
黙不二
읽기] 묵 불이
내용] 침묵으로 써 불이[不二]의 법문을 설한 유마[維摩]거사의 가르침.
門頭行者
읽기] 문두 행자
내용] 침묵으로써 불이[不二]의 법문을 설한 유마[維摩]거사의 가르침.
文殊師利經
읽기] 문수사리 경
내용] 문수사리의 질문에 부처님이 답한 경전.
聞卽信
읽기] 문즉 신
내용] 들은 대로 믿음
彌勒來時經
읽기] 미륵 래시 경
내용] 미륵경의 하나 미륵 하생 성불 경[彌勒下生成佛經]의 다른 번역
未曾有法
읽기] 미증유 법
내용] 불가사의한 일을 말한 경전
彌陀懺法
읽기] 미타 참법(- 뻡)
내용] 아미타부처님 앞에서 그간에 지은 죄를 참회 함.
泯權歸實
읽기] 민권 귀실
내용] 방편인 권[權]을 없애고 진실[實]에 들어감
半跏趺坐
읽기] 반:가부좌
내용] 반만 가부좌를 한 자세
半跏思惟像
읽기] 반:가 사유 상
내용] 열반에 들어감
般涅槃
읽기] 반 열반
내용] 열반에 들어감
般若經五家解說誼
읽기] 반야경 오가해 설의
내용] 수이[守伊]스님이 쓴 책. <금강경 오가해> 의 어렵고 중요한 귀절을 해석함.
般若流支
읽기] 반야류지 반야 류지 [X]
반야를 착각해 반야와 류지를 떼면 안됨.
내용] 인도의 스님으로 중국에 와 활동했음.
般若湯
읽기] 반야 탕:
내용] 반야는 지혜, 탕은 끓는 물, 술[酒]의 별말.
發大悲心
읽기] 발 대비심
내용] 대비심을 일으킴
發菩提心
읽기] 발:보리심
내용] 보리심을 냄.줄여서 발심[發心]
放光般若經
읽기] 방광 반야경
내용] 반야 경전의 한 부분
放生과 傍生
읽기] 방:생[放生],방생[傍生]
내용] 방:생은 잡은 생물을 놓아 줌이고,방생은 기어 다니는 짐승의 총칭.
方丈과 房帳
읽기] 방장[方丈], 방 짱 [房帳]
내용] 방장:주지스님. 방짱:방 안에 드리우는 휘장.
白栗寺金銅藥師如來立像
읽기] 뱅률사 금동 약사여래 입상
내용] 백률사에 봉안된 금동제 약사여래 입상.국보 제 98호
白月山南寺
읽기] 백원산 남사
내용] 창원 백월산에 있는 절
百花道場發願文略解
읽기] 백화도량 발원문 약해 백화도장 [x]
내용] 의상[義湘]스님이 지은 발원문.
煩惱業苦
읽기] 번뇌 업 고
내용] 번뇌 또는 혹[或]과 업[業]과 그로 인한 고[苦].
法寶壇經
내용] 법보 단경
내용] 육조 단경의 다른 말.
法身舍利
읽기] 법신 사리
내용] 부처님이 말씀하신 깊고 미묘한 가르침 그 자체.
百花道場發願文略解
읽기] 백화도량 발원문 약해 백화도장 [x]
내용] 의상[義湘]스님이 지은 발원문.
煩惱業苦
읽기] 번뇌 업 고
내용] 번뇌 또는 혹[或]과 업[業]과 그로 인한 고[苦].
法寶壇經
내용] 법보 단경
내용] 육조 단경의 다른 말.
法身舍利
읽기] 법신 사리
내용] 부처님이 말씀하신 깊고 미묘한 가르침 그 자체.
法印國師寶乘塔
읽기] 법인국사 보승탑
내용] 국보 176호, 서산 보현상에 있음.
法住寺捌相殿
읽기] 법주사 팔상전 별상전[x]
내용] 속리산 법주사에 있는 5층 목조 건물.
法華經論
읽기] 법화경 론
내용] 법화경의 주석서
法華二處三會
읽기] 법화 이처 삼회
내용] 법화경을 설하실 때 두 장소에서 3회에 걸쳐 했다는 말.
壁觀婆羅門
읽기] 벽관 바라문
내용] 달마대사의 별칭
菩提薩타
읽기] 보리 살타
내용] 상구보살 하화중생[上求菩薩 下化衆生]하는 보살.
普提子
읽기] 보리 자
내용] 보리수 열매 염주를 만듬.
普薩戒義疏
읽기] 보살계 의소
내용] 보살계본[普薩戒本]의 주석서 수나라 지의 가 씀.
菩薩摩訶薩
읽기] 보살 마하살
내용] 보살과 마하살. 10지 이상의 보살을 마하살이라고 함.
菩薩瓔珞本業經
읽기] 보살영락 본업경
내용] 보살의 수행 과정을 다룬 경. [영락경] 또는 [본업경] 이라고도 함.
普濟尊者三層石塔
읽기] 보제존자 삼층 석탑
내용] 나옹 선사의 탑
普照禪師彰聖塔
읽기] 보조선사 창성 탑
내용] 보조선사를 가리키는 탑 전남 장흥 보림사에 있음 국보 제263호
服藏陀羅尼
읽기] 복장 다라니
내용] 불상[佛像]이나 탱화를 조성하고 뱃속에 넣는 다라니.
福智二行
읽기] 복 지 이 :행
내용] 복[福]과 지혜의 두 가지 행[行]
6바라밀 중 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 바라밀은 복행[福行]으로 이타[利他]의 행이고,지혜 바라밀은 자리[自利]의 행임.
付法藏五師
읽기] 부 법장 오사
내용] 세존이 멸도하신 후 교법을 부촉 받은 다섯 선지식.
不動明王
읽기] 부동 명왕 부 동명왕 [X]
내용] 대일 여래[大日如來]가 악마를 항복시키기 위해 나타낸 변화신.
不思議境
읽기] 부사의 경
내용] 현재의 한 생각[一念]속에 모든 것이 들어 있으므로 부사의 경이라고 함.
不淨施
읽기] 부정 시 불정 시[X]
내용] 세속적 명예. 복리 등을 위해 하는 보시.
北迦葉庵
읽기] 부 가섭암 북가엽암[X]
내용] 공주 태화산에 있는 절
北俱盧洲
읽기] 부 구로 :주
내용] 수미산 북쪽에 있는 땅 쾌락이 승한 곳임.
北本涅槃經
읽기] 북본 열반경
내용] 북량[北凉]의 담무참이 번역한 열반경.
北山住部
읽기] 북산주 부
내용] 부처님이 돌아가신 후 200년경 생긴 부파.북산에 머물렀던 부파라는 뜻에서 북산주 부라고 함.
分陀利花
읽기] 분다리 화
내용] 범어 푼다리카[ Pundarika]꽃. 백련화[白連花]의 인도어.
分段生死
읽기] 분단 생사
내용] 중생들의 죽음. 시간적[分限]으로 생사하고 형체적[形段]으로 생멸하는 죽음.
分段身
읽기] 분단 신
내용] 중생이 업에 따라 받은 몸
分別說三
읽기] 분별설 삼
내용] 근기에 맞춰 3승[三乘]을 설하심
分別智相應念
읽기] 분별지 상응념
내용] 세간과 출세간의 법을 분별하고 이에 따르는 지혜.
糞掃衣
읽기] 분소 :의
내용] 세속 사람이 버린 헌옷을 주워 빨아서 만든 누더기 옷. 조각조각을 기워 만든 옷이란 뜻에서 납의 [衲衣]라고도 함. 납자[衲子],즉 중이란 용어도 여기서 나옴.
不可得空
읽기] 불가득 공
내용] 18공의 하나. 말과 생각이 모두 끊긴 곳에 세운 공[空]
不可思議光佛
읽기] 불가사의광 불
내용] 아미타 불의 다른 이름
佛家日用集
읽기] 불가 일용집
내용] 조선 고종 때 정행[井幸]이 지은 불자들의 일상 예절집.
佛法僧
읽기] 불 법 승
내용] 삼보[三寶] 부처님. 부처님의 가르침. 스님
佛法死人
읽기] 불법사인
내용] 비구로서 사 바라이 죄를 범한 이는 불법가운데 살 수 없는 죽은 자라는 뜻
四婆羅夷:사음[邪淫] 투도[偸盜] 살생[殺生] 망어[妄語]
不變隨緣
읽기] 불변 수연
내용] 불변[不變]하는 본체[本體]가 연[緣]을 따라 생기는 것.
不變異處
읽기] 불 변: 이 처
내용] 변이하지 않는 곳.
조산[曹山] 스님이 동산[洞山] 스님을 하직할때 물었다.
"어디로 가는가 ?" "불변이처로 갑니다 "
"불변이처에 어떻게 갈 수 있는가 ?" "가는 것도 불변입니다"
佛本行集經
읽기] 불 본행 집경 불본 행집경[x]
내용] 부처님의 전기를 기록한 책.
佛舍利
읽기] 불-사리
내용] 부처님의 유골
不相應心
읽기] 불- 상응 심
내용] 상응하지 않는 마음 진여심[眞如心]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번뇌 망상과 상응하지 않음.
佛所行讚
읽기] 불-소행 찬 불소 행찬[x]
내용] 석존으 생애를 시[詩]로 엮은 책. 마명[馬鳴]보살 지음.
佛眼尊
읽기] 불안 존
내용] 부처님의 눈을 인격화하여 존[尊]으로 한 단어.
卑下慢
읽기] 비하 만
내용]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을 비하하는 생각.
悲華經
읽기] 비화 경
내용] 경전 명칭
貧者一燈
읽기] 빈자 일등
내용] 가난한 사람의 등불이 더욱 빛났다는 비유 설화
捨家棄欲
읽기] 사가 기욕
내용] 세상의 욕심을 버리고 5욕을 끊기 위해 승려가 됨.
娑伽羅龍王
읽기] 사:가라 용왕
내용] 세상의 욕심을 버리고 5욕을 끊기 위해 승려가 됨.
寫經
읽기] 사:경
내용] 경전을 옮겨 쓰기
四苦八苦
읽기] 사:고 팔고
내용] 생.노.병.사의 네 가지 고와 애별리고 [愛別離苦], 원증회고 [怨憎會苦], 오온성고 [五蘊盛苦],구부득고 [求不得苦]의 4고를 더한 고.
四大部經
읽기] 사: 대: 부경
내용] 부수[部數]가 많은 네 가지 경. 화엄경, 열반경, 보적경, 반야경
四大不調
읽기] 사 :대 부조
내용]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가 조화되지 않아서 생긴 병
舍利不阿毘曇論
읽기] 사리불 아비담 론
내용] 후진[後秦]의 담마야기가 쓴 책.
四溟堂集
읽기] 사: 명당 집
내용] 사명당 송운[松雲] 스님의 시집[詩集]
四滿成佛
읽기] 사:만 성불
내용] 신만[信滿]. 해만[解滿]. 행만[行滿]. 증만[證滿]을 이룬 성불.
四無量心
읽기] 사: 무량심
내용] 자[慈]. 비[悲]. 희[憙]. 사[捨]의 네 가지 무량심.
四無所畏
읽기] 사: 무소외
내용] 불.보살이 설법할 때 네 가지의 두려움이 없음
沙門과 寺門
읽기] 사문[沙門], 사:문[寺門]
내용] 사문은 스님, 사:문은 절문
沙門不敬王者論
읽기] 사문 불경 왕자 론
내용] 동진[東晉]의 혜원[慧遠]이 지은 책. 사문은 임금이나 어버이에게 예경할 필요가 없음을 주장.
四門遊觀
읽기] 사:문 유관
내용] 태자 고타마 싯다타가 동서남북 네 문에서 생로병사의 현상을 보고 출가를 결심한 것.
四法界
읽기] 사: 법계
내용] 사법계[事法界], 이법계[理法界],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의 네가지 법계.
四大部經
읽기] 사: 대: 부경
내용] 부수[部數]가 많은 네 가지 경. 화엄경, 열반경, 보적경, 반야경
四大不調
읽기] 사 :대 부조
내용]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가 조화되지 않아서 생긴 병
舍利不阿毘曇論
읽기] 사리불 아비담 론
내용] 후진[後秦]의 담마야기가 쓴 책.
四溟堂集
읽기] 사: 명당 집
내용] 사명당 송운[松雲] 스님의 시집[詩集]
四法因
읽기] 사: 법인
내용]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 열반적정[涅槃寂靜]의 법인
四分律
읽기] 사:분 - 율
내용] 율부[律部]의 네 가지
四部衆
읽기] 사부 중
내용] 사부 대중
四不可說
읽기] 사: 불가설
내용] 네 가지의 불가설 헤아리기 어려운 네 가지의 부처님 경계
四佛知見
읽기] 사:불 지견 사불 지견[x]
내용] 네 가지의 불지견 개시오입[開晨舵]의 불지견을 말함.
四事供養
읽기] 사:사공양
내용] 의복.음식.탕약.침구의 네 물건 공양
事事無碍法界
읽기] 사사 무애 법계
내용] 현상계의 물물이 서로 장애되지 않는 법계
四聖諦
읽기] 사:성:제 사 성체[x]
내용] 고[苦].집[集].멸[滅].도[道]
四攝法
읽기] 사:섭법
내용] 중생을 불도에 끌어들이기 위한 네 가지 방법. 보시[布施].애어[愛語].이행[利行].동사[同事]
蛇繩麻喩
읽기] 사 승 마 유
내용] 뱀.노끈.삼[麻]으로 비유한 존재의 설명
밤에 노끈을 밝고 뱀이라고 착각하지만 실은 노끈이며 노끈의 실체는 삼이라는 것.
四時坐禪
읽기] 사:시 좌선
내용] 황혼, 밤중, 새벽, 아침의 좌선
四阿含經
읽기] 사: 아함경
내용] 장: 아함경, 중: 아함경, 잡 아함경, 증일 아함경의 네 아함경.
四安樂行
읽기] 사: 안락행
내용] 신[身].구[口].의[薏].서원[誓願]안락행. 법화경
안락행원품에 기술됨.
四如意足
읽기] 사: 여의족
내용] 네 가지의 여의[如意]와 만족
四天王寺
읽기] 사:천왕 사
내용] 경주에 있는 절.
四弘誓願
읽기] 사: 홍서원
내용] 중생을 건지고, 번뇌를 끊고, 법문을 배우고, 불도를 이루기 위한 네 가지 넓은 서원.
山門黜送
읽기] 산문 출송 산문 점송[x]
내용] 산문, 즉 절에서 떨어냄.
三車
읽기] 삼거 삼차[x]
내용] 법화경 비유품에 나오는 양거[羊車]. 녹거[鹿車]. 우거[牛車]
三階敎
읽기] 삼계 - 교
내용] 중국 송나라의 신행[信行]이 만든 불교 교과의 하나.
三界萬靈牌
읽기] 삼계 말령 패
내용] 연고 없는 사람의 혼을 위해 안치한 위패.
三界唯一心
읽기] 삼계 유일심
내용] 삼계가 오직 마음에 의해 생긴다는 것.
三郞寺址幢竿支柱
읽기] 삼랑사지 당간 지주
내용] 경주 삼랑사 터에 있는 당간 지주.
三密加持
읽기] 삼밀 가지
내용] 부처님의 삼밀[三密]과 상응하는 가피를 얻음.
삼밀이란 신[身] 구[口] 의[意]의 삼업[三業]
三師七證
읽기] 삼사 칠증
내용] 수계할 때 증인으로 나서는 전계[傳戒] 갈마[竭磨] 교수[敎授]. 3화상과 7명의 덕 높은 큰스님들.
三邪行
읽기] 삼 사행
내용] 사어[邪語] 사업[邪業] 사명[邪命]
三三昧
읽기] 삼 삼매
내용] 공삼매[空三昧] 무상삼매[無常三昧] 무원삼매[無願三昧]
三善知識
읽기] 삼 선지식
내용] 교수[敎授]선지식: 남을 잘 지도하는 선지식.
동행[同行]선지식: 서로 돕고 책려해 함께 공부한는 선지식.
외호[外護]선지식: 외부에서 옹호하며 간접적으로 돕는 선지식.
三世實有法體恒有
읽기] 삼세 실유,법체 향유
내용] 삼세: 과거,현재.미래
법체: 모든 존재 과거,현재,미래에 출현하는 모든 존재는 실제 한다고 보는 이론.
三世諸佛
읽기] 삼세 제불
내용] 과거, 현재, 미래에 출현하는 모든 부처님.
三乘敎
읽기] 삼승 교
내용] 성문,연각,보살의 가르침과 수행법
三時敎
읽기] 삼시 교 삼 시교[x]
내용] 부처님 일대의 설교를 셋으로 나눈 것. 유교[有敎] 공교[空敎] 중도교[中道敎]
三身業
읽기] 삼 신업
내용] 세 가지의 신업. 살생, 투도, 사음
三時業
읽기] 삼시 업 삼 시업[x]
내용] 선과 악의 행위의 결과를 받는 3단계 현세에 지어 현세에 과보를 받는 순:현수업[順現受業] 현세에 지어 다음 생에 받는 순:차수업[順次受業] 현세에 지어 제2세 이후에 받는 순:후수업[順後受業]
三身如來
읽기] 삼신 여래 삼 신여래[x]
내용]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
三業不二門
읽기] 삼업 불이:문
내용] 신.구 의의 삼업이 서로 상치되지 않는다는 법문.
三業四威儀
읽기] 삼업 사:위의
내용] 신.구 의의 삼업과 행[行] 주[住] 좌[坐] 와[臥]의 4위의 우리들 행동의 모든 것
三願的證
읽기] 삼원적 증
내용] 중국 정토종의 대가 담란[曇鸞]이 지은 책
三有爲法
읽기] 삼 유위법
내용] 세 가지의 유위 인연으로 생기는 사물을 유위라 함.
三有爲相
읽기] 삼 유위상
내용] 유위의 세 가지 형태
1.생상[生相]: 미래의 사물을 현재에 있게 함
2.이상[異相]: 현재의 것을 쇠퇴하게 함
3.멸상[滅相]: 쇠퇴하다가 없어지게 함
三律儀
읽기] 삼 율의 삼율 의[x]
내용] 계율을 세 가지로 나눈 것
三應供養
읽기] 삼 응공양 삼응 공양[x]
내용] 공양을 받을 만한 세 분
1. 여래 2. 아라한 3. 국왕
三衣一鉢
읽기] 삼의 일발
내용] 세 가지의 옷과 발우 하나
三因佛性
읽기] 삼인 불썽
내용] 3종 인[因]의 불성
三長齋月
읽기] 삼 장재월
내용] 1월, 5월, 9월 석달은 각각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재계[齋戒]하는 달이라는 뜻.
三轉法輪
읽기] 삼전 법륜
내용] 부처님이 녹야원에서 세 번 굴린 법륜.
三尊來迎
읽기] 삼존 내영
내용] 아미타불 염불을 열심히 하면 임종 때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의 삼존이 와서 데리고 간다고 함.
三卽一
읽기] 삼 즉 일
내용] 삼승[三乘]이 곧 일승[一乘]이라는 주장
三處傳心
읽기] 삼처 전심
내용] 부처님이 세 군데에서 가섭에게 마음을 전한것
1. 염화미소
2. 다자탑[多子塔]앞에서 자리를 나눠 앉으심
3. 쌍림[雙林]의 관[棺]에서 발을 내민 것
三千大千世界
읽기] 산천 대:전 세:계
내용] 수미산을 중심으로 4대주가 있고 그 밖으로 철위산이 있다
이 세계를 1세계,1세계를 천개 합치면 1소천계[小千界]소천계를 1천 개 합치면 1중천계[中千界] 천 개의 중천계가 1대천세계. 1대천세계에는 소천,중천,대천의 천[千]이 있음으로 삼천의 대천세계라고 함.
三諦圓融
읽기] 삼제 원융 삼체원융[x]
내용] 공[空] 가[假] 중[中] 의 삼제가 원융함.
三七一思惟
읽기] 삼칠 일 사유
내용] 부처님이 깨닫고 나서 3x7,21일동안 홀로 음미하시며 깨달은 경지에 대하여 다시 확인 정리하신 일.
三品懺悔
읽기] 삼품 참회
내용] 세 종륭의 참회
1. 상품[上品]참회: 온몸의 털구멍과 눈에서 피가 나도록 참회함.
2. 중품[中品]참회: 온몸에서 땀이 나고 눈에서 피가 나도록 참회함
3. 하품[下品]참회: 옴몸에 열이 나고 눈물이 쏟아지는 참회.
三勳習
읽기] 삼 훈습
내용] 세 가지의 훈습
아집[我執]훈습, 유지[有支]훈습, 망언[亡言]훈습
유지[有支]란 12연기 중 유[有]를 말함
相部宗
읽기] 상부 종
내용] 당나라 법려 스님이 세운 율종[律宗]
常樂我淨
읽기] 상 락 아:정
내용] 열반의 4덕[德]
상 : 열반의 경지는 변함이 없음.
락 : 열반에는 생사의 고통이 없이 즐거움만 있음.
아 : 열반에는 아집[我執]이 없음.
정 : 열반에는 번뇌가 없어 청정함.
商量浩浩地
읽기] 상량 호호지
내용] 상량이 호호함.
상량 : 헤아려 생각함,서로 문답함.
호호 : 물이 넘쳐 급히 흐르는 모습
지[地] : 어조사
"문답을 주고 받는 것이 급하고 급하다" 의 뜻
常不經菩薩
읽기] 상 불경 보살
내용] 항상 남을 경망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법화경 보살.
相似覺
읽기] 상사 각
내용] 진실한 각[覺]이 아니고 비슷한 각
常夜燈
읽기] 상야- 등
내용] 밤마다 부처님께 켜 공양하는 등
上座部
읽기] 상: 좌 - 부
내용] 인도 소승교 20부파 중의 1파
色卽是空
읽기] 색즉 시:공
내용] 색과 공이 일치함
生得善
읽기] 생득 선
내용] 나면서 타고 난 착한 마음
生無性
읽기] 생 무성
내용] 인연으로 생긴 것은 자성[自性] 이 없다는 말.
生佛不二
읽기] 생 불 불이
내용]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님 생불일여[生佛一如]와 같음
生法二空觀
읽기] 생 법 이공 관
내용] 생공관 [生空觀]과 법공관[法空觀]
생공관: 아집[我執]은 공하다는 관.
법공관: 아집에 으해 일어나는 물질 심[心]이 모두 공하다는 관
生住異滅
읽기] 생 주 이:멸
내용] 생기고 머물고 변화하고 소멸함
西方同居土
읽기] 서방 동거:토
내용] 서방에 있는 아미타불의 정토 범부와 성인이 함께 사는 곳
西域求法高僧傳
읽기] 서역 구법 고승전
내용] 당나라 의정[義淨]스님이 쓴책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읽기] 서역 중화 해동 불조:원류
내용] 인도,중국,한국의 전법계통을 엮은 책
瑞應本起經
읽기] 서응 본기 경
내용] 서응경이라고 함. 부처님의 전생[前生]부터 성도, 초전법륜을 기록함
序正流通三分
읽기] 서:정: 유통 삼분
내용] 경전의 서분[序分],정종분[正宗分] 유통분의 삼분을 통칭함.
釋提桓因
읽기] 석 제환인 석제 환인[x]
내용] 석은 석가,제환은 제바에서,인은 인드라에서딴 것. 능천주[能天主]라고 함. 도리천의 주인
釋摩訶衍論
읽기] 석 마하연 론
내용] 마하연[Mahayana]을 해석한 책 용수보살 지음
釋門家禮抄
읽기] 석문 가례 초
내용] 석문[釋門]의 길흉에 예절을 쓴 책. 조선조 진일[眞一]이 엮음.
釋淨土群疑論
읽기] 석 정토 군의론
내용] 당나라 회감[懷感]이 지은 정토교 책.
善見律毘婆沙論
읽기] 선:견율 비바사:론
내용] 율장 번역서 마갈타국 불음[佛音]이 지음
善見天
읽기] 선:견 천 선:견천 [x]
내용] 사방을 보는 것이 자유 자재로운 하늘
색계[色界] 제4선천[第四禪天]의 하나
善巧方便
읽기] 선:교 방편 선 교방편[x]
내용]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 오묘하고 근기에 맞는 것. 선 교방편이라고 읽으면 교묘한 방편에 능함이 되니 주의해야 함.
禪敎兩宗
읽기] 선교 양:종
내용] 선종[禪宗] 과 교종[敎宗]
'불교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ㅂ - 14> (0) | 2023.07.02 |
---|---|
불교 사자성어 (2) | 2023.05.07 |
정토삼부경 용어해설 (0) | 2022.08.14 |
불교 영어 단어공부 (0) | 2022.06.05 |
불교용어 (고거심~공화) (0) | 2021.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