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반야심경 해설-12. 照見五蘊皆空 ⑦ 오온(五蘊)의 개공(皆空) 오온(五蘊)에 의지해서 "나"라는게 있습니다. 오온(五蘊)이 없다면 "나"라는 것도 있을 수 없습니다. 내 몸을 나다..라고 여기는 것이고, 내 마음을 나다..라고 여기는 것입니다. 여기서 잘 따져봅시다. "나"는 하나이고, "나"라고 여기는 것들은 다섯개, 즉 오온(五蘊)입니다. 어느 하나가 딱 .. 반야심경 2017.11.05
[스크랩] 반야심경 해설-11. 照見五蘊皆空 ⑥ 오온(五蘊)의 뜻 오온(五蘊)이란 인간이 바로 "나"라고 여기는 것을 뜻합니다. 온(蘊)이란 무더기/집합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오온(五蘊)이란 다섯가지 집합체라는 뜻 입니다. 오온(五蘊)이란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입니다. 사람이 "나"라고 여기는 것은 바로 몸과 마음입니다. 내 몸을 나로 여기고,.. 반야심경 2017.11.05
[스크랩] 반야심경 해설-10.照見五蘊皆空 ⑤ 무상/고/무아 and 공/무상/무원 무상/고/무아와 삼법인, 그리고 공/무상/무원이라는 삼해탈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과 이 둘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우선 진제와 속제 즉 이제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합니다. 1. 진속이제(眞俗二諦) 우선 제(諦)라는 뜻은 진리라는 의미입니다. 이제(二諦)이므로 .. 반야심경 2017.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