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7

금강반야바라밀경 (한글로 된 원문)

금강반야바라밀경​◎ 법회인유분 제일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천이백오십인구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사위대성걸식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세족이 부좌이좌​◎ 선현기청분 제이 시 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이백불언 희유세존 여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세존 선남자 선녀인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불언 선재선재 수보리여여소설 여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여금제청 당위여설 선남자선녀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응여시주 여시항복기심 유연세존 원요욕문​◎ 대승정종분 제삼​불고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 소유일체 중생지류약란생 약태생 약습생 약화생 약유색 약무색 약유상 약무상약비유상 비무상 아개영입 무여열반 이멸도지 여시멸도무량무..

[돈오,깨달음에 이르는 길 ] <33> 여여의 뜻"온갖 시비분별 사라진 마음자리텅빈 그대로의 마음이 ‘여여’며깨달음이니 더 닦을 것도 없어"

원순스님 송광사 인월암 삽화=손정은 온갖 시비분별 사라진 마음자리텅빈 그대로의 마음이 ‘여여’며깨달음이니 더 닦을 것도 없어…​말길이 끊어지고 마음 갈 곳이 사라진 텅 빈 마음자리가 변함없이 영원한 것을 ‘여여’라 합니다. 이 자리를 대주스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원문 번역: 문) 여여란 무엇을 말합니까? 답) 여여는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마음이 참으로 고요하고 변함이 없이 여여 하므로 ‘여여’라고 한다. 과거 모든 부처님도 이 여여한 행을 실천하여 도를 이루시고, 현재의 부처님도 이 행을 실천하여 도를 이루시며, 미래의 부처님도 이 행을 실천하여 도를 이루신다.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닦아 도를 증득한 것이 이와 조금도 다를 게 없으므로, 이를 여여라고 한다. 에서 “모든 부처님도..

선지식 2025.03.30

포교사 필기시험대비(요약)

【 포교사 필기시험대비(요약) 】​ 부처님 생애​불교 4대 명절4/8(탄생), 2/8(출가-29세), 12/8(성도-35세), 2/15(열반-80세) ※ 7/15(백중 포함 5대 명절)​* 17세 결혼(야소다라)→꼴리야족(같은 선조 ‘옥까까’의 후손으로 친족) ↳아들 라훌라 탄생(장애)→ 부처님이 29세 때 태어남.​불교 4대 성지-룸비니동산(탄생), 부다가야(성도), 쿠시나가라(열반), 녹야원(초전법륜)​상징물-무우수/아쇼카나무(탄생), 보리수나무(성도), 사라쌍수나무(열반)​사문유관동문(老), 남문(病), 서문(死), 북문(수행자/출가결심) ↳ 출가-동문, 마부-찬나/찬타카, 애마-칸타카​자타카(본생담)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민간설화 형식)​탄생게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天上天下 唯我獨尊..

<전도몽상(顚倒夢想)>

​​에 전도몽상(顚倒夢想)이란 말이 나온다. 중생이 잘못된 생각으로 착각을 해서 진실을 잘못 보고 있는 것을 말한다. ‘전도(顚倒)’란 앞과 뒤가 뒤바뀐다는 뜻이다. 모든 사물을 바르게 보지 못하고 거꾸로 보는 것이다. ‘몽상(夢想)’은 꿈이나 헛것을 현실이나 실제로 착각하는 것이다. 즉, 본디 그것이 가짜인데도 착각해서 진짜로 왜곡되게 인식한다는 뜻이다. 또한 헛된 꿈을 꾸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꿈인 줄을 모르고 현실로 착각하고 있는 것, 즉 무명 번뇌에 사로잡힌 중생들이 갖는 잘못된 견해를 말한다. 여기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눈앞의 모든 현상이 결국은 다 없어지고 말 것인데도 영원불멸한 것으로 착각하는 것, 자기의 생명이나 권세나 재물도 결국은 없어지고 말 것인데도 영원할 것으로 집착하는 ..

법문과 수행 2025.03.30

陶淵明(도연명)의 歸去來辭(귀거래사) 陶淵明(도연명)의 歸去來辭(귀거래사)五斗米 때문에 鄕吏에게 허리 굽혀 알랑거리지 않겠노라!

陶淵明(도연명)의 歸去來辭(귀거래사)五斗米 때문에 鄕吏에게 허리 굽혀 알랑거리지 않겠노라!​​안종운 한자신문陶淵明은 中國 東晋사람으로 中國의 代表的인 詩人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陶淵明의 여러 作品중에 歸去來辭는 그가 公職生活을 하다가 性品에 맞지않아 辭職하고 故鄕으로 돌아 가면서 지은 시로 겉으로 보기에는 순수한 自然을 노래한 內容같지만 그 속에는 深大한 內容이 깃들여져있어 數千年을 두고도 지금까지 여러 사람들에 의해 膾炙 되고 있으며 특히 요즈음같이 名譽退職등을 理由로 자의반 타의반 公職을 떠나는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다들 한번씩은 읊조려 볼 것이다‘歸去來辭’의 ‘歸’는 辭典的으로 풀이해 보면 帰의 본자로 追의 變形과 婦생략형인 帚(비추)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古代에는 妻家에서 一定期間 勞動을 한후 새색..

기타 2025.03.30

현대사회에 대응한 불교적 삶의 양식 / 조현봉

1. 시작하는 말​현대사회는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과 급속한 정보 지식화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사회에 공유하고 있는 공통적 가치와 믿음, 문제해결에 필요한 해법 등이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 변화에 부응해 개인 삶의 양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물질이 정신을 지배하고 이기주의가 팽배하는 현상은 삶의 기본 가치관을 무너뜨려 이른바 ‘도덕적 공황 상태’가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과 정의에 의한 정치적 접근이나 합리와 상식 규범에 의한 사회적 접근은 더 이상 문제해결의 수단이 되지 못한다.​현대인은 지금껏 살아온 삶의 방식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요구받고 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등에 대한 질..

불교관련 2025.03.30

[쉽게 읽는 선문정로] 견성이 바로 성불이다 / 성철스님

쉽게 읽는 『선문정로』 2 - 제1장 견성즉불見性卽佛​[원문] 성철 스님[옮김] 활 인 검   편집자 | 【번호】·【평석】·【강설】은 성철 스님이 직접 쓰신 것이다. 【1-1】은 제1장 제1절이라는 의미다. * 표시가 붙은 것은 보다 쉽게 풀이한 것이다.  【1-1】 ①견성을 하면 즉시에 구경무심경究竟無心境이 현전現前하여 약과 병이 전부 소멸되고 교敎와 관觀을 다 휴식하느니라. ①纔得見性하면 當下에 無心하야 乃藥病이 俱消하고 敎觀을 咸息하느니라. (『宗鏡錄』 1 「標宗章」, 『大正藏』 48, p419c.) * ‘참다운 본성[空性]을 체득’하면 곧바로 궁극적 경지인 ‘집착 없는 마음’이 나타나므로 약과 병이 모두 사라지고 [인위적인] 경전 공부와 수행도 다 쉬게 된다. 【평석】 진여혜일眞如慧日의 무한광명은..

성철스님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