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철학 70

인도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I_(2)

II. 초기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수행생활 1. 상가의 의미 종교가 성립되는데 필요한 조건은 교조와 교법, 그리고 교단으로 불교에서는 불·법·승 삼보(三寶)로 표현되는데, 이 중 어느 하나가 빠져도 불교는 성립한다 수 없다. 여기서 승(僧)이라고 하는 것을 '상가(saṁgha)'라고 하는데 '僧伽'는 한문으로 변역할 때 音寫된 것으로서 이를 줄여서 '僧'이라고 한 것이다. ​ 상가는 원래 보통명사로서 불교 교단만을 지칭하는 말은 아니었다. 부처님시대에는 상가라고 하는 명칭을 사용하는 단체가 불교 교단 이외에도 있었다. 이 용어는 종교 단체의 명칭으로 쓰여지기 전부터 정치적 단체나 상공업자 조합 등을 의미하는 말로 쓰여지고 있었다. ​ 부처님시대에는 갠지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북인도 지방 일대에서..

인도 철학 2020.11.08

인도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Ⅰ_(1)

2015년 1월 한 달간 『불교학보』 제36집(1999년)에 실렸던 「인도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Ⅰ- 초기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을 게재합니다. ​ ​ 인도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 - 초기불교 교단의 성립과 발전 - ​ ​ 1. 들어가는 말 ​ 불교는 인도의 풍토에서 발생한 종교이자 철학으로서 초기불교시대에서 시작해서 부파불교, 대승불교로 발전하면서 5,6세기경까지는 그 교리가 완전하게 조직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시까지 발달한 인도 사상의 모든 것을 융합·통일하여 그 정수를 갖추게 됨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종교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불교는 인도 사상의 극치라고 말할 수 있다. ​ 인도 사상사에 있어서 불교는 초기 우빠니샤드 시대(800 - 500 B.C)..

인도 철학 2020.11.08

[인도철학사] 7. 상키야 요가철학

[인도철학사] 제7장 상키야 요가철학 길희성: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전공. 저서-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목 차 ▒ ■ 제2부 인도철학의 체계화 제7장 상키야 요가철학 1. 인도철학의 체계화 2. 상키야 요가철학의 전통 3. 물질 4. 정신 5. 해탈론 제7장 상키야 요가철학 1. 인도철학의 체계화 ▲ 위로 지금까지 우리는 서력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원전 2세기 가량에 걸친 인도철학의 형성기를 고찰해왔다. 이 기간을 인도철학의 형성기라 부르는 것은 이 기간에 다양하고 창의적인 철학적 사상들이 형성되어 후세에 와서 체계화된 철학적 학파들의 근본성격을 결정지어 주는 밑바탕..

인도 철학 2020.10.25

[인도철학사] 6. 바라문교의 재정비

[인도철학사]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길희성: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전공. 저서-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목 차 ▒ ■ 제1부 인도철학의 형성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1. 바라문교의 불교 2. 쉬바신과 비슈누신의 신앙 3. 바가바드 기타의 사상 4. "해탈법품"에 나타난 철학사상 5. 바라문적 사회윤리의 확립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1. 바라문교의 불교 ▲ 위로 불교나 쟈이나교와 같은 자유사상적 종교운동은 종래의 바라문교의 전통에 커다란 타격을 가했다. 바라문전통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베다의 제사의식과 이에 따르는 바라문계급의 종교적, 사회적 권위에 있었던 것이다. 불..

인도 철학 2020.10.25

[인도철학사] 5. 소승부파불교철학의 발전

[인도철학사] 제5장 소승부파불교철학의 발전 길희성: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전공. 저서-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목 차 ▒ ■ 제1부 인도철학의 형성 제5장 소승부파불교철학의 발전 1. 부파불교의 전개 2. 상좌부의 철학 3. 설일체유부의 철학 4. 경량부와 독자부 5. 대중부의 불교사상 제5장 소승부파불교철학의 발전 1. 부파불교의 전개 ▲ 위로 불타의 마지막 날들에 관하여 상세히 전하고 있는 소승경전의 "대반열반경"에 의할 것 같으면, 불타는 그의 입적을 앞두고 아난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아난다여, 너희들 가운데 어떤 사람은 '스승의 가르침이 끝났다. 우리..

인도 철학 2020.10.11

인도 고대종교의 회통으로서의 석가모니의 인식과 실천

인도 고대종교의 회통으로서의 석가모니의 인식과 실천 Ⅰ. 들어가는 말 Ⅱ. 인도 고대종교의 회통으로서의 석가모니의 인식 Ⅲ. 인도 고대종교의 회통으로서의 석가모니의 실천 IV.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인도는 서남 아시아의 관문이다.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을 경계로 하여 네팔․티벳․중국 등과 국경을 맞대었고, 서쪽으로는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에 연하여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데, 해안의 서쪽은 아라비아 해, 남쪽은 인도양(印度洋) 동쪽은 벵골(Bengal)만이다. 옛부터 이 곳은 페르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통하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동양이라는 지정학적(地政學的) 특성과 함께 서구적 풍모를 골고루 갖추고 있다. 인도의 지리적 특성은, 먼저 그 광막한 땅의 넓이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인도 영토의 ..

인도 철학 2020.10.01

[인도철학사] 3. 우파니샤드의 철학

[인도철학사]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길희성: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 전공. 저서-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목 차 ▒ ■ 제1부 인도철학의 형성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1. 우파니샤드의 성격 2. 초기 우파니샤드의 철학 3. 중후기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1. 우파니샤드의 성격 ▲ 위로 베다와 브라흐마나에서 이미 보이기 시작한 고대 인도인에 의한 세계의 통일적 원리에 대한 사유는 우파니샤드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룬다. 눈에 보이는 다양한 경험적 현상을 궁극적인 실제로 보지 않고 그 근저에 보이지 않는 통일적인 실제를 탐구하려는 형이상학적인 사유이다. 이..

인도 철학 2020.09.20

불교와 자이나교의 불살생론 비교

머리말 몇 주일 전의 일이다. 무심코 채널을 돌리다가 보게 된 불교텔레비전에서 한 스님의 설법 장면을 녹화 방영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스님은 한참 동안을 강한 어조로 ‘외도(外道)’를 비판하고 있었다. 앞뒤 없이 시청하게 되어 저간의 사정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 설법의 분명한 요지는 “불교만이 최상의 진리”라는 것이었다. 가우타마 붓다(Gautama Buddha)의 당대에도 그러하였고 지금도 그러하다는 것이었고, 외도 역시 붓다 당대에도 그랬듯이 현 시점에서도 그릇되고 사악한 길이니 결코 빠져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변하고 있었다. 그 설법을 듣고 나서 필자는 텔레비전의 화면 속에 간간이 비춰지던 청중들의 내심이 자못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불교만이 진리의 길이요, 외도는 삿된 길이라….’ 그러..

인도 철학 2020.08.09

(종교사) 불교발생의 배경

불교발생의 배경 불교가 발생하게된 역사적 사회적 사상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그러한 상황속에서 불교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본불교란 부처님의 근본사상이 살아있는 가르침이란 뜻입니다. 이제는 불교가 발생하게 되었던 역사적, 사회적, 사상적 상황속에서 부처님이 어떠한 목적을 갖고 어떠한 의미속에서 당신의 가르침을 펴셨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목적의식을 알아보겠습니다. # 근본불교를 객관적 입장에서 보려면? 부처님의 근본불교를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자면 다른 종교와의 비교속에서 보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도 당시의 사상적 흐름과 주장을 살펴보고, 불교가 발생한 사회적 조건을 살펴보는 의미에서 인도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처님 당시의 사회..

인도 철학 2020.07.05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백진순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 「분별유가품」 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제16호(2007.4) 백 진순(연세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Ⅰ. 들어가는 말 요가는 인도 철학의 특징을 드러내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사실 인도 철학의 전통에서 학문하는 방법이나 수행은 모두 요가를 바탕으로 삼는다고 할 수 있다. 이 요가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우파니샤드」나 「바가바드기타」와 같은 고대 인도의 성전들이나 자이나교와 불교의 경론에서도 모두 요가의 교의를 받아들인다. 그 문헌들에서는 궁극의 절대자 또는 실재와 하나되기 위해 행해졌던 다양한 지적 탐구와 실천적 행위들이 모두 요가라고 표현된다. ‘요가’의 의미는 너무도 다양해서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인도 철학에서 요가의 ..

인도 철학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