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상 2

아함경에서의 공사상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김 태 완 (부산대) 차 례 Ⅰ. 서 론 Ⅱ. 空觀 (1). 五蘊을 觀함 (2). 六根을 觀함 (3). 空의 의미 Ⅲ. 空處定 Ⅳ. 空三昧 Ⅴ. 결 론 Ⅰ. 서 론 불교에서의 '空'이라는 말은 대체로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이며 전유물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소수의 연구서 이외에 대다수의 교리 개설서나 교리사에서는 空思想을 대승불교의 핵심으로 다루며, 초기불교에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물론 '공'이 般若나 中觀 등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공'으로 표현되는 사상을 탐구해 보아야 할 이유가 몇 가지 있다. 첫째, 무엇 보다도 아함경에서의 붓다의 교설 가운데 중요한 부분에 '공'이라는 용어가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空' 자가 經名으..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김선근*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Ⅰ. 머리말 Ⅱ. 법화경의 구성과 성립사 Ⅲ.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의 背景 Ⅳ. 法華經에 나타난 空思想 Ⅴ. 맺음말 요약문 공의 사상은 원시불교의 ‘제행무상’이나 ‘제법무아’라는 관념을 받아들인 사상이다. 空思想은『아함경』이나 아비다르마 불교에도 있지만 이 空思想을 더욱 심화시켜 존재하는 모든 것의 본성은 空이라 하고, 법이 空함과 법에 자성이 없음을 분명히 했던 것은『금강경』이다. 『법화경』에 나타난 空사상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제 14 「안락행품」, 제 16 「여래수량품」, 제 4 「신해품」, 제 5 「약초유품」 그리고 제 10 「법사품」에 나타나 있다. 제 10 「법사품」을 제외한 모든 品들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계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