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무경 4

유식무경 - 김태완

유식무경 1. 서론 부산대/김태완 불교의 唯識說은 彌勒(Maitreya)과 無著(Asa ga)을 거쳐서 世親(Vasubandhu)이 완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유식설에 관한 세친의 대표작은 『唯識三十訟』·『唯識二十論』·『三性論偈』 등이다. 唯識說이란 곧 唯識無境說로서 간략히 말하면, 識만 있고 그 識 속에 나타나는 사물은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 즉 識의 대상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對象非實在論이다. 唯識의 싼쓰끄리뜨어는 Vij apti-m tra인데, 여기서 識으로 번역되는 것은 Vij apti이다. 똑같이 識으로 번역되는 Vij na에 인식주체(인식주관과 인식기관)·인식작용(요별작용)· 인식내용(인식표상)이라는 의미가 주어져 있는 반면에, Vij apti는 인식작용·인식내용의 의미만 주어지고 인식주체라는 ..

불교관련 2022.05.08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 한자경 저 / 자료입력:박미숙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한자경 저/자료입력:박미숙 ※ 지은이의 말 ※ 들어가는 말 1. 마음 밖에 다른 법은 없다 2. 유식 불교의 전개 ― 무상유식과 유상유식 제 1장 색의 실유성 비판 1. 유부의 극미실재론 1) 극미실유의 의미 2) 극미의 성질 3) 극미의 집적과 개체 존재 2. 극미실유성에 대한 유식의 비판 1) 극미실재론의 논리적 불가능성 2) 극미실재론의 인식론적 불가능성 3. 전오식의 소연경으로서의 개체 1) 오경의 비실유성 2) 오근의 비실유성 제 2장 명의 실유성 비판 1. 유부의 명구문신실재론 2. 명구문신실유성에 대한 유식의 비판 3. 제6 의식의 소연경으로서의 관념 1) 사유 대상으로서의 법경 2) 개념적 허망분별 3) 비유적 언어관 제 3장 식의 심층 구조 1. 식..

유식무경唯識無境 -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한자경

유식무경 작가 한자경 출판 예문서원 발매 2000.12.20 리뷰보기 - ‘唯識無境,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 붓다께서 설파하신 佛法이 시대를 거쳐 전파되는 과정에서 많은 분파와 갈래가 생겨났는데 크게 보면 小乘과 大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승은 남방의 부파불교로 대표되고, 대승은 북방 즉, 중국 한국 일본에 뿌리내린 不二의 가르침을 宗으로 삼는 中觀, 唯識, 禪으로 대표된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한자경의 저서 ‘唯識無境’은 대승의 큰 줄기 중 하나인 유식사상에 대한 개괄적이고 핵심적인 考察이다. 서양철학을 전공한 사람답게 논리적이고 치밀한 이해와 분석이 매끄럽지만 유식사상의 정확한 파악에는 역시 학자의 개념적 이해라는 한계가 군데군데 엿보인다. 그러나 유식을 처음 접하는 ..

불교관련 2021.08.15

<유식무경(唯識無境, 산스크리트어 vijñapti-mtrat)>

유식무경(唯識無境)은 오직 식(識)뿐이며, 보이는 대상은 실제가 아니다, 별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만법유식(萬法唯識)과 같은 맥락의 말이다. 여기에서 ‘식(識)’은 인식하는 주체에 해당하는 마음속의 인식작용인 심식(心識)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인식작용을 떠나서 별도로 인식의 주체가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심식은 마음의 구체적인 인식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대개 식(識)과 심식(心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여기서 ‘대상’이란 심식이 인식하고자 하는 그 상대가 되는 것을 말하며,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식무경이란 오직 식만 있고 (바깥)대상은 없다는 말이다. 헌데 여기에서 없다는 말은 아무 것도 없다는 뜻이 아니라, “세상은 내가 본 것처럼 그렇게 있지 않다”는..

지혜의 공간 2018.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