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론 4

중도의 뜻 밝힌 용수의 <중론(中論)>

인연으로 생긴 법은 모두 空하다 대승 선구자의 대표 논서 꼽혀 ​ 화엄의 일승원교 사상도 나와 ​ 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그 사상적 체계를 세운 사람이 바로 용수(龍樹, Nagarjuna)이다. 흔히 그를 대승불교의 비조(鼻祖)라 하고 제 2 석가라 하기도 했다. 그는 대승의 선구자로써 활동을 하면서 많은 논서를 저술하였다. 대표적인 논서로 을 비롯하여 등이 있고 또 의 주석서라 할 수 있는 이 있다. 이러한 논서에서 주장한 용수의 사상은 한마디로 공(空)을 천명하는 공사상이다. 공이란 곧 존재의 본질을 밝히는 용어로 그 어원이 범어 ‘sunya’(舜若라 음사)인데 모든 존재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불변의 속성이나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뜻이다. “인연으로 생기는 법은 나는 곧 공하다고 말한다. 또한 거짓..

중관사상 2023.12.17

중론(中論) - 원문 및 해설

중론(中論) 중론은 모두 27장 448게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관인연품 : 연의 고찰(16게) 2. 관거래품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고찰(25게) 3. 관육정품 : 눈등의 지각 기관의 고찰(8게) 4. 관오음품 : 집합체의 고찰(9게) 5. 관육종품 : 과의 고찰(8게) 6. 관염염자품 : 탐욕과 탐내는 자의 고찰(10게) 7. 관삼상품 : 지어진 것의 고찰(34게) 8. 관작작자품 :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13게) 9. 관본주품 : 선행자의 고찰(12게) 10. 관연가연품 : 불과 연료의 고찰(16게) 11. 관본제품 : 전후의 궁극의 고찰(8게) 12. 관고품 : 고의 고찰(10게) 13. 관행품 : 형성작용의 고찰(8게) 14. 관합품 : 연합의 고찰(8게) 15. 관유무품 : 자성의 고찰(..

중관사상 2022.06.05

[중론] 6.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①

[중론] 2부 가려 뽑은《중론》 1. 부처님께 바치는 노래 《中論》은 다음과 같은 歸敬偈로 시작한다. 발생하는 것도 없고[不生]1) 소멸하는 것도 없으며[不滅] 不生亦不滅 서로 이어진 것도 아니고[不常] 서로 끊어진 것도 아니며[不斷] 不常亦不斷 서로 같지도 않고[不一] 서로 다르지도 않으며[不異] 不一亦不異 어디선가 오는 것도 아니고[不來] 어디론가 가는 것도 아니며[不去]2) 不來亦不出 온갖 망상을 잠재우며[戱論寂滅] 상서로운[吉祥] 能說是因緣 '緣起의 진리' 를 가르쳐 주신 부처님, 善滅諸戱論 최고의 스승이신 그분께 머리 조아려 예배드립니다. 我稽首禮佛 諸說中第一. - MK.3) 1-1, 1-2 이 게송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緣起' 이다. 연기란 쉽게말해 '얽혀서 발생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

중관사상 2021.12.26

이종철 교수의 불교강좌 [전문]

이종철교수의 불교강좌 ■ 이종철 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한 후 일본 동경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 Mysore대학 연구원과 중국 북경대 교환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중이며, 전공은 불교철학(구사, 유식)이고 ‘인도불교와 동아시아불교의 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 목 차 ▒ 1. 연재를 시작하며 2. 나가르주나에게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 3. 부처님을 향한 신앙은 맹종도 회의주의나 상대주의도 아니다 4. 연기와 희론(1) 5. 연기와 희론(2) 6. 연기는 존재를 인정하나 본체는 부정한다 7. 논서명〈중론송〉에서 ‘중(中)’의 의미 8. ‘유무(有無)’와 ‘공(空)’의 구별 9. 연기와 존재 10. 범부와 성자의 구별 11. ‘불상부단(不常不斷)’에 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