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원문/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법에 의지해서 출생하다.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 寧爲多 不.
수보리 어의운하 약인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즉시소득복덕 영위다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보시에 쓴다면, 이 사람이 얻는 복덕의 많음이 어찌되겠는가?
須菩提言 甚多 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如來說 福德多.
수보리언 심다 세존. 하이고 시복덕 즉비복덕성 시고 여래설 복덕다.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인가 하면, 이 복덕은 곧 복덕성이 아닙니다. 그런고로 여래께서 복덕이 많음을 설하셨습니다.
若復有人 於此經中受持 乃至 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勝彼
약부유인 어차경중수지 내지 사구게등 위타인설 기복승피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 중에서 사구게 만이라도 수지하고 남에게 설해준다면
그 복덕은 저것보다 수승하니라.
何以故 須菩提 一切諸佛 及 諸佛阿뇩多羅三약三菩提法 皆從此經出.
하이고 수보리 일체제불 급 제불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 개종차경출
왜그런가 하면, 수보리여.
모든 부처님과 더불어 모든 부처님께서 무상정등각을 깨달은 법은 다 이 경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이니라.
須菩提 所謂佛法者 卽非佛法
수보리 소위불법자 즉비불법.
수보리여, 소위 불법이라는 것은 곧 불법이 아니니라.
- 寧 : 어찌 령
- 彼 : 저(저것) 피
- 及 : 함께(더불어) 급
# 해 설
재물보시보다 법보시가 훨씬 위대함을 말씀하십니다.
재물이란 쓰다가 없어지지만, 이 법보시라는 것은 그야말로 무한으로 나아가게 하는 그 근원입니다.
그러니 아무리 재물로 크게 보시한다 한들, 법보시에 비할 수 없습니다.
재물이란 잠시만 행복하게 해주지만, 이 법이란 것은 영원히 행복하게 하는 근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법보시에 힘써야겠지요.
지금은 법보시도 하기 쉬운 시대입니다.
인터넷이 있으니까요.
많은 유명하신 스님들께서 해설해놓으신 자료나 설법을 자기의 블로그나 카페에 올려놓는 것도 역시 큰 법보시입니다.
불교를 전혀 모르던 사람이 어떤 블로그에 올려져 있는 단 한구절의 글귀로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일도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사람이 인연이 닿아서 불법에 심취할 수 있는 인연을 맺게끔 법보시를 해야 합니다.
블로그와 카페 !
이걸 법보시의 도구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 금강경에서 말씀하셨듯이 법보시의 공덕은 무량합니다.
또 내용을 자세히 몰라도, 법에 대해서 잘 몰라도 고승께서 설법하신 내용을 여러 사람들이 보게 하는 것..
그것 역시 법보시입니다. 법보시 하기가 매우 쉬운거지요. 내가 몰라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무량 공덕을 쌓기 쉬운 시대입니다.
법보시에 최선을 다합시다.
블로그나 카페로 법보시할 경우, 촛점은 두군데 맞추는게 좋습니다.
첫째는, 불교를 전혀 몰랐던 사람들이 접하기 쉽게끔 설해놓은 법문
둘째는, 기존 불자님들의 신심과 수행을 더더욱 증진시켜줄 수 있는 법문
현재는 후자에 많이 촛점이 맞춰져 있는데, 전자에도 비중을 크게 둬야 합니다.
다른 블로그나 카페에 있는 글을 자기의 블로그나 카페로 퍼오거나 복사해서 글을 올릴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삼보비방하는 글들은 절대 올리면 안됩니다.
이런 글들이 의외로 꽤 있습니다. 이런 글 올리면 공덕이 아니라 오히려 큰 죄만 짓는 행위입니다.
남방불교가 확산되면서 대승불교를 비방하고 대승경전을 비방하는 글들이 꽤 있습니다.
이런 글 하나 잘못 올려서 여러사람이 보게 한다면, 그것 역시 큰 죄입니다. 이건 법보시가 아닙니다.
대승불교는 空에 대해 터득하고 보리심이 있어야만,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능합니다.
이걸 모르는 상태에서 남방불교를 접하고나면 이 대승불교가 그야말로 황당하게 여겨져서
경전과 보살님과 고승들을 노골적으로 비방하는 사람들도 있고, 은근히 비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글들은 절대 조심해야 합니다.
감각이 있는 분이라면, 아실 겁니다.
이런 글하나 잘 못올리면 바로 뭔 작용이 생깁니다.
백천만겁난조우...
이 불법 만나기 참 어려운 육도 윤회의 쳇바퀴 속에서...
이런 법보시로 말미암아 수많은 사람들이 무한한 행복에 다가선다면 그것만큼 좋은 일도 없겠지요.
법보시와 재물보시를 같이 조화롭게 병행하는게 낫습니다.
실제 가난하고 힘든 분들에게 당장 필요한 것은 먹을 것과 필요한 생필품이니까요.
보시는 꾸준히 해야합니다.
하루도 빼놓지 말고...
꾸준히 보시할 곳이 있다는 것, 이것 역시 대단한 복입니다.
보시바라밀을 채울 수 있는 복 입니다.
말이 보시지, 모조리 버리는게 도 닦는 과정이라고 하지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정토로 장엄하다. (0) | 2017.10.29 |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일상[一相]이란 무상[無相]이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7.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얻음도 설함도 없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이치를 여실히 본다.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