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가나카 경
Mn74 MAJJHIMA NIKâYA II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라자가하의 독수리 산에 있는 수까라카따라는
동굴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니가나카 유행승이 세존을 뵈러 갔다. 가서는 세존과 함께 환담을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로 서로 담소를 하고서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서서
디가나카 유행승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고따마 존자시여, 저는 '나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졌습니다."
"악기웨사나여, '나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 견해는 적어도 그대가 인정하는 것이
아닌가?"
"고따마 존자시여, 제가 이 견해를 인정하더라도 그것은 마찬가지일 뿐입니다. 그것은 여전히
마찬가지일 뿐입니다."
"악기웨사나여, 지금 이 세상에는 '그것은 마찬가지일 뿐이다. 그것은 여전히 마찬가지일 뿐이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런 견해를 버리지 않고 또 다른 견해를 취착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악기웨사나여, 지금 이 세상에는 '그것은 마찬가지일 뿐이다. 그것은 여전히 마찬가지일 뿐이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런 견해를 버리고 다른 견해를 취착하지 않는 자들은 훨씬 적다."
"악기웨사나여, 어떤 사문 ‧ 바라문들은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졌다.
악기웨사나여, 어떤 사문 ‧ 바라문들은 '나는 일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졌다.
악기웨사나여, 어떤 사문 ‧ 바라문들은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
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졌다.
악기웨사나여, 여기서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
들의 견해는 욕망에 가깝고 족쇄에 가깝고 환락에 가깝고 집착에 가깝고 취착에 가깝다.
악기웨사나여, 여기서 '나는 일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의 견해는 욕망 없음에 가깝고 족쇄 없음에 가깝고 환락 없음에 가깝고 집착 없음에
가깝고 취착 없음에 가깝다."
2. 이렇게 말씀하시자 디가나카 유행승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의 견해를 추켜세워 주시는군요. [인정해 주시는군요]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의 견해를 아주 추켜세워 주시는군요."
"악기웨사나여, 여기서 사문 ‧ 바라문들은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
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졌는데, 그들이 인정하는 그런 견해는 욕망에 가깝고 족쇄에
가깝고 환락에 가깝고 집착에 가깝고 취착에 가깝고, 그들이 인정하지 않는 그런 견해는 욕망
없음에 가깝고 족쇄 없음에 가깝고 환락 없음에 가깝고 집착 없음에 가깝고 취착 없음에 가깝다."
"악기웨사나여, 여기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 가운데 지혜로운 사람은 이렇게 숙고한다.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견해를 가졌는데, 내가 이것을 완강하게 고수하고 고집하여
주장하기를 '이것만이 진리요 다른 것은 쓸모가 없다.'라고 한다는 내게는 다른 두 사람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즉 '나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불화가 있으면 논쟁이 생기고 논쟁이 있으면 다툼이 있고 다툼이 있으면 곤혹스러움이 있다.'라고. 이와 같이 그는 불화와 논쟁과 다툼과 곤혹스러움을 자신에게서 잘 관찰해 보고서 그런 견해를 버리고 다른 견해를 취착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이런 견해를 버리고 이와 같이 이런 견해들을 배제하게 된다."
3. "악기웨사나여, 여기 '나는 일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 가운데 지혜로운 사람은 이렇게 숙고한다.
'나는 일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견해를 가졌는데, 내가 이것을 완강하게 고수하고
고집하여 주장하기를 '이것만이 진리요 다른 것은 쓸모가 없다.'라고 한다는 내게는 다른 두
사람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즉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불화가 있으면 논쟁이 생기고 논쟁이 있으면 다툼이 있고 다툼이 있으면 곤혹스러움이 있다.'라고. 이와 같이 그는 불화와 논쟁과 다툼과
곤혹스러움을 자신에게서 잘 관찰해 보고서 그런 견해를 버리고 다른 견해를 취착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이런 견해를 버리고 이와 같이 이런 견해들을 배제하게 된다."
4. "악기웨사나여, 여기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 가운데 지혜로운 사람은 이렇게 숙고한다.
'나는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견해를 가졌는데, 내가 이것을
완강하게 고수하고 고집하여 주장하기를 '이것만이 진리요 다른 것은 쓸모가 없다.'라고 한다는
내게는 다른 두 사람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즉 '나는 일체를 인정한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나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진 사문 ‧ 바라문들과 불화가 생길 것이다. 불화가 있으면 논쟁이 생기고 논쟁이 있으면 다툼이 있고 다툼이 있으면 곤혹스러움이 있다.'라고. 이와 같이 그는 불화와 논쟁과 다툼과 곤혹스러움을 자신에게서 잘 관찰해 보고서 그런 견해를 버리고 다른 견해를 취착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이런 견해를 버리고 이와 같이 이런 견해들을 배제하게 된다."
5. "악기웨사나여, 이 몸은 물질로 된 것이고, 사대로 이루어진 것이며, 부모에서 생겨났고, 밥과 죽으로 성장했으며, 무상하고 파괴되고 분쇄되고 분리되고 분해되기 마련인 것이다. 그것을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해야 한다.
그 몸에 대해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하는 자는 몸에
대한 욕망과 몸에 대한 애정과 몸에 속박됨을 버린다."
"악기웨사나여, 세 가지 느낌이 있나니 즐거운 느낌과 괴로운 느낌과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다.
악기웨사나여, 사람이 즐거운 느낌을 느낄 때, 그때는 괴로운 느낌이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은 느끼지 않고 오직 즐거운 느낌만을 느낀다.
악기웨사나여, 사람이 괴로운 느낌을 느낄 때, 그때는 즐거운 느낌이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은 느끼지 않고 오직 괴로운 느낌만을 느낀다.
악기웨사나여, 사람이 괴로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낄 때, 그때는 즐거운 느낌이나 괴로운
느낌은 느끼지 않고 오직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만을 느낀다."
"악기웨사나여, 즐거운 느낌도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고 조건 따라 일어난 것이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그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소멸하기 마련인 것이다.
악기웨사나여, 괴로운 느낌도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고 조건 따라 일어난 것이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그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소멸하기 마련인 것이다.
악기웨사나여,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고 조건 따라 일어난 것이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그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사라지기 마련인 것이고 소멸하기 마련인
것이다."
"악기웨사나여, 이와 같이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즐거운 느낌도 염오하고, 괴로운 느낌도 염오하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염오한다. 염오하기 때문에 탐욕이 사라진다. 탐욕이
사라짐으로 해탈한다. 해탈했을 때 해탈했다는 지혜가 생긴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일을 다 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꿰뚫어 안다."
"악기웨사나여, 이와 같이 마음이 해탈한 비구는 누구를 편들지도 않고 누구와도 논쟁하지 않는다.
세상에서 통용되고 있는 말을 집착하지 않고 사용할 뿐이다."
6. 세존께서 이렇게 말씀하실 때 사리뿟따 존자가 세존의 뒤에서 세존께 부채질을 해드리면서
서 있었다. 그때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존께서는 참으로 이런 법들을 최상의 지혜로 알아서 제거하는 것을 말씀하시는구나.
세존께서는 참으로 이런 법들을 최상의 지혜로 알아서 제거하는 것을 말씀하시는구나.'
사리뿟따 존자가 이처럼 숙고하였을 때 취착이 없어져서 번뇌들에서 마음이 해탈했다.
그리고 디가나카 유행승에게는 '무엇이든 생기기 마련인 것은 모두 소멸하기 마련인 것이다.'라는
티끌이 없고 때가 없는 법의 눈이 생겼다. 그래서 디가나카 유행승은 법을 보았고, 법을 얻었고,
법을 체득했고, 법을 간파했고, 의심을 건넜고, 혼란을 제거했고, 무외를 얻었고, 스승의
교법에서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게 되었다.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고따마 존자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일으켜 세우시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 보이시듯,
[방향을] 잃어버린 자에게 길을 가르켜주시듯, 눈 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주시듯,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법을 설해주셨습니다.
저는 이제 고따마 존자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 승가에 귀의합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재가신자로 받아주소서.
오늘부터 목숨이 붙어 있는 그날까지 귀의 하옵니다."
Dīghanakhasuttaṃ niṭṭhitaṃ catutthaṃ.
디가나카 경(M74)이 끝났다.
'맛지마 니까야(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077. 사꿀루다이 긴 경(Mahāsakuludāyisuttaṃ) (0) | 2018.04.15 |
---|---|
[스크랩] M076. 산다까 경(Sandakasuttaṃ) (0) | 2018.04.15 |
[스크랩] M073. 왓차곳따 긴 경(Mah?vacchasutta?) (0) | 2018.04.08 |
[스크랩] M072. 왓차곳따 불 경(Aggivacchasutta?) (0) | 2018.04.08 |
[스크랩] M071. 왓차곳따 삼명 경(Tevijjavacchasutta?)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