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원문/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궁극적인 나란 없다.
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이시 수보리백불언 세존 선남자 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운하응주 운하항복기심.
이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무상정등각을 이루고자 하는 보리심을 발할 때
마땅히 어떻게 머물며,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합니까?
佛告. 須菩提 若善男子 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者 當生如是心
불고 수보리 약선남자 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당생여시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무상정등각을 이루고자 보리심을 발한 자라면, 마땅이 이와 같이 마음을 내야 하느니라.
我應滅度一切衆生 滅度一切衆生已 而無有一衆生 實滅度者.
아응멸도일체중생 멸도일체중생이 이무유일중생 실멸도자.
내가 응당히 일체중생을 멸도케 하리라.
일체중생을 멸도케 하지만, 실제로 멸도한 자는 단 하나의 중생도 없다....라고 !!!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卽非菩薩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왜냐하면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다면 곧 보살이 아니니라.
所以者何 須菩提 實無有法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者.
소이자하 수보리 실무유법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왜인고하니 수보리여,
(보살이란) 실로 고정된 것이 없다는 걸 알고 무상정등각을 이루고자 하는 보리심을 낸 자이니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於燃燈佛 所有法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어연등불 소유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가 연등부처님께 어떤 고정된 법(실체)이 있는 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는가?
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 燃燈佛所 無有法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불야 세존. 여아해불소설의 불어 연등불소 무유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풀이한다면
(석가) 부처님께서 연등부처님의 처소에서 고정된 법이 없이 무상정등각을 얻으셨나이다.
佛言. 如是如是.
불언. 여시여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須菩提 實無有法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 실무유법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여, 실로 고정된 법이 없이 여래는 무상정등각을 얻었느니라.
須菩提 若有法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者 燃燈佛 卽不與我授記 汝於來世 當得作佛 號釋迦牟尼.
수보리 약유법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자 연등불 즉불여아수기 여어래세 당득작불 호석가모니.
수보리여, 만약 고정된 법이 있어서 여래가 무상정등각을 얻은 자라면,
연등불께서 "곧 너는 미래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어 석가모니라 불리리라"는 수기를 주지 않으셨을 것이다.
以實無有法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이실무유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실로 고정된 법이 없이 무상정등각을 얻었느니라.
是故 燃燈佛 與我授記 作是言 汝於來世 當得作佛 號釋迦牟尼.
시고 연등불 여아수기 작시언 여어래세 당득작불 호석가모니
그런고로 연등불께서는 나에게 수기하시고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너는 미래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어 석가모니라 불리우게 되리라."
何以故 如來者 卽諸法如義.
하이고 여래자 즉제법여의.
왜냐하면 여래라는 것은 곧 모든 법에 여여하다는 뜻이니라.
若有人言 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須菩提 實無有法佛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약유인언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실무유법불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는 무상정등각을 얻었다라고 말한다면, 수보리여.
부처님은 실로 고정된 법이 없이 무상정등각을 얻었느니라.
須菩提 如來所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於是中 無實 無虛.
수보리 여래소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어시중 무실 무허.
수보리여. 여래가 얻은 무상정등각!!! 이 가운데에는 실함도 없고, 허함도 없느니라.
是故 如來說一切法 皆是佛法.
시고 여래설일체법 개시불법.
그러므로, 여래는 일체법이 다 불법이다라고 설했느니라.
須菩提 所言一切法者 卽非一切法 是故 名一切法.
수보리 소언일체법자 즉비일체법 시고 명일체법.
수보리여. 일체법이라는 말은 곧 일체법이 아니니라. 그런고로 이름이 일체법이니라.
須菩提 譬如人身長大.
수보리 비여인신장대.
수보리여. 비유하자면 몸이 장대한 사람과 같다.
須菩提言. 世尊 如來說人身長大 卽爲非大身 是名大身.
수보리언. 세존 여래설인신장대 즉위비대신 시명대신.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하신 사람의 몸이 장대하다는 것은 곧 큰 몸이 아니고, 그 이름이 큰 몸 입니다.
須菩提 菩薩 亦如是. 若作是言 我當滅度 無量衆生 卽不名菩薩.
수보리 보살 역여시. 약작시언 아당멸도 무량중생 즉불명보살.
수보리여. 보살 역시 이와 같아야 한다.
만약 내가 마땅히 무량중생을 멸도케 한다..라는 말을 한다면, 곧 보살이라 이름하지 못한다.
何以故 須菩提 實無有法 名爲菩薩 是故 佛說一切法 無我 無人 無衆生 無壽者.
하이고 수보리 실무유법 명위보살 시고 불설일체법 무아 무인 무중생 무수자.
왜인가하면 수보리여. 실로 고정된 법은 없느니라. 이름이 보살이니라.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일체법에 나도 없고, 너도 없고, 중생도 없고 목숨도 없다고 설했느니라.
須菩提 若菩薩 作是言 我當莊嚴佛土 是不名菩薩.
수보리 약보살 작시언 아당장엄불토 시불명보살.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내가 마땅히 불국토로 장엄한다고 말을 한다면,
이 자는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다.
何以故 如來說莊嚴佛土者 卽非莊嚴 是名莊嚴.
하이고 여래설장엄불토자 즉비장엄 시명장엄.
왜냐하면, 여래는 불국토로 장엄한다는 것은 곧 장엄이 아니요, 그 이름이 장엄이다라고 설했느니라.
須菩提 若菩薩 通達無我法者 如來說 名眞是菩薩.
수보리 약보살 통달무아법자 여래설 명진시보살.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무아법에 통달한 자라면,
여래는 진실로 이 자를 보살이라 불리운다고 설했느니라.
# 해 설
멸도(滅度)란 성불하거나, 도를 이뤄서 그 존재가 완전히 사라진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멸이란 소멸을 의미하는데, 고통의 소멸을 의미합니다. 도란 건넌다는 뜻입니다.
모든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으로 건너간다는 의미겠지요.
滅度 [멸도] : 모든 번뇌(煩惱)의 속박(束縛)에서 벗어나고, 진리(眞理)를 깨달아 불생(不生) 불멸(不滅)의 법을 체득(體得)한 경지(境地)
도 닦다가 이거 완전 소멸되는거 아닌가 하고 두려워할 필요없습니다. 소멸 안됩니다.
부처님께서도 성불하시고 소멸안되시고, 아주 오랫동안 중생들에게 설법하셨습니다.
부처님께서 마음을 항복받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마음을 내려놓는 하심(下心)이 중요한게 아니라, 마음을 항복받는 항심(降心)이 더 중요합니다.
왜 내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는가?
이 마음이란 놈이 고통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또 결정적일 때는 배신을 합니다.
중생은 이 마음을 나 자신으로 알고 살아갑니다.
그래서 이 나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결국은 이 나라는 놈이 고통의 주범입니다. 마음이 곧 나지요.
이 마음이란 놈을 미친 원숭이나 힘센 코끼리라고 표현합니다.
그야말로 미친듯이 이리뛰고 저리뛰지요. 이 마음이란 놈... 그리고 힘도 아주 셉니다. 고집불통이지요.
이 마음이 제멋대로 움직이면, 온갖 죄를 짓습니다.
그래서 이 마음이 가장 무섭습니다. 바깥에 무서운게 있는게 아니라, 가장 무서운게 바로 이 마음입니다.
그러니 이 마음을 제압해야 합니다.
항복받아야 합니다.
이 금강경에는 마음을 항복받는 그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보리심입니다.
보리심이란 어떤 마음인가하면, 부처님 말씀처럼....
내가 일체의 모든 중생을 모조리 다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서 행복(열반)하게 만들어주겠다..라는 마음입니다.
남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해주려고 할 때만이 마음을 항복받는다는 말씀입니다.
마음이란 놈이 오로지 나만,...내 이익만 생각하던 그 방향을 바꿔서 오로지 남을 생각하는 방법..이겁니다.
남을 이롭게 하는 마음...자비심입니다.
더 나아가 내가 직접 모든 중생을 모조리 다 행복에 이르게 해주겠다는 마음.....그것이 보리심입니다.
보리심으로 마음을 항복받습니다.
내 생각대신 남 생각을 해야 마음을 항복받습니다.
이제부터 실천합시다.
놀라운 일일 겁니다. 오로지 나만 생각하다가, 그게 뒤집어져서 오로지 남 잘되게 해줄 생각을 한다면 말입니다.
이런 분들이 보살이시지요.
대개의 존재는 자기 것, 자기에게 소속된 것에만 사랑과 자비를 베풉니다.
즉, 나의 것.........나의 가족들, 내가 아는 사람..
이런 건 사랑이나 자비가 아니라, 집착입니다.
이기심이 그 본바탕이라 집착입니다.
진정한 사랑이나 자비는 나와 관계가 있건 없건 그 누구에게나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나에게 친절하던, 나에게 해를 끼치던, 그 무엇의 조건에 상관없이..
일체의 중생을 모조리 다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케 해겠노라...라는 마음이 보리심입니다.
고정된 법이라는 의미는 나를 의미합니다.
17편의 제목은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입니다.
석가부처님 역시 "나"라는 자아가 있어서 무상정등각을 얻으신게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부처님 역시 비어 있으신거지요.
고정된 자아...영원한 자아는 없습니다.
그리고 또 얻을 법이 없는 것을 얻으신거겠지요.
空...
- 아 상 : 내가 있다는 상
- 인 상 : 남이 있다는 상
- 중생상 : 고통당하는 중생이 있다는 상(아라한/부처/보살과의 반대개념)
- 수자상 : 목숨이 있다는 상
인상과 중생생을 많이 잘못알고 계신데, 중생상이란 수많은 생명체 떼거지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중생상이란 부처의 반대되는 개념으로써 고통받는 중생이라는 의미입니다.
떼거지라는 의미는 인상입니다.
무아법 !
제법무아입니다.
모든 법에 실체, 즉 자성(고정된 주체=나)라는 게 없다는 의미입니다.
존재는 내 속에 뭔가 있다라고 여깁니다. 그걸 나라고 막연하게 믿고 살지요.
근데 그게 없다는 의미입니다.
우리의 몸은 있습니다. 분명히 있지요. 또 생각도 있습니다.
그러나 몸과 생각을 잘 분석해보면, 실체가 없습니다.
먼저 "나"라는 개념부터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나"라는 의미는 영원 불변하고 항상하는 그 무엇을 의미합니다.
몸이 영원할까요?
마음이 영원할까요?
마음이란 놈은 몸을 나라고 압니다.
하지만, 다 알다시피 몸이란 계속 변합니다. 애기때는 쪼그맣다가 점점 더 크고 늙어가다가 결국 사라집니다.
몸은 내가 아닙니다.
몸이 내가 아님은 웬만해서는 쉽게 다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생각하는 이 마음이 내가 아니다..라는 건 참 알기 어렵지요.
왜냐면 끊임없이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항상 존재하는 줄 압니다. 그래서 또 내가 직접 생각하는 줄 압니다.
그러니 뭔가 실체가 있는 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마음을 살피는 수행을 해야 합니다. 과연 마음이 어떻게 해서 작동되는지 직접 알아야 합니다.
이게 사념처 수행입니다.
우리의 마음...이거 내 맘대로 혼자 스스로 생각한다고 여깁니다만, 절대 안그렇습니다.
어떤 조건을 만나면 그 조건에 그냥 반응해버립니다. 반응해서 생각이 튀어나옵니다.
마음이라는 것은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래서 마음을 잘 살피는 수행을 해야 합니다.
정말 조건에 의해서 마음이 발생한다는 걸 알아내야 합니다.
항상하는 항상 존재하는 영원한 주체, 즉 "나"가 없기 때문에 무아이고, 그러므로 空입니다.
비어 있습니다. 실체가 없습니다.
무지개는 멀리서 보면, 반드시 있습니다.
그러나 가까이 가서 보면, 없습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무아나 空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잘못 이해하면, 완전히 없다라는 쪽에 치우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내 몸 있고, 생각하는 마음도 있습니다.
그치만, 실체가 없습니다.
이 무아에 대해서 알려면, 연기법을 알아야 합니다.
인연생기.....
그 무엇이든 조건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독립적으로 혼자 스스로 존재하는 건 없습니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는 통하여 화한다. (0) | 2017.10.29 |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 일체가 같음을 관하라.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을 지닌 공덕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상을 떠나야 고요하다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