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원문/해설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 일체가 같음을 관하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肉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肉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육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육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있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天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天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천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천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천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이 있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慧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慧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혜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혜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혜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이 있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法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法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법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법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법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佛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佛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불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불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불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이 있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佛說是沙 不. 如是 世尊. 如來說是沙.
수보리 어의운하 여항하중소유사불설시사 부. 여시 세존. 여래설시사.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항하강의 모래가 있는데, 여래가 그 모래를 말한 적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씀하셨나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佛世界 如是寧爲多 不.
수보리 어의운하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항하. 시제항아소유사수불세계 여시영위다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나의 항하강에 모래가 있는데, 그 모래의 수만큼의 항하강이 있고,
이 모든 항하강의 모래 숫자만큼의 불세계가 있다면, 이것은 얼마나 많겠는가?
甚多世尊.
심다세존.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佛告. 須菩提 爾所國土中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불고. 수보리 이소국토중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실지.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같이 국토가 많은 곳에 중생이 있는 바, 만약 여러 종류의 마음이 있다면, (그 마음을) 여래는 다 아느니라.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하이고 여래설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왜냐하면 여래는 모든 마음은 다 마음이 아니요, 그 이름이 마음이라고 설했느니라.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소이자하 수보리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왜인고하니, 수보리여.
과거의 마음은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 寧 : 어찌 령
- 爾 : 이(此) 이, 같이 이
- 若 : 같을 약, 이에 약, 어조사
- 若干 : 같을 약, 얼마 간 = 만약 얼마라면
# 해 설
부처님의 눈을 다섯 종류로 나눠서 순서대로 말씀하셨습니다.
육안, 천안, 혜안, 법안, 불안
수능엄경에 보는 것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과연 눈이 보는가? 뭐가 보는가?
대개는 육체의 눈이 본다라고 생각합니다.
눈을 감으면 안보이고, 뜨면 보인다라고 생각하지요.
하지만, 항상 보이는 겁니다.
눈을 뜨건 감건 항상 보고 있는 겁니다.
눈을 뜨면 바깥이 보입니다.
눈을 감으면 안보이는게 아니고, 시꺼먼게 보입니다. 바로 눈꺼플이 가려져서 어둑어둑한 시꺼먼게 보여지지요.
그래서 장님도 사실은 안보이는 게 아닙니다.
시꺼먼걸 계속 보고 있는 거지요.
만약 이 눈이 보는 것이라면, 시체 역시 봐야 합니다.
육체의 눈이 본다면, 죽은 시체의 눈알도 이리 굴러가고 저리 굴러가야만 합니다. 그러면 강시 세상이지요.
이 보는 주체를 찾는 것.... 이근원통이 아니라 안근원통이겠지요.
집 안에서 창문을 통해 밖을 내다볼 때... 바깥을 보는 것은 무엇일까요?
- 집인가 ?
- 창문인가 ?
- 사람인가 ?
집은 사람 몸이고, 창문은 눈이고, 사람은 보는 주체겠지요.
창문이 보는게 아닙니다.
근데 우리는 이 육신을 나라고 여기기 때문에 내 눈이 본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건 마치 창문이 바깥을 보고 있다라고 여기는 것과 같습니다.
창문이란 그냥 통로에 지나지 않습니다.
여섯가지 통로가 있지요.
여섯가지 통로! 안이비설신의 입니다.
통로는 여섯개지만, 그 근원은 하나입니다.
그 하나가, 보고... 듣고...냄새맡고...이런 작용을 다 합니다.
그게 실체입니다. 하지만 말이 실체일 뿐이지..그 실체 역시 비어 있지요.
텅 빈 것이 보고, 듣고, 느끼고, 알고............
그 통로를 통해 근원을 찾으면, 곧....불성이나 진여...이런데 도착하겠지요.
즉, 空性을 체득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안근원통보다는 이근원통, 즉 소리를 듣는 주체를 찾는게 가장 쉽다고 수능엄경에 나옵니다.
부처님께서는 국토가 수도없이 많음을 말씀하셨고, 거기에 사는 중생은 더더욱 많겠지요.
그리고 또 그 중생들이 각각 생각하는 마음은 또 더더욱 많을 겁니다.
아함경에는 각각의 지역에 세모난 얼굴과 타원형 얼굴에 대한 말씀이 있습니다.
외계 행성에 사는 외계인들의 얼굴 형상이겠지요. 타원형 얼굴은 많이 회자되는데 세모형 얼굴은...^^
부처님께서는 그 모든 마음을 다 안다고 하셨습니다.
일체지..일체종지....
그 이름이라는 단어가 이 금강경에 많이 반복되는데,
모든 사물엔 실체가 없으니 그냥 이름만 그렇게 불리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름으로만 불리우게 되는 이유가 바로 실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실체가 있다고 여기면, 집착하게 됩니다.
마음의 실체도 없지요.
그저 상황에 따라, 즉 조건에 따라 반응이 일어날 뿐 입니다.
마음의 실체도 없으니,
과거의 마음도 찾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찾지 못하고, 미래의 마음 역시 찾지 못합니다.
과거의 나도 없고, 현재의 나도 없고, 미래의 나도 없다는 의미겠지요.
마음을 나로 여기니까 말입니다.
사람의 생각 ! 수행할 때 온갖 망상들 !
크게 두 종류입니다.
첫째는 과거에 대한 생각들 입니다.
둘째는 미래에 대한 걱정/설계/계획에 관한 것들 입니다.
주로 생각하는게 바로 과거에 대한 회상과 미래에 대한 설계입니다.
내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생각이 끊임없이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과거에 당한 여러가지 괴로운 일들을 떠올리면서 괴로워합니다. 또 즐거워합니다.
그리고 그런 과거의 생각이 지나가면 마음이 좀 쉬어야 할텐데, 또다시 미래에 뭘 할 생각을 합니다.
가부좌 하고 앉으면, 과거와 미래..이 두가지 생각이 휘몰아칩니다.
그래서 망상이 끊이지 않지요.
그러니 먼저 고정된 자아, 즉 모든게 다 텅비이 있다는 것을 명상해야 합니다.
먼저 아상을 없애고 인상을 없앱니다. 나라는 것의 실체도 없고, 남이라는 것 역시 실체가 없다라는 것....
나도 없고, 남도 없고..모두가 텅 비어있음을 떠올리고 명상을 하면.. 마음이 고요히 가라앉습니다.
실체가 없는 걸 알게되면, 마음이 움직일리가 없지요.
이 때 자기가 수행하는 집중대상에 몰입해서 수행에 임하면 됩니다.
수행하기 전에 꼭 이 공에 대한 명상을 하는게 좋습니다.
그러면 잡념이 확연하게 사라져서 수행하는데 훨씬 수월합니다.
한두번, 몇일 해서 되는게 아니라, 꾸준히 계속 해야겠지요.
완전히 익숙해질때까지...
|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色도 떠나고 相도 떠나라. (0) | 2017.10.29 |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는 통하여 화한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궁극적인 나란 없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을 지닌 공덕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