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

[스크랩] 禪門拈頌 4. 양구(良久)

수선님 2018. 6. 12. 19:18

animated moving lion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본칙


세존에게 어떤 외도가 묻되 “말 있음을 묻지 않고 말 없음을 묻지 않습니다” 하니 세존께서 양구(良久)하셨다. 이에 외도가 찬탄하되 “세존께서 대자대비하시와 저의 미혹의 구름을 열어주셔서 저로 하여금 깨달아 듣게 하셨나이다” 하고 물러났다. 외도가 떠난 다음에 아난이 묻되 “외도가 무엇을 증득하였기에 ‘깨달아 들었다’ 하나있까” 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세상의 좋은 말은 채찍의 그림자만 보아도 달리는 것과 같으니라” 하셨다.

염·송·어


원오근(圓悟勤)이 송했다.


말 있음과 말 없음을 묻지 않고
말하기 전에 화살을 던졌네.
양쪽을 모두 다 윽박질러 막으니
한 자루의 칼이 하늘 가에 싸늘하네.
채찍 그림자가 움직이기 전에 마을과 고을을 지나니
자비의 문이 열린 뒤이매
가파른 길이지만 걸리는 것은 없네.
하늘을 덮는 콧구멍을 뚫어야 하겠으나
누가 바람을 쫓는 천리마인가.

현각(玄覺)이 징(徵)했다.

“어디가 세존이 채찍을 든 곳인가.”

설두현이 염했다.

“사와 정을 가지지 못하는 것은 채찍 그림자 때문이다.”

운문고(雲門?)가 말했다.

“사(邪)와 정(正)의 둘로 갈린 것은 분명 채찍 그림자 때문이다.”

감상


달은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손가락이 없다면 어떻게 달을 볼 것인가. 채찍 그림자를 보고 달리는 말은 분명 천리마일 것이다. 채찍을 맞아도 달리지 못하는 말이 있다. 채찍을 들면 달리는 말이 있고, 채찍의 그림자만 보아도 달리는 말이 있다.

외도의 질문에 부처님은 침묵하셨다. 말 있음과 말 없음 사이에 양자를 아우를 수 있는 것은 침묵 뿐일 것이다. 말을 해도 안되고, 말을 안해도 안되니 어떻게 할 것인가. 선가에서 이를 일러 불립문자(不立文字)라고 한다. 말 이전의 세계 또는 말 이전의 순간을 깨달음이 증득의 한 표현이다.

이 증득의 순간은 말로 표현되는 순간 그 절대성을 상실한다. 말로써 그 온전함을 담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외도의 질문에 부처님은 채찍을 들지 않았다. 말 없음으로 채찍을 대신하니 외도는 그 순간 말 있음과 말 없음을 뛰어넘는 자비로운 깨달음을 얻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처님의 침묵은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을 구별하니, 말 없음 또한 말 있음과 전혀 다른 차원의 우뢰와 같은 가르침인 것이다. 부처님의 침묵은 채찍 그림자가 움직이기 이전이니 어찌 말 있음과 말 없음으로 시비를 분별하리오.

 

최동호/고려대 국문과 교수


출처 : 淨土를 그리며...
글쓴이 : 느린 걸음 원글보기
메모 :